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1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
 2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2
 3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3
 4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4
 5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5
 6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6
 7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7
 8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8
 9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9
 10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0
 11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1
 12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2
 13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3
 14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4
 15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5
 16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6
 17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7
 18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8
 19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19
 20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심리학] 자기결정성 이론(SDT)의 자기결정감,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상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 문제
C. 용어정의
가. 상위권 학습자
D. 연구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A. 관련이론 고찰
1. 자기결정성 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가. 자기결정감
나. 학문적 자기조절감
B.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A. 연구의 모형
B. 연구 대상
C. 검사 도구
1. 자기결정감 검사지
2. 학문적 자기조절감 검사지
3. 학업성취도
D. 연구절차
E.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A. 하위요인들간의 관련성
B. 자기결정감과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
C. 학문적 자기조절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D.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Ⅴ.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부록

본문내용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Ryan과 Deci(2000)에 따르면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이란 어떤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개인의 내재적 동기화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구안된 개념으로 동기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동기이론에 따르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자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학업성취가 높아진다. 따라서 학습상황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학습자 자신의 의지는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기존의 연구들은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심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그에 맞춘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설계와 과정 및 평가가 가능하다고 보았다.(정해순, 2006)
그러나 2003년 실시되었던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결과는 꼭 학습동기가 항상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지만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에 따르면 2003년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우리나라는 문제해결력 1위, 읽기 2위, 수학 3위, 과학 4위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이 수학적 소양에서 각각 28위, 6위에 머무른 것과 비교해 보면 매우 놀라운 결과다.
그러나 PISA 2003 학생 설문에서 학생들의 학습 심리적 배경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을 예로 들면 수학에 대한 흥미도 조사에서 ‘나는 수학 수업 시간이 기다려 진다.’는 문항에 ‘그렇다.’라고 대답한 우리나라 학생은 22%, 미국 학생은 40%이다. 또한 ‘수학 과목에서 나쁜 성적을 받을까봐 걱정이 된다.’라는 문항에 ‘그렇다.’라고 대답한 우리나라 학생은 78%, 미국 학생은 47%이다. 수학에 대한 동기 순위에서는 학업성취도와는 반대로 40개국 중에 38위를 하였다. 또한 수학에 대한 자아관련 신념은 39위, 수학에 대한 능동적 학습 전략은 39위였다.
참고문헌

강순자공저 (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자기조절학 습, 학습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욱학회지30. 190-196

권오남공저 (1995). 수학의 수행능력에 관한 남녀차이의 고찰(Gender-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Performance). 한국여성학11. 202-232

김기옥공저 (2006). 대인관계성향이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지24. 83-94

김아영 (2001).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구분. 교육심리연구.15, 97-119

김아영 (2002).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 육심리연구 16, 169-187

김윤경 (2005). 자기조절학습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능력과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영 (2007)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경진 (2006).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영어 독해지도가 학습자의 성격유형 에 따른 독해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순영 (2006).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결정성 동기유형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대구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영회 (2005). 중학교 과학,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 동 기유형과 실패내성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남희 (2007).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자기 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관 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봉 (2003).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소정 (2007). 자기조절 학습전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지현 (2005). 지각된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 학위 논문

정해순 (2006). 자아개념, 자기조절학습, 자기효능감 및 미술학습 성취동기와의 관계.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병연 (2003). 독해전략 교수법이 초인지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 구회 제 17권. 167-18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소양, 읽기소양, 과학적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연구. KICE연구리 포트

Deci & Ryan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 Pleunm

Deci & Ryan (2000) Deci and Ryan"s Self-Determination Theory: A View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Deci & Ryan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Dale H. Schunk (2002)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theoretical perspectives, edited by Barry J. Zimmer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