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

 1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
 2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2
 3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3
 4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4
 5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5
 6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6
 7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7
 8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8
 9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9
 10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0
 11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1
 12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2
 13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3
 14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4
 15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5
 16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6
 17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7
 18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8
 19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약연구개론]신약의 기원(정경, 외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외경이란 무엇인가

Ⅲ. 구약 외경의 구성
1. 우리가 알아야할 구약시대의 책들
2. 구약 외경에 대한 개신교의 입장
3. 구약 외경에 대한 로마 카톨릭의 입장

Ⅳ. 구약 외경의 정경화 과정

Ⅴ. 신구약 중간기를 볼 수 있는 외경
1. 문학 양식의 변화
2. 사회계층의 변화
3. 메시아에 대한 인식 변화
4. 사후(死後) 세계에 대한 인식 변화
5. 천사와 악마에 대한 인식 변화

Ⅵ. 신약성서에 나오는 외경의 평행구와 외경에 대한 암시
1. 외경의 평행구
2. 외경의 암시
3. 예수와 외경의 관계

Ⅶ. 신약의 외경의 구성과 정경화 과정
1. 외경의 구성
2. 정경화 과정
3. 정경의 선택기준

Ⅷ. 교회 안 외경의 역사
1. 초기교회부터 종교개혁 이전까지
2. 종교개혁 이후
3. 외경의 사용에 대한 논쟁

Ⅸ. 외경이 제반문화에 끼친 영향
1. 영문학
2. 음악
3. 미술
4. 기타

Ⅹ. 나가는 말



본문내용

Ⅴ. 신구약 중간기를 볼 수 있는 외경

신약성서의 저술가들을 비롯해서 초기교회의 성도들은 자신들을 새로운 종교의 창시자들로 여기지 않았다. 이들은 자신들이야말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하나님이 약속하신 언약의 백성이라 생각했다 갈라디아서 6:16을 보면 저자는 교회 공동체를 ‘하나님의 이스라엘’이라 칭하고 있다.
. 때문에 신약성서의 주인공들은 결코 구약의 권위를 훼손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신약성서에 보이는 시대적 분위기와 상황들은 구약성서의 모습과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런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신구약 중간기’ BC 400년경 ‘말라기서’에서 AD 70년 예루살렘이 파괴되기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라 불리는 시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외경은 비록 그 내용이 정경과 같은 권위를 보장받을 수는 없다 하더라도, 구약과 신약의 역사적 이음줄(hyphen)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신구약 중간기에 있었던 다음과 같은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1. 문학 양식의 변화
신약성서 27권의 책 가운데 21권, 즉 전체 권수의 9분의 7이 편지 형식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일곱 교회에 보내는 일곱 편의 작은 편지가 계시록 2,3장에 섞여 있다. 브루스 M. 메츠거, 『외경이란 무엇인가』컨콜디아사, 1979년, p. 168
그러나 구약성서에는 39권 가운데 어느 것도 편지 형식으로 된 것은 없다 열왕기하 19:14나 렘 29:1에서 가끔 편지에 대한 언급이 나올 뿐이다.
.
보통편지(letters)와 구별되는 서한(epistles)을 쓰는 풍습은 알렉산드리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아돌프 다이쓰만의 강조에 의하면, 보통편지(letters)는 개인적인 문서로 일시적인 환경을 취급하는 반면, 서한(epistles)은 보다 높은 수준의 문학적 노력을 들여, 그 서신을 공적이고 영원히 남길 의도로 쓰인다. 위의 책, p. 169
. 신약성서의 편지들은 보통편지와 서한의 양식을 둘 다 갖추고 있었다. 이는 저자가 가지고 있는 심정이 독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친밀함이 드러나면서도, 중요한 종교적 가르침을 수신자들에게 전달하는데 유용했다. 편지를 이와 같이 사용한 것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있던 유대인들이 유대 땅에 남아있던 이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신앙을 격려하는 상황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예레미야의 편지(Letter of Jeremiah)’와 ‘바룩(Baruch)’, ‘마카베오하(The Second Book of Maccabees)’의 서두에 나오는 두 편지 등이 여기에 속한다.

2. 사회계층의 변화
신약성서에서는 자주 언급되지만, 구약성서에는 바리새인이나 사두개인에 관한 언급을 발견할 수 없다. 바리새인의 기원은 셀류코스 제국의 헬라화 정책이 유대인들을 압박하던 시대에 항거한 경건하고 애국심이 강한 유대인들에게서 찾아야 하며, 사두개인의 조상은 위와 같은 시대에 세력이 강한 세속적 제사장 무리가 외부 세력과 협력하며 권력을 인정받은 과정 속에서 찾아야 한다.

3. 메시아에 대한 인식 변화
구약성서에서 ‘메시아(messiah)’에 대한 언급은 어떤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지 않았고, 통일된 공식 역시 가지지 않았다. 메시아에 ‘압제자들로부터 백성들을 구원해 낼 왕’ 이라는 특정한 의미가 붙은 것은 후대의 일이다. ‘에녹서(The books of Enoch)’와 ‘솔로몬의 시편(Psalms of Solomon)’ 에 신약성서에서 볼 수 있는 메시아 사상을 발견할 수 있다 메시아를 가리키는 용어인 ‘사람의 아들’은 다니엘서 7장 13절 이하에 나오는 것이 원천이 되어, 신약에서 그 개념이 발전되어 사용된다. 이 용어는 다니엘서 이전에 ‘에녹서’에 처음 등장하고, ‘에스라 제4서’도 나온다. 이동진 편역, 『제 2의 성서』해누리, 2001년, p. 8
.

4. 사후(死後) 세계에 대한 인식 변화
구약성서에는 내세(來世)에 관한 언급이 거의 없다. 구약에서 죽은 자들이 가는 ‘스올(Sheol)'은 의인과 악인이 함께 거하는 곳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신약성서에서 예수와 그의 제자들은 장래에 있을 부활의 확실함과 의인들이 받을 영원한 축복, 악인들이 받을 영원한 저주를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솔로몬의 지혜서(Wisdom of Solomon)’와 ‘마카베오하(The Second Book of Maccabees)’에서 볼 수 있고, ‘에녹서(The books of Enoch)’와 ‘솔로몬의 시편(Psalms of Solomon)’에도 나온다 이때에 유대인들이 헬라 철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불멸(immortal)' '불멸성(immortality)' 같은 어휘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심판의 날 이후에 의인들의 거처를 가리키는 말로 ‘하늘’이 사용된 것도 주전 1세기 경으로 보인다. 브루스 M. 메츠거, 『외경이란 무엇인가』컨콜디아사, 1979년, p. 172
.


참고문헌
⦁천사무엘.「구약 외경의 이해.」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6.
⦁강사문. “구약성경의 정경화에 대한 연구.” 「敎會와 神學. 제19집 (1987), pp. 134-165.
⦁Kaiser, Otto. The Old Testament Aproctypha: An Introduction. Peabody: Hendrikson Publishers, 2004.
⦁브루스 M. 메츠거, 『외경이란 무엇인가』컨콜디아사, 1979년
⦁이동진 편역, 『제 2의 성서 - 구약시대』해누리, 2001년
⦁이동진 편역, 『제 2의 성서 - 신약시대』해누리, 2001년
⦁김영진 외, 『구약성서개론: 한국인을 위한 최신 연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년
⦁스탠리 그렌즈, 『조직신학: 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년
⦁P. J. 악트마이어 외, 소기천 외 역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 개론』대한기독교서회, 2004년
⦁아더 G. 팻지아, 『신약성서의 형성』 CLC,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