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

 1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
 2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2
 3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3
 4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4
 5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5
 6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6
 7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7
 8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8
 9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9
 10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0
 11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1
 12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2
 13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3
 14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4
 15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 포스트 구조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포스트구조주의 개관

❍ 구조주의자

❍ 포스트구조주의자

❍ 바흐친 학파

❍ 에밀 방브니스트

❍ 미셸 푸코

❍ 루이 알뛰세

❍ 롤랑바르트

Ⅱ. 정신분석학 이론들

❍ 자크 라캉

* 상상계(거울단계)

* 상징계

* 실재계

❍ 줄리아 크리스테바

❍ 들뢰즈와 가타리

* 욕망(désir)

* 리좀

* 탈영토화

Ⅲ. 해체론

❍ 자크 데리다

* 데리다 해체와 차연

* ‘말씀중심주의, 로고스중심주의(logocentrism)’

* ‘음성중심주의(phonocentrism)’

* 차연

* 보충

❍ 미셸 푸코

❍ 신역사주의와 문화 유물론

Ⅳ. 포스트구조주의로 작품 읽기 - 소설 ‘아내가 결혼했다’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정신분석학 이론들

❍ 자크 라캉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인 문학 해석에 언어 구조라는 개념을 도입한 사람.
① 인간의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꿈을 통해 표출될 때 응축과 치환이라는 상징적인 방어기제를 통해 나타난다고 보았다. 라깡은 프로이트의 응축과 치환의 개념을 언어규칙인 환유와 은유로 바꾸어 표현했는데, 유사한 여러 가지의 이미지가 한군데 뭉쳐 나타는 응축은 '은유'라 말할 수 있고, 인접한 다른 이미지를 빌려 나타나는 치환은 '환유'라 할 수 있다.
라깡은 이를 다시 소쉬르적인 언어관을 빌려 인간(주체)이 어떻게 기표의 지배를 받는지 설명해냈다. 그에게 은유는 기표가 기표로 대체되는 방식이며, 환유는 기표가 기표로 끝없이 이어지는 연쇄의 과정이다. 따라서 은유는 하나의 기표를 온전한 다른 기표로 대체할 수 있음을 전제하기 때문에 의미창출에 성공하지만, 환유는 기표가 또 다른 기표로 대체되어도 의미 창출에 성공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다른 대상으로 바뀔 뿐이다.
언어가 한 가지 의미에 고정되지 못하고 꼬리에 꼬리를 물 때, 즉 기표만이 존재할 때 그 언어를 통해 생각을 표출하는 인간은 이 기표에 절대적으로 종속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이 언어의 세계 속에서 사는 한 주체는 기표의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기표가 나타나는 방식인 환유와 은유는 인간의 무의식에서도 나타나므로 인간의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② 무의식은 곧 욕망이다.
라캉은 욕망은 곧 환유이며 기표라고 말했다. 앞서 말했듯 기표의 연쇄 과정인 환유 속에서는 온전한 의미를 창출해 낼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완벽한 기의(욕망의 충족)를 갖지 못하고 끝없이 의미를 지연시키면서 이동하는 ‘환유’가 갈구하는 대상을 계속 치환해도 만족을 느낄 수 없는 ‘욕망’의 속성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라캉은 욕망의 근원을 설명하기 위해 프로이트의 욕망이론에 상상계, 상징계, 실제계의 순환론을 접목시켰다. 그의 욕망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징계’부분을 특히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상상계(거울단계)
상상계 단계의 어린아이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이미지와 타인의 이미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타자를 곧 자신처럼 동일시하며 거울에 비춰진 타인의 이미지는 자신의 ‘이상적 자아’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인식에는 ‘보여짐’을 모르는 오직 ‘바라봄’의 시선만이 투영되어있다. 아이는 특히 자신과 가장 가깝게 지내는 어머니(타자)를 자신과 동일시한다. 혹은 어머니(타자)의 욕망을 인식하고, 그 욕망의 대상인 팰러스(남근)을 자신과 동일시한다.
이와 같이 상상계의 아이는 두 가지의 동일시를 갖는다. 하나는 타자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자기중심 동일시이며, 다른 하나는 아이가 어머니(타자)의 욕망을 인식하여 타자의 욕망이 되려고 하는 타자중심 동일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동일시이든 그것은 착각의 세계이며 허구의 세계에서 만들어진 이미지일 뿐이다. 상상계는 이렇듯 상상적 오인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상계에서 형성되는 주체성은 결국 허구적일 뿐이라 할 수 있다. 아이가 외부와 변별되는 자신의 주체성을 갖게 되는 것은 언어적 차이와 부재의 세계인 상징계에서 가능하게 된다.
* 상징계
상징계는 아이가 언어의 세계에 들어서면서 어머니와 분리되고 오이디콤플렉스에서 벗어나는 단계이다. 앞서 상상계의 어린 아이는 어머니에 대해 오이디푸스적인 욕망을 투사하며
참고문헌
· 「현대 문학 이론 개관」. 라만 셀던, 피터 위도우슨, 피터 부루커. 한신문화사. 2000
· 「미셸 푸코」. 양운덕. 살림. 2003
· 「들뢰즈와 가타리」. 로널드 보그. 새길. 1995
· 「비평적 실천 : 포스트구조주의 문학이론의 이해와 적용」. 캐서린 벨지. 신아사. 2003
· 「포스트 구조주의와 문학」. 원철. 한국학술정보(주).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