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

 1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1
 2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2
 3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3
 4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4
 5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5
 6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림, 현실비판 근거로서의 성리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들어가는 말

1.사림파의 연원과 계보

2.사림파 인물

①김종직(1431~1492)
②김굉필(1454~1504)
③정여창(1450~1504)
④조광조(1482~1519)
⑤이언적(1491-1553)

3.사림파의 특징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사림파의 연원과 계보

사림이란 원래 어의상으로 ‘사족’(士族),‘사류’(士類) 등과 동일한 의미로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의 집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역사적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시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두어 달리 쓰여 왔다. 이때의 ‘사림’은 15~16세기 정치 상황과 관련하여 훈구 세력에 상대되는 의미로 주로 쓰인 것이다. 조선 건국 후 훈구 세력이 경제적 기반을 점유하면서 부조리가 발생하자, 이에 반발하면서 중앙 정계에 진출한 사류를 중심으로 정치 세력을 형성하면서 사림이란 용어를 주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사림파는 15,16세기 경제적 권력을 독점한 훈구 세력의 부패와 부조리에 맞서 농업 기술의 발달로 경제기반이 탄탄했던 영남지방의 사류들로부터 출발하였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목표로 하는 주자학을 수용했던 고려 말 신진 사대부 중에는 조선개국 후 벼슬을 버리고 낙향해 영남을 위시한 지방에 물러난 이들이 많았고, 이들이 사림세력의 근간이 된다. 성리학은 성명(性命)과 의리(義理)를 강조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우주의 생성원리와 인간의 선천적 본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사변철학으로서 형이상학적 이론이 발전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춘추 의리 정신에 입각한 존왕양이(尊王攘夷)의 대의명분을 실제로 옳기는 실천 역시 그에 못지않게 강조하고 중시되었다. 성리학이 도학(道學)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실천 행위를 강조함에 붙은 이름이기도 하다. 조선의 성리학은 15세기 중엽부터 대두하기 시작했고 이때는 곧 사림파 학자들이 주체가 되어 성리학을 실천에 옮기기 시작한 때이므로 그들의 학통(學統)의식을 고려하면 사람파의 연원은 고려 말의 절의파에서 찾을 수 있다. 기대승(1527~1572)은 우리 나라 성리학의 학통을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규정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이병도, 한국유학사, 아세아 문화사, 1989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