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

 1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
 2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2
 3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3
 4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4
 5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5
 6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6
 7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7
 8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8
 9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9
 10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0
 11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1
 12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2
 13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3
 14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4
 15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5
 16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6
 17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7
 18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8
 19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19
 20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1.7.1. 민속극 · 창극 · 신파극의 위치
11.7.2. 희곡 작품의 출현 양상
11.7.3. 학생극 운동과 김우진
11.7.4. 토월회 시기의 작품
11.7.5. 김정진과 김영팔
본문내용
11.7.1 민속극・창극・신파극의 위치

1. 민속극
1.1 민속극의 개념
- 민속극: 민간층에 의해 창작되고 전승되어온 연극.
대중이 생활상의 필요에 의해서 공동으로 보존하고 재창조하는, 문자기록에 의존하지 않는 연극을 말한다. 연극의 독자성·독립성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가면극·인형극만이 민속극의 범주에 포함되며, 연극적 특성에 주목할 때는 판소리·그림자극·농악·잡색놀이까지 민속극의 범주에 포함된다.

1.2 민속극에 대한 외면
민속극은 일제의 탄압을 받고 새로운 구경거리에 관중을 빼앗기기도 하는 시련을 겪으며 1930년대까지 공연이 지속되었으나 연극으로 인식되지는 못하였다.
민속극은 민중문화로 자라나 존재 자체가 제대로 인식되어있지 않아 정당한 평가를 받기 어려웠다. 개화지식인들이 서양 연극을 받아들일 때에도 우리나라에 연극이라고는 아예 없다고 생각하였으며 1970년대에 와서야 그런 시각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민속극은 극소수 전문가에 의해 조사, 연구 되었으나, 정작 창작, 문학 운동을 일으키는 사람들은 관심을 보이지 않아 민속극과 연극 사이에 아무 통로도 없었다. 민속극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을 때에도 개탄하는 여론조차 없었고, 1970년대에 와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했으나 명맥이 잘 유지되었다고 하는 것들도 한창 시절의 모습은 아니다.

1.3 근대 민속극 연구 성과
송석하 - 1932년에 조선 민속학회를 창립
각 지역을 답사해 민속극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 그 유래를 고찰.
정인섭 - 를 제 1집에 내고 탈놀이 대본을 제시
민속에 대한 애착으로 작업, 민속극의 연극으로서의 가치는 연구하지 않음.
김재철 - 1933년 . 연극의 기원에서부터 당대까지의 연극사를 통괄
연극의 전통에 대한 이해를 그릇되게 하였다는 평을 듣기도 함.
1.4 비판점 및 보충자료
참고문헌
권순종, 『김영보 희곡집』, 중문출판사, 1999.
김원중, 『한국 근대희곡문학 연구』, 정음사, 1986.
김호연, 『한국 연극의 새로운 인식』, 연극과 인간, 2004.
박진태, 『한국 고전극 연구사 70년』, 대구대학교출판부, 2005.
박황, 『창극사연구』, 백록출판사, 1976.
서연호, 『김우진 전집 1』, 연극과 인간, 2000.
『한국 근대 희곡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6.
『한국 근대 희곡사 연구』, 고려민족문화연구소출판부, 1982.
『한국연극사 : 근대편』, 연극과 인간, 2004.
『한국 희곡 전집 1』, 태학사, 1996.
서연호·홍창수 편, 『우리 연극 100년』, 현암사, 2000.
심상교, 「김영보 희곡 연구」, 『어문논집』34, 민족어문학회, 1995.
오청원, 「윤백남론(1)」, 『연극학보』21,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990.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2000.
『한국현대희곡사』, 홍성사, 1982.
『한국인물연극사 1』, 태학사, 2006.
유영재, 「일제 강점기 한국 학생극 운동 연구:학교극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1.
유진원, 『한국희곡과 여성주의비평』, 집문당, 1996.
이두현,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이미원, 『한국근대극연구』, 현대미학사, 1994.
이은경, 『수산 김우진 연구』, 월인, 2004.
이은희, 「김영팔론의 현단계와 쟁점」, 『한국 근대희곡 연구사』, 해성, 1994.
이재명, 『우리 극문학의 흐름 1』, 평민사, 2000.
조근태 편, 『우리 연극 100년』, 현암사, 200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2008.
한국연극협회, 『한국현대연극 100년 : 인물연극사』, 연극과 인간, 2009.
한옥근, 『한국 고전극 연구』, 국학자료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