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

 1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
 2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2
 3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3
 4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4
 5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5
 6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6
 7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7
 8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8
 9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9
 10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0
 11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1
 12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2
 13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3
 14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4
 15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5
 16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6
 17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7
 18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8
 19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19
 20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체화학]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유기 EL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 OLED 기초
1) What