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간계내과][논문요약]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

 1  [한의학][간계내과][논문요약]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1
 2  [한의학][간계내과][논문요약]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2
 3  [한의학][간계내과][논문요약]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3
 4  [한의학][간계내과][논문요약]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간계내과][논문요약]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B형간염바이러스의 구조

-B형간염바이러스와 간세포암종과의 연관성에 대한 역학연구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 발생 과정

-B형간염바이러스 DNA의 통합(integration)

-간세포암종 발생 과정에서 HBX의 역할

-유전자적(genetic) 및 후성학적(epigenetic)변화

-유전자의 단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과 간세포암종의 발생 및 진행

본문내용
간 종양

B형간염바이러스 관련 간세포암종의 발암기전
대한간학회지, Vol.13, No.3, Startpage 320, Endpage 340, Totalpage 2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울산대학교병원 생의과학 연구소, 서울아산병원
박능화․, 정영화


간계내과 논문 conference


B형간염바이러스의 구조
B형간염바이러스는 hepadnavirus과(family)에 속한다. B형간염바이러스 입자(virion)는 직경이 약 42nm인 구형으로 HBsAg을 포함하는 외피(envelope)와 직경 약 27nm의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인 핵(cor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은 HBeAg, 바이러스 DNA, DNA polymerase와 잠재(cryptic)형태의 HBsAg를 포함하고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 DNA 내에는 preS1, preS2, X, C 촉진자(promoter)가 있고 전사가 끝나는 지점에는 polyadenylation이 된 부위가 있다. 그러므로 mRNA의 5’쪽 위치는 각기 다르나 3’쪽은 일정하여 각기 3.5kb, 2.4kb, 2.1kb, 0.7kb의 mRNA가 전사되고 있다. 이 중 X 유전자의 산물인 HBx 단백질은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여러 유전자들의 전사(transcription)를 촉진시키는 활성인자(transactivator)로 작용하여 간세포암종의 발생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와 간세포암종과의 연관성에 대한 역학연구
극동 아시아나 아프리카와 같이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률이 높은 지역에서 간세포암종이 많이 발생하며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HBsAg의 양성률은 매우 높다.
Beasley 등의 대규모의 전향 장기간 추적연구에서 HBsAg 음성인 사람에 비하여 HBsAg 보유자에서 간세포암종의 발생이 약 100배 이상 높았으며 또 다른 대규모 전향연구에서도 약 6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과거에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되어 B형간염바이러스 표면항체(anti-HBs)를 가지고 있거나 B형간염바이러스 핵항체(anti-HBc)를 가진 사람에서 B형간염바이러스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사람보다 간세포암종 발생률이 수배 이상 높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