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강독]1900년대 시

 1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
 2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2
 3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3
 4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4
 5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5
 6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6
 7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7
 8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8
 9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9
 10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0
 11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1
 12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2
 13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3
 14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4
 15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5
 16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6
 17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7
 18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8
 19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19
 20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강독]1900년대 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목

2. 1900년대 시대적 특징과 사회적 배경

3. 1900년대 시가의 갈래 논의

4. 주요시인

5. 주요작품과 작품에 대한 기존 논의

6.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들

7. 임용고사 기출문제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권학가는 『용담유사』안에 들어있는 작품 중 하나다. 『용담유사』는 동학사상을 노래한 가사집인데 동학경전인 『동경대전(東經大典)』과 내용이 여러 부분에서 중복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한문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동학사상을 펴기 위해서 써진 것이 아닐까 추측할 수 있다. 『용담유사』안에는 「용담가」, 「안심가」, 「교훈가」,「도수사」,「권학가」,「몽중노소문답가」,「도덕가」,「흥비가」 등 8편의 가사와 「검가」한 편이 있다.
이 중 「권학가」는 1862년에 저술된 것으로서 총 24구로 되어있다. 고향을 떠나 전라도 은적암(隱寂庵)에 환세차(換歲次)왔다가 지은 가사인 권학가에서 수운 최제우는 자신을 노유한담 무사객(路柳閑談無事客)으로 비유하기도 하였다. 만고풍상을 다 겪은 자기가 노래를 하나 지었는데 다른 언문가사와는 다르니 구마다 자마다 잘 외워내어 춘삼월 호시절에 놀고 보고 먹고 보자고 노래하면서 소운이 지나면 반드시 성운이 오니 동귀일체가 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세상에 뜻있는 이와 만나면 이 가사를 주고 결의해서 가르침을 존중하도록 하라는 등의 내용으로 부지런히 수도하기를 가르친 가사다. 10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10절의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라도 남원 은적암에서 새해를 맞이하여 고향에 있는 제자들에게 낡은 운수는 물러가고 새 운수가 반드시 돌아온다는 천도의 원리를 적어 보내니 깊이 생각하여 읽어보고 열심히 도를 배우라고 가르쳤고, 인생관을 말하면서 값진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열심히 도를 닦으라고 권장하고 있다.
2) 도를 배우는 마음 자세를 가르치는 내용이다. 수운(최제우)이 국문으로 쓴 노래를 지으니 이 노래를 보통 노래로 생각하지 말고 만고풍상을 초월하여 도를 통한 수운 자신이 지은 것인 만큼 믿고 따르라는 것이며, 또한 수운의 대도를 따르면 춘삼월 좋은 시절이 올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행복하게 잘 살게 될 것이라 말한 것이다.
3) 이 나라의 인심과 풍속이 변하였기 때문에 세상 살기가 어렵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즉, 인륜과 도덕이 말로만 있을 뿐 실제로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몇몇 사람들이 잘못해서가 아니라 그 시대 운수가 잘못되어 비롯된 것이므로 어쩔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4) 시운(時運)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내용이다. 요순 같은 성인이 다스리던 시대에도 당시의 모든 사람들이 요순처럼 착할 수만은 없는 것이다. 지금은 쇠운이 들어 백성들이 도탄에 빠져 살기 어렵지만 쇠운이 가면 성운이 올 것이니 서로 원망하거나 원수로 지내지 말고 도를 열심히 닦고 옳은 일만 하면서 성운을 맞이할 준비를 하라는 것이다.
5) 쇠운이 가면 반드시 성운이 오기 마련이다. 따라서 성운을 맞이하는 방법은 현숙한 모든 군자들이 동귀일체 해야 한다고 훈계하고 있다.
6) 한울님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기 때문에 한울님을 공경하고 순종해야만 잘 살 수 있으며, 한울님의 뜻을 거역하면 나라가 망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세상을 원망하지 말고 세상의 근본인 한울님을 공경하고 순종하여 그 근본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7) 한울님 공경하는 방법을 가르친 것으로 한울님을 공경하려면 먼저 임금님에게 공경하고 부모님을 공경해야 한다. 세상 사람들은 이와 같은 원리를 자세히 알아서 한울님을 공경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8) 서학을 비판하면서 교리의 모순을 지적하였다. 예의와 오륜을 다 버리고 천장에 갈 수 있도록 축원하는 광경과 제사조차 안 지내면서 저만이 잘 되겠다고 하는 모습을 개탄했다. 그리고 한울님을 공경하면 죽을 염려가 없다고 가르치고 있다.
9) 한울님을 공경하는 새 도법인 무극대도가 창도되었으니 이 도를 열심히 닦으면 모든 병이 저절로 낫고 한울님의 뜻이 따라 우환이 없어 일 년을 하루처럼 지낼 수 있다고 하였다.
10) 모든 증거로 보아 성운이 온 것이 분명하니 한울님을 바르게 알고 정성껏 섬겨야 하며, 모든 집안 식구들을 잘 타일러서 같이 참여하라고 당부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큰 돌림병이 유행되어 많은 사람들이 상하게 될 것이니 지극히 한울님을 공경하고, 수운 자신의 말을 우습게 알지 말고 깊이 생각하며 한울님을 공경하라고 하고 있다. 최민국, 「동학음악과 용담유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p.61~62

