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

 1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
 2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2
 3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3
 4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4
 5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5
 6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6
 7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7
 8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8
 9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9
 10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0
 11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1
 12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2
 13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3
 14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4
 15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5
 16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6
 17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7
 18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8
 19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19
 20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과 대응 방안 -후소샤(扶桑社)판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배경과 목적
1.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
1) 1982년 파동
2) 1986년 파동과 그 이후의 상
2. 후소샤와 ‘새역모’
1) 창립과 주요인사
2) '새역모'의 목적과 주요활동내용
3. 문부과학성의 교과서 검정제도
4. 문부과학성의 학습지도요령

Ⅲ. 후소샤교과서의 특징
1. 천황관
2. 균형 감각이 결여된 자민족 우월주의
3. 침략전쟁 긍정론
4. 전체주의에 대한 성찰 결여

Ⅳ. 교과서 내용 분석과 비판
1. 임나일본부설
2. 임진왜란
3. 조선통신사
4. 청․일전쟁 / 러․일전쟁
5. 한국병합
6. 식민지정책
7. 3․1운동
8. 관동 대지진
9. 일본군 위안부
10. 황민화 및 강제 동원
11. 1945년 이후 역사 인식 서술

Ⅴ. 대응방안
1. 유럽에서의 역사교과서 협력사례와 시사점
1) 독일-프랑스 간의 역사교과서 협력사례
2) 독일-폴란드 간의 역사교과서 협력사례
3) 시사점
2. 기존 대응 및 반성
1) 1982년, 1986년의 대응
2) 2001년의 대응
3) 반성
3. 대응 방안 찾기
1) 정부
2) 역사연구자
3) 역사교사
4) 학생
5) 시민단체
6) 언론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최근에 일본에서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내용을 싣는다 하여 교과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교과서 문제는 크게는 ‘교과서 파동’이라 하여 1982년, 1986년, 2001년 3번에 걸쳐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었고, 작게는 거의 매년 일어나고 있으며 일본의 역사 왜곡 망언도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정부는 조용한 외교로 일관하고 있고, 국민은 언론을 통해 알려졌던 초반에는 분개하였다가 금방 식어버리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방치하여 오히려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다. 그 대표적 예가 일본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다.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은 출범 당시부터 비판을 받았고 그들이 만든 『새로운 역사교과서』는 100군데 이상의 수정지시를 받아 교과서로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야기 시켰다. 하지만 이 교과서는 검정을 통과했고 기존 7종 교과서에 당당하게 포함되었다. 이런 문제가 많은 교과서를 통과시킨 데에는 주체인 문부과학성과 학습지도요령도 한 몫을 하였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개악성이 가장 심한 『새로운 역사교과서』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또한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내용분석 및 비판에서는 동경서적을 함께 비교하였다.
독․폴의 협력사례는 양국의 교류를 통해 공동 교과서를 집필한 대표적인 예이다.이 사례가 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조용한 외교정책’으로 일관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좀 더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응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Ⅱ. 배경과 목적
1. 역사 교과서 왜곡 파동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은 1982년에 시발(始發)한 것이 아니었다. 일본 고대 역사서 『일본서기』에는 80척의 배를 거느린 일본의 신공황후가 삼한을 정벌했다는 전설을 언급한다. 이것을「심상소학국사부도(1926)」에서 삽화로 설명하고 있는데 일본 황후 앞에 머리를 조아리며 진상품을 바치는 신라왕을 그리고 있다. 또한 신라와 백제 사이에 ‘임나’란 지명을 도드라지게 표기하며 임나일본부설을 강조하고 있다.
삼한조공을 묘사한 삽화에서는 신라, 고려, 백제 등의 국가 이름을 누차 언급한다. 일본의 소학교 국사 교과서는 1904년부터 패망할 때까지 7차례에 걸쳐 7종 14권이 간행되었다. 일제 군국주의 침략과 맞물려 진행된 교과서 개정 과정은 군국주의 침략의 수단으로 교과서가 악용된 사례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하종문.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의 바로 보기」. 『한국근현대사연구』제18집. 한국근현대 사학회. 2001. 9. pp. 224~244(21 pages).
․허우성.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철학과현실』2001년 가을호(통권 제50호). 철학문화 연구소. 2001. 9. pp. 102~108(7 pages).
․이찬희.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한국의 대응」. 한국교육개발원. 2002. pp.
97~115(19 pages).
․한운석.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의 위험스런 동향과 해결방안 모색」. 『내일을 여는 역 사』제14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3. 12. pp. 300~312(13 pages).
․조동걸. 「한·일간의 역사분쟁과 전망」. 『역사교육논집』. 역사교육학회. 2004. pp. 1~35 (35 pages).
․정영순. 「한·일간 역사왜곡 갈등과 유럽에서의 평화를 위한 역사교육」. 『사회과교육』 제43권 2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6. pp. 167~199(33 pages).
․김한종. 「일본 역사왜곡교과서 채택의 의미와 방안」. 『통일한국』. 2004년 10월호(통권 제250호). 평화문제연구소. 2004. 10. pp. 75~77(3 pages).
․신주백. 「동북아에서 역사교과서 협력이 갖는 의미와 진로」. 『역사와현실』. 제56권. 한 국역사연구회. 2005. 6. pp. 1~10(10 pages).
․유영렬.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일관계 재정립 방향」. 『국회도서관보』. 제42권 제8호 통권 제316호. 국회도서관. 2005. 8. pp. 20~27(8 pages).

Ⅵ. 맺음말
- 우리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대응 방안은 정부의 지원 하에 한․일 시민단체와 역사교 사가 협력하여 공동교과서를 집필하는 것
- 독일과 폴란드의 사례를 볼 때,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므로 중․장기적인 계획과 추진력 필요
- 게다가 한․일문제는 일본이 강대국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평등한 입장에서 문제 해결 이 어려움
- 아래로부터의 연대와 협력을 시도해 나가야 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