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

 1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
 2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2
 3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3
 4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4
 5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5
 6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6
 7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7
 8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8
 9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9
 10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0
 11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1
 12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2
 13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3
 14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4
 15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5
 16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6
 17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7
 18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8
 19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19
 20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업윤리] 제2부 환경윤리학의 쟁점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Ⅵ. 인간중심주의 윤리 문제
1.인간중심주의 윤리
2.인간중심주의 윤리에 대한 비판
3.개방적 인간중심주의

Ⅶ. 미래 세대의 권리 문제
1. 비상호관계 논증
2. 시간 거리 논증
3. 권리 주장, 청구의 불가능성 논증
4. 비현존성 논증
5. 불확정성 논증
6. 무지 논증

Ⅷ. 환경 위기의 정신사적 근원 문제
1. 유대, 그리스도교적 자연관
2. 기계론적 자연관

Ⅸ. 동물해방의 문제 : 피터싱어
1. 싱어의 동물해방론
2. 싱어의 동물해방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

Ⅹ. 생명중심주의 윤리 문제 : 풀 테일러
1.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윤리
2. 비판적 고찰

Ⅺ. 대지 윤리의 문제 : 알도 레오폴드
1. 레오폴드의 대지 윤리론
2. 비판적 고찰

Ⅻ. 지구 생태계의 복지와 국가 간 분배 정의 문제
1. 지구 생태계의 복리와 구명보트 윤리
2. 분배 정의와 우주선 윤리
3. 양 입장에 대한 평가

XIII. 생태학적 위기 극복을 위한 환경윤리의 실천
1. 생물종의 보호
2. 인구 억제
3. 생활방식에 대한 반성과 개혁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 비현존성 논증 : 미래 세대의 권리 소유에 대한 네 번째 반론은 ‘비현존성 논증’ (the nonactuality argument)를 통해 전개된다. 이 논증은 미래 사람들이 현 단계에서 존재하고 있지 않은 이상, 그들이 현재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넌센스라는 것이다. 오직 현존하는 실체만이 권리를 가지며 현존하지 않는 실체들은 권리의 주체이거나 소유자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패트리지는 ‘미래 세대가 상상 속의 존재일지라도 엄청난 파국이 초래되지 않는 한 필연적이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존재하고, 인류의 생존이 불확실하다고 하여 미래에 대한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라고 반론했다.

(5) 불확정성 논증 : 미래 세대의 권리 소유에 관한 다섯 번째 반론은 ‘불확정성 논증’ (the indeterminacy argument)을 통해 전개된다. 맥클린은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권리를 인간의 어떤 계층에 귀속시키는 것은 적절하지만 그 해당 계층이 자신이 누구인가를 확인할 수 없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졌을 경우는 그러한 귀속이 부적절하다. 지금 ‘미래 세대’로 기술될 수 있는 계층에는 자신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원이 포함되고 있지 않다. ”
그러나 패트리지는 ‘캠프장의 예’ (paradigm of the compsite)를 들어 반론한다. 캠프장의 예는 만일 며칠 동안 어떤 장소에서 캠핑을 했다면 그곳에서 캠핑을 할 다음 사람을 위해 그 장소를 깨끗이 할 의무를 진다는 것은 상식적인 얘기이고, 우리는 다음에 그 장소를 이용할 사람이 어딘가에 현존하고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6) 무지 논증 : 미래 세대의 권리 소유에 대해서 반대하는 마지막 입장은 ‘무지논증’ (the ignorance argument) 이다. 이 논증의 핵심은 미래 사람들이 우리와 동일한 ‘좋은 삶’의 개념, ‘이상적 사회상’의 개념을 공유할지 안 할지를 안다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그들이 우리와 동일한 권리를 소유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구딘은 “우리는 미래 사람들에게 필요한 물건이나 그들의 욕구가 어떤 것인지를 모르며 그러므로 그들ㅇ레 대해서 우리는 아무런 의무를 갖지 않는다. ” 고 말한다. 그러나 파인버그는 “ ‘좋은 삶’의 개념이 지니고 있는 정확한 성격을 아는 것은 그들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데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보고, 우리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이상적 사회상’ 의 개념을 그들도 공유할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가 알고 있다. “ 고 말한다.

Ⅷ. 환경 위기의 정신사적 精神史 역사를 형성하는 근원적인 힘으로서 정신을 고찰하는 역사학.
근원 문제

생태학적 위기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
참고문헌

김일방, 환경윤리의 쟁점, 서광사 2005
김우정, 생명중심적 환경윤리에 관한 연구, 2003 56-6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