참고문헌
『소년』 제1년 1권~제 3년 7권.
강은해, 「개화기 가사연구」, 계명대대학원 석사논문. 1979.
고정옥, 국어국문학요강, 대학출판사, 1949.
구자균, 『한말우국경시가』 4집, 1959.
금영철『한국개화기 시가의 장르연구』, 학문사, 1987
김광남 외,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주)두산, 2002, 25쪽
김근수 편, 『한국 개화기 시가집』, 태학사, 1985.
김대규, 金大圭,‘海에게서 少年에게’와 바다의 상징성, 연세어문학, 1975.
김상태 외 5인, 「문학 교사용 지도서(하)」, 도서 출판 태성, 2006.
김영길, 개화기 문학 저널리즘의 형성 과정 연구, 인문예술논집 vol.5, 1989.
김영모, 『한국개화기 시가의 장르연구』서울대대학원 박사논문, 1987.
김영철, 「개화기의 시가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75.
김영철,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새문사, 2004.
김용직, 『개화기 문학의 재인식』, 지학사, 1987.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上』학연사, 1986.
김윤식 ·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김윤식 ·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7.
김윤식, 『근대한국문학연구』, 일지사, 1973.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김준오, 『개화기 시가 장르비평의 연구』, 22집, 1984.
김학동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 시문학사, 1981.
김학동, 『한국개화기가사연구』, 시문학사, 1981.
문성숙, 「개화기의 문학담당계층」, 국어국문학 94호, 1985.
박상천, 『사회의 변동과 문학의 변동』,,1993.
박을수, 『한국시가문학사』아세아문화사, 1997.
박철희, 『한국시가의 지속과 변화연구』영남대 대학원, 1980 .
박철희, 『한국시사연구』, 일조각, 1980.
백철 이병기, 『국문학전사』신구문화사, 1957.
송민호, 「개화기의 근대문학적 성격」, 문리논집 7집, 1963.
송민호, 『일제하의 문화운동사』, 민중서관, 1970.
신현득, 한국 근대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최남선의 공적을 중심으로, 國文學論集 제17집, 檀國大學校國語國文學科, 2000.
양승준, 『한국현대시400선(1)』, 태학사, 1996.
윤명구, 「개화기 문학 장르」, 한국사학 2권, 1980.
윤상용, 『개화기 시가 연구 『독립신문』시가와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서원대교육대학원, 2001.
이규호, 『개화기 한시의 양식적 변모에 대한 연구: 국문시가와의 접합현상을 중심으로』, 서울대대학원, 1986.
임종찬, 『개화기시가론』, 국학자료원, 1993.
장기주, "신체시" 쟝르개념의 재검토 :「海에게서 少年에게」를 대상으로, 목원어문학 6, 목원대학교국어교육과, 1987.
정한모, 「개화기 시가의 제문제」, 한국학고 6집, 1977.
정한모,『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조동일, 「개화기 문학의 개념과 특징」, 국어국문학 68·69합병호, 197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05.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인간사, 1964.
조지훈, 『반세기의 가요문화사』, 사상계, 11,8, 1963.
조지훈, 『한국현대시문학사』文學春秋 6, 1964.
주근옥, 신체시의 기호학적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논문집 2, 1999
최민국, 『동학음악과 용담유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최재목, 최남선 『小年』誌의 '新大韓의 소년' 기획에 대하여, 日本文化硏究. 제18집, 동아시아일본학회, 2006
홍일식, 『한국 개화기의 문학사상 연구』, 열화당, 1980.
황경모,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동심가」검토』,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