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1
 2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2
 3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3
 4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4
 5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5
 6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6
 7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7
 8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8
 9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9
 10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10
 11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직심리학]직무스트레스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연구의 배경

ⅰ) 연구 목적

ⅱ) 연구의 학문적 배경

1.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2. 개인-환경 부합 스트레스 요인의 정의

3. 직장 내 일탈행동의 정의

ⅲ)직장 내 일탈행동의 범주와 정의

1. 개인-조직 관계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

2. 개인-직무 관계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

3. 개인-상사 관계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

Ⅱ. 연구 방법

ⅰ)자료 수집

ⅱ)측정 방법 - 문헌 연구

가설 1. 개인-조직 관계의 스트레스가 조직구성원의 일탈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

가설 2. 개인-직무 관계의 스트레스가 조직 구성원의 일탈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

ⅲ)측정 방법-편의 표본

가설 3. 개인-상사 관계의 스트레스가 조직구성원의 일탈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

Ⅲ. 결과

Ⅳ. 시사점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개인-환경 부합을 각각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와의 관계를 통해 정리하였다.

개인-조직 부합
개인-조직 부합에 대해서 일치된 정의는 없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개인-조직 부합을 조직의 문화, 성격, 가치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 가치와 일치되는 정도로 정의 내린다.
개인-조직 부합은 직무만족(Autry & Daughetty, 2003; Vigoda & Cohen, 2002), 조직몰입(Silva, et al, 2002; 송진섭, 유태용, 2005), 상사 및 동료만족(Ravlin & Ritchie, 2006), 이직 및 이직의도(Lauver & Kristof-Brown, 2001; S만 & Ashforth, 1997), 직무스트레스(최명옥, 유태용, 2005), 경력성공(Erdogan, Kraimer & Liden, 2004) 등과 유의한 관계를 지닌다. Cabler과 Judge(1996)는 개인-조직 부합이 조직 내 개인의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개인-조직 부합은 전반적 수행, 조직시민행동과 맥락수행(박지연, 2004; 현희정, 2002; Goodman & Svyantek, 1999) 등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직무 부합
개인-직무 부합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직무가 요구하는 특성 간의 부합 혹은 개인이 요구하는 직무와 직무특성 간의 부합이라고 정의된다(Edwards, 1991). 선발장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인-직무 부합의 개념은 직무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Jansen & Kristof-Brown, 2006).

개인-상사 부합
상사와 부하 간 부합 연구들은 상사와 부하의 가치일치(Colbert, Mount, Harret, Witt, & Barrick, 2004; Krishnan, 2002), 상사와 부하의 성격 유사성(Schaubroeck & Lam, 2002), 상사와 부하의 목표일치(Witt, 1998) 등을 다루었다. 윤광열(1997)은 리더와 부하 간의 부합 수준이 높을수록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이 높고, 이직률은 낮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최명옥과 유태용(2005)의 연구에 따르면, 개인과 상사 부합은 직무만족, 상사스트레스,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직장 내 일탈행동의 정의

직장 내 일탈행동(workplace deviance)이란 조직의 규범을 스스로 위반하여 조직 혹은 조직구성원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다(Robinson & Bennett, 1995). 즉, 조직원이 조직에 대한 불공정을 지각하여 조직 또는 동료 작업자들에 대하여 행사하는 보복행동을 말한다. 이
참고문헌
조직불안의 유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송관재 - 연세대 인간행동연구소, 이재창 - 대전대 산업·광고심리학과)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냉소주의를 통한 자기 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정현선, 하헌경, 박동건 - 고려대 심리학과)
산업 및 조직심리학 9th edition (시그마프레스, Muchinsky. 유태용 옮김, 2009.)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한주원. 박경규,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