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

 1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1
 2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2
 3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3
 4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4
 5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5
 6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6
 7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7
 8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8
 9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9
 10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10
 11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11
 12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12
 13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13
 14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론] 제3장 국어 교과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과서가 없다면 국어 수업은 어떤 모습일까?
1) 교과서의 개념과 성격

(1) 교과서의 개념

① 프로그램의 일종
②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③ 교수․학습의 매개체나 도구
④ 교과서 내용에 초점

(2) 교과서의 성격

2) 교과서의 기능과 위상

(1) 교과서의 위상
(2) 교과서의 기능

3) 좋은 교과서의 요건

(1) 좋은 국어 교과서의 요건
2. 교과서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 있는가?

1) 교과서 내용의 두 축 : 교육과정과 글 제재

(1) 교과서를 구성하는 기본 축 : 교육과정

① 확장

② 축소

③ 추가

④ 삭제

(2) 교과서를 구성하는 기본 축 : 글 제재와 활동

(3) 교육과정 중심과 글 제재와 활동 사이의 관점

2) 교과서 단원 구성 요소와 그 내용

(1) 도입부

(2) 전개부

(3) 정리부

3. 교과서는 어떻게 짜여 있는가?

1) 단원 구성 방식

(1) 문종 중심 단원 구성 방식

(2) 주제 중심 단원 구성 방식

(3) 목표 중심 단원 구성 방식

2)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서 체제

(1) 초등학교 교과서

(2) 중학교 교과서

(3) 고등학교 교과서

4. 교과서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1) 바람직한 교과서관

(1) 글 중심 교과서관―‘교과서를 공부한다’
(2) 목표 중심 교과서관―‘교과서로도 공부할 수 있다’

2) 교과서 재구성의 필요성과 방법

(1) 교과서 재구성의 필요성

(2)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전략과 교과서 평가 기준

(3) 교과서 재구성의 방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교과서의 기능과 위상

(1) 교과서의 위상


교과서는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텍스트로 존재하지 않고, 그를 둘러싼 중층적 환경 속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며 여러 요인과 상호작용을 하며 존재한다.

(2) 교과서의 기능
① 학습자와의 관계 측면 : 교과서는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며, 잠재적 교육과정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② 교사와의 관계 측면 : 구체적인 교수 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③ 교실 교수·학습과의 관계 측면 :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주요 매체이다. 선켈은 교실 수업 현상을 ‘이중 교사’교실이라고 지칭하기도 하였다.
④ 교육 공동체 혹은 교육과정과의 관계 측면 : 교육 공동체의 가치와 신념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구체화하며, 그것을 개발하는 주체의 가치와 신념도 반영한다.
⑤ 교과서가 기여하는 측면 : 교육 내용을 표준화하고, 교육의 질적 수준을 균등화하는 데 기여한다.
⑥ 사회·정치·문화 공동체와의 관계 측면 : 교과서 중에서도 국어 교과서는 학습자를 우리 언어문화 공동체로 입문시키는 역할을 하고, 문화적 문식성 특정 공동체 안에서 그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고, 생산하는 능력.
을 계발하고 형성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사회․정치적 가치를 반영하기도 한다.

3) 좋은 교과서의 요건

(1) 좋은 국어 교과서의 요건
① 학습자가 의미 있는 국어사용 경험을 하도록 실제적인 자료와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습’을 위한 자료와 활동으로서 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통하는’ 자료와 활동이어야 한다.
② 학습자의 문화적 소양을 고양하여 언어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것을 향유, 창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학습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텍스트 자체만으로도 학습자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다.
③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상호작용을 촉발한다.
④ 심층적 교육과정을 실현한다. 표층적 교육과정의 ‘무엇을’, ‘어떻게’라는 답을 넘어서 근원적으로 ‘왜’라는 철학적, 인식론적 물음에 대한 가치 지향적 답을 유도한다.
⑤ 주체적이고 창조적으로 언어를 쓸 수 있도록 언어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반영한다.
⑥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낸다.
⑦ 학습자를 지원한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1-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2-2』, 교육인적자원부, 2002.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소명출판사, 2003.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2002.
최미숙 외, 『국어교육론』, 사회평론, 2008.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