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

 1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
 2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2
 3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3
 4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4
 5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5
 6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6
 7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7
 8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8
 9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9
 10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0
 11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1
 12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2
 13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3
 14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4
 15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5
 16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6
 17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7
 18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8
 19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기

2.시조 개관

3.시조 작품 분석

3.1.「어부단가」를 통해 보는 강호가도

3.2.다른 강호시조의 자연 인식 양상

4.문화 컨텐츠 - 자연을 벗 삼아 떠나는 시조기행

4.1.바람도 쉬어가는 농암종택에서

4.2.시조야 놀자

4.3.외국인을 위한 시조학교(Sijo School)

5.나가기

본문내용
1. 들어가기
우리 문학이 태동한 고대에는 음악, 무용, 시가가 분화되지 않은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이 남북국으로 정리된 중세 전기에는 불교가 보편 종교로 자리 잡았을 뿐 아니라 한문학이 공동 문어 문학의 구실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 민족의 고유의 가사 양식인 향가가 등장 하였으며, 이것은 민요적 양식에서부터 개인 서정시 양식으로까지 점차 발전하였다.
예부터 민족이 있는 곳에 그 특유의 시가 있어 왔다. 그중 한문 문학권인 동양 3국을 살펴보면 중국에는 5언, 7언 등의 한시가 있고, 일본에는 하이쿠(俳句) 등 고유시가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한국 특유의 가형(歌形)을 가진 시조가 있다.
시조는 우리 고유의 정형시로서 우리의 언어, 습속, 정신 등, 우리 민족의 모든 것이 자연스레 내장된 그릇이다. 우리는 이러한 시조에 대해서 더 알아보고자 하며, 나아가 우리들 속에서 잊혀져가는 시조를 대중화 할 방안을 찾고자 한다.


2. 시조 개관
시조는 고려 후기 신흥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고 다양한 정서를 담고자 하는 노력으로 나타나게 된 문학 양식으로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러서는 국민 문학으로 자리 잡게 된다.

2.1. 시조의 명칭
시조는 단가(短歌)라 불러, 장가(長歌 : 고려가요·경기체가 등)에 비해 짧은 형식의 노래라는 뜻으로 호칭되던 것이 그 후 단가에 곡조를 맞추어 부르게 됨으로써, 이런 곡조를 영조(英祖) 때 가객(歌客) 이세춘(李世春)이 시조라 하였으나 그 뒤 가사(歌詞)까지를 합쳐 시조라 부르게 되었고, 이 후 곡조는 빼놓고 단순히 작품내용만을 시조라 하기에 이르렀다. 시조란 시절의 노래, 즉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약칭으로서 시절가(時節歌)·신조(新調)·시조(詩調)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그 호칭이 시조 하나로 굳어져 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요즈음에는 시조라 하면 가락이나 곡조를 합친 의미로는 전혀 쓰이지 않고 오직 작품내용의 호칭으로만 쓰이고 있다. 한편 영조 이전에는 곡명이 아닌 작품내용의 호칭으로서 단가 외에 신번(新飜)·영언(永言)·장단가(長短歌)·시절단가(時節短歌)·가요(歌謠)·가곡(歌曲)·악장(樂章)·신성(新聲) 등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으나 역시 단가가 그 호칭의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 김제현, 『사설시조 문학론』, 새문사, 1997.
․ 김진영, 「17세기 사대부 시조 연구 : 강호 시조와 훈민 시조를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석사 논문, 2009.
․ 성기옥 ․ 손종흠 공저,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2003.
․ 이광식, 『우리 옛시조 여행』, 가람기획, 2004.
․ 정재호, 『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 정흥모, 『조선후기 사대부 시조의 세계인식』, 月印, 2001.
․ 김광순 외 15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5
․ 농암종택 : http://www.nongam.com
․ 영어시조 : http://blog.naver.com/poetrysun?Redirect=Log&logNo=88904716
․ 도산서원 : http://www.dosanseowon.com
․ 유교문화 박물관 : http://www.confuseum.org/
․ 오마이뉴스 : 속세를 끊은 마을, 떠나기가 싫었네 [안동지역의 시가기행 ②] 농암 이현보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