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

 1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1
 2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2
 3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3
 4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4
 5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5
 6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6
 7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7
 8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8
 9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9
 10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10
 11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11
 12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12
 13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13
 14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윤리] 한비자(韓非子)의 정치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1. 들어가며
2. 한비자 사상의 대두 배경
2.1. 시대적 배경
2.2. 한비자의 인간관
3. 한비자의 역사철학
4. 한비자의 정치사상에서 드러난 통치방법
4.1. 법·술·세의 개념
4.2. 한비자의 법치론에 나타난 법과 술․세의 관계
4.2.1. 法과 術의 관계
4.2.2. 法과 勢의 관계
4.3. 군주의 실제적 통치방법- 신상필벌(信賞必罰)
5.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전국시대 말기 중앙집권적 전제정치 체제를 적극적으로 창도한 법가이론의 집대성자인 한비자(韓非子, 기원전 약 280~233)의 생애는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선천적으로 말을 더듬는 장애를 안고 태어난 한비자는 자신의 생각과 정견들을 입으로 표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글로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는데, 그것이 현존하는 『韓非子』이다. 한비자의 삶과 학술에 대하여 『사기』의 「한비열전」을 토대로 살펴보도록 하자.
한비(韓非)는 한(韓)나라 제후의 서자(庶子)로 태어났으며, 이사(李斯, 기원전 ?~208)와 함께 순자에게서 배웠다. 한비의 청년기에 그의 조국인 한은 강대한 이웃 나라에게 군대를 잃고 자주 영토를 유린당했기 때문에, 한비는 왕에게 여러 차례 국정 개혁에 관한 상소를 올렸으나 한왕(韓王)은 그것을 수용하지 않았다. 한비는 군주들이 나라를 다스림에 법제를 정리하고 밝히는 일에 힘써 군주의 위세로써 신하들을 제압하고 부국강병을 실현하기 위해 인물을 구하여 책임을 맡기는 일은 하지 않고서 도리어 부화하고 유해한 국익의 좀벌레들을 천거하여 나라의 공실보다도 더 위에 놓는 것을 비판하였다. 그는 「孤憤」(고분), 「五蠹」(오두), 「內外儲」(내외저), 「說林」(설림), 「說難」(세난) 등 십여만 자의 글을 지었다. 후에 어떤 사람이 한비의 책을 진나라에 전하니, 진왕(秦王, 즉 秦始皇)이「孤憤」과「五蠹」의 글을 보고서 “아아, 과인이 이 사람을 만나서 교유하면 죽어도 한이 없겠도다!”라고 말했다 한다.
기원전 234년, 진나라가 한을 급박하게 공격하자 한왕은 일찍이 한비를 기용하지 않았으나 한비를 진에 사신으로 보냈다. 한비는 진왕을 설득하여 조국의 위기를 구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오히려 진왕은 그를 보고 매우 기뻐하며 그를 진나라의 인재로 쓰려고 하였다. 이에 자신의 입지가 위태롭게 될 것을 우려한 이사와 요가는 한비를 모해하기 위해 그를 헐뜯어 말했다. 진왕은 그를 받아들여, 한비를 옥에 가두게 하였다. 이사는 한비에게 독약을 보내 자살하도록 하였고, 한비는 진시황을 만나 스스로 해명해 보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룰 수 없었다. 진왕이 나중에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고 사람을 시켜서 그를 용서하려고 했으나, 한비는 이미 죽은 몸이었다.
참고문헌
김예호, 한비자의 법치론에 나타난 술․세개념 분석, 동양철학연구회, 1999.
김예호, 한비자 명실론과 법치의 실제성, 한국동양철학회, 1998.
남만성, 『한비자』, 양우당, 1983.
송영배 편,『제자백가의 사상』, 현음사, 1994.
이동희, 『韓非子의 法思想』,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풍우란 저, 정인재 역,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89.
한비자 외 저, 배종호 외 역, 『한비자 묵자 순자』, 삼성출판사, 199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