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

 1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
 2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2
 3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3
 4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4
 5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5
 6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6
 7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7
 8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8
 9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9
 10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0
 11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1
 12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2
 13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3
 14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4
 15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5
 16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채만식의 해방이후 소설 연구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을 바탕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연구사 검토

Ⅱ. 본론
1. 채만식의 생애와 문학세계
1) 채만식의 생애
2) 채만식의 문학세계
2. 포스트콜로니얼을 통해 바라본 「민족의 죄인」
3. 포스트콜로니얼을 통해 바라본 후기 작품 분석
1) 「미스터 방」
2) 「논 이야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방법

채만식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지배 체제의 영향 하에서 성장하였다. 어려서는 한문학을 수학하기도 했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근대적 교육을 받으면서 조선 전체의 체제는 물론이고 일상에까지 식민적 재편성이 급속하게 진전되어 있는 상황에서 성장기를 보낸 것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의 인식 속에는 긍정적 지향 대상으로서의 일본과 부정적 배제 대상으로서의 일본이 끊임없이 뒤섞였을 것이다. 그 결과 일본에 대한 채만식의 태도는 긍정적 수용, 적대적 저항, 그리고 긍정과 저항을 오가는 동요와 동요하는 자신에 대한 냉소라는 여러 차원을 동시에 오가게 된다. 그리하여 그의 작품에는 반일적 요소와 친일적 요소가 동시에 드러나는가 하면, 식민지 체제에 대한 동화와 식민지 체제에 동화하는 자신에 대한 환멸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면이 공존하는 채만식의 문학은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렵다. 물론 친일이라는 논쟁을 할 때 어디까지가 친일이고 어디까지가 친일이 아닌지를 나누는 작업이 매우 주관적인 것임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가 친일작가로 규정되고, 특히 해방이후 자신의 친일을 반성하는 자전적 소설 「민족의 죄인」을 썼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는 해방이후 그의 작품 중 「민족의 죄인」을 중심으로 「미스터 방」과 「논 이야기」를 선택해 고모리 요이치의 『포스트콜로니얼』 고모리 요이치, 송태욱 역,『포스트 콜로니얼』, 삼인, 2002.
의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 연구사 검토

채만식 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1970년대 이후부터이다. 그 이전까지의 연구는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빈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 원인으로는 시대적인 환경이 조성되지 못한 것에 있다. 채만식이 세상을 떠난 50년에는 6․25라는 혼란기가 있었으며 그와 함께 문학을 하던 문인들이 대부분 6․25를 전후하여 남북으로 흩어져버렸다. 신동한,「채만식론」, , 1972, p.147.
또한 문학계에서도 채만식의 문학에 대한 안목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도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1935년 최재서는 「풍자 문학론」에서 채만식을 대표적 풍자 작가로 보았으며, 1938년 임화는 세태소설가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평은 별 비판 없이 김기진, 김남천, 백철 등으로 이어져 그를 동반작가, 세태소설가, 풍자작가 김기진, “조선문학의 현재수준 - 동반자적 경향의 작가”, , 1934.1.
김남천, “세태․풍자소설가 - 세태․풍자․묘사․기타”, , 1938.5.
백 철, “풍자작가 - 채만식형의 문학적 모습”, 2집, 1956.8.
로 규정하였다.
그러다가 1970년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 PEN 대회에서 ‘동서 문학의 해학’이라는 주제 발표 이후 채만식에 대한 평가는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전까지의 사상논쟁을 벗어나 식민지시대의 사회의식과 작가의식의 문제, 풍자적 수법과 같은 작품기법의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어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고 기존의 견해에 대하여 다른 견해를 보이는 다양한 연구들이 나왔다.
참고문헌


고모리 요이치, 송태욱 역,『포스트 콜로니얼』, 삼인, 2002.
조창환, 『해방전후 채만식 소설연구』, 태학사, 1997.
채만식, 『레디메이드 인생』, 문학과 지성사, 2004.
프란츠 파농, 이석호 역,『검은 피부 하얀 가면』,인간사랑,1998.
하희정 외, 『현대소설 너를 읽어주마』, 즐거운 학교, 2003.

김성수, 「이야기의 전통과 채만식 소설의 짜임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4.
김재용, 「세계질서의 위력과 주체 부재의 저항-해방직후 채만식의 소설을 중심으로」,『채만식 문학 의 재인식』, 문학과 사상 연구회. 소명출판. 1999.
김 현, 「식민지 시대의 문학」, 문학과 지성, 1971.5.
신동한, 「채만식론」, , 1972,
유태영, 「채만식의 풍자와 친일」, 한민족문화학회, 2002.
윤대석, 「1940년대 '국민문학'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윤병로, 「채만식론」, 『현대작가론』, 삼우사, 1975.
이동하, 「이광수와 채만식의 해방기 작품에 대한 연구」, 제16호, 배달말학회, 1991. 12.
이수라, 「蔡萬植 小說 硏究」, 전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9.
이주형, 「채만식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73.
한혜경, 「채만식 소설의 언술구조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