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

 1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
 2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2
 3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3
 4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4
 5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5
 6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6
 7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7
 8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8
 9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9
 10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0
 11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1
 12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2
 13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3
 14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4
 15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5
 16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6
 17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7
 18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8
 19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19
 20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입학사정관제’ 폭풍이 온다

2. 입학사정관제의 이해
1) 입학 사정관 전형 이란
2) 입학사정관이란

3. 입학사정관제 도입배경 및 목적
1) 입학사정관제의 도입배경
2) 입학사정관제의 목적

4. 입학사정관제의 해외사례
1) 미국의 입학사정관제도
2) 일본의 입학사정관제도

5. 입학사정관제 도입 현황

6. 입학사정관제의 장단점

7.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

8. 마치며

9.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입학사정관제의 도입배경 및 목적

1) 입학사정관제의 도입배경

입학사정관의 도입배경은 2004년 10월 28일 발표된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
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개선안에는 2002년 이후의 대입제도
개선안에 대한 평가와 함께 당시의 문제상황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2008학년도 대입제도 개선안의 주요 추진배경으로 우수학생에 대한 개념적
변화와 함께 다양한 교육적 요구가 표출된 점을 지적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특기, 리더십, 봉사성 등 다양한 능력
을 갖춘 학생을 우수학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확대되었고, 학생들의 적성이나 소질 등을
고려한 다양한 고교 교육과정에 대한 요청이 증대되어 이를 대학의 학생선발과 연계시킬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당시 시행되고 있던 대입제도의 성과로는 시험점수 보다는 학생의 특기, 적성, 경력 등을
다양하게 반영하는 특별전형이 증가하였다. 모집인원 대비 특별전형의 비율도 2002년에
32.3%에서 2005년에는 37.4%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별전형의 유형도 매우 다양하여 ‘특기
자, 취업자, 자격증 소지자, 학교장 등 추천자, 선효행자, 소년소녀가장, 국가유공자 손.자녀,
만학도, 지역균형선발 전형’등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수능성적보다는 학교생활기록부 위주
로 선발하는 ‘수시모집’의 비율이 증가한 점, 수능의 영역 가운데 선별하여 전형요소로 사용
하는 점 등을 주요 성과로 삼았다. 권순환, 「한국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화사, 2008.

개선안에서 제기한 당시의 주요 문제점은 첫째, 학교생활기록부를 강조하는 경향이 성적
부풀리기 현상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대학이 학생부를 신뢰하지 않은 점, 둘째, 수능의
세밀화로 인한 사교육비 유발문제, 셋째, 대학별 특성화된 전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 넷째, 특목고의 입시학원화 심화현상 등이었다. 이 네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생활기록부의 공정성을 강화하면서 반영비중을 높이려는 의지, 수능등급제의
개발, 다양한 전형을 유도할 수 있는 대입전문조직의 구성, 그리고 사회통합과 관련된 전형
의 확대 실시가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되었는데, 결과적으로는 2007년 초반기에 대학과 정
부 간의 내신반영 비율에 대한 논란, 후반기의 수능등급제에 대한 논란으로 이어졌다. 이
가운데 세 번째 과제의 세부 추진과제로 ‘입학사정관 제도’의 도입이 제기되었다. 대입전형
의 전문화 체제 강화 방안으로 도입된 입학사정관 제도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입자율화의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간주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 단문 및 논문

1. 권순환,「한국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화사, 2008.
2. 교육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제 길라잡이」, 2009.
3. 김영화,「한국 교육의 난제 그 해법을 묻는다」, 대화문화아카데미, 2009.
4. 남보우, 「대입전형 자율화 시대의 입학사정관제 정착 방향」, 단국대학교, 2008.
5. 박승렬,「대학 학생선발제도의 변화요인에 따른 대학입학전형의 다양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05.
6. 박혜림,「대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7. 정일환, 「대학입학사정관제 운영의 내실화 방향」,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7.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침서 개발 연구」, 2008.

 기사

1. 교육과학기술부,「대학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확보 방안 연구」, 2008.08.22일.
2. 신상윤,「“입학사정관제 현수준 유지” 60.3%」,헤럴드경제, 2009.10.05일.
3. 장재용,「입학사정관제, 공정성‧인력 문제 도마에」, 한국일보, 2009.03.18일.
4. 「입학사정관제 정착하려면 내실부터 다져야」, 중앙일보, 2010.01.30일.
5. 「입학사정관제 不正이 'MB 교육' 흔들 수도」, 조선일보, 2010.02.25일.
6. 「입학사정관제, 잠재력·가능성 평가 난항」, YTN, 2009. 10. 10일.

 참고사이트

입학사정관제 http://uao.kcu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