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

 1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1
 2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2
 3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3
 4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4
 5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5
 6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6
 7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7
 8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8
 9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9
 10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10
 11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산림생태학] 방형구 조사법과 선상법을 이용한 백운산 한재 계곡 식생 구조 파악 및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개황

2.2. 조사 방법

(1) 준비물

(2) 식생 조사 방법

(3) 자료 분석 방법

2) 선상법에서의 중요도 구하기

3) 다양성 지수 및 균등도 구하기

가) Simpson's diversity index

나) Shannon's diversity index

3. 조사 결과

(1) 조사 방법 별 수종 구성 및 중요도

(2) 조사 방법 별 다양성 지수 및 균등도

4. 고찰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표본조사법은 표본점을 추출하고 이것을 측정하여 전임분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즉, 전체를 조사하는 대신 적은 구역 또는 적은 본수를 선출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김갑덕, 2006).
지역의 식생 분포를 조사하는 방법 중에는 방형구 조사법(Quadrat sampling method)과 선상법(Line transect sampling method)이 있다. 방형구 조사법은 개체군이나 군집의 종조성과 구조를 정량적으로 조사하는 표본추출법이다. 방형구의 모양은 대개 정방형이거나 장방형이지만 편의에 따라 원형이나 다른 모양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선상법(Line transect sampling method)은 어떤 군락 내에 기점을 정하고 여기서 임의의 방향으로 직선을 그은 후에 이 선에 따라 식생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방형구를 설치하는 것이 공간적, 시간적으로 어려운 경우 사용한다. 야외에서 넓은 초원이나 산림에서 이 선에 접하는 식물을 기점으로부터 순차로 조사, 기록해 나가는데 이 때 각 식물의 위치를 도시(圖示)한다(여천생태연구회, 2005).
백운산 한재 계곡 지역의 식생을 방형구조사법과 선상법으로 조사함으로써 각각 종 구성, 상대밀도, 상대피도, 상대밀도 및 중요도, 다양성지수, 균등도 등을 구하고 이에 근거하여 식생 구조를 파악하며, 그 결과를 통해 방형구조사법과 선상법으로 도출된 각각의 식생 구조의 차이를 서로 비교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갑덕, 2006, 『개정 삼림측정학』, 향문사, pp. 108-138.
이경준, 1996, 『산림생태학』, 향문사, pp. 97-120.
박겸준·김장근·장창익, 2007, Line transect에서 발견율함수 추정에 사용되는 모델에 따른 살쾡이, Neophocaena phocaenoides의 자원개체수 추정, 한수지, 40(4), pp. 201-209.
Eguchi T, Gerrodette T, 2009, A Bayesian approach to line-transect analysis for estimating abundance , Ecological Modelling, Vol. 220, no. 13-14, pp. 1620-1630.
De Segura, Amaia Gomez, Hammond, Philip S, Canadas, Ana, Raga, Juan A, 2007, Comparing cetacean abundance estimates derived from spatial models and design-based line transect method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329, pp. 289-299.
Okamura, Hiroshi, Kitakado, Toshihide, Mori, Mitsuyo, 2005, An improved method for line transect sampling in Antarctic minke whale surveys, Journal of cetacean research and management, Vol. 7, no. 2, pp. 97-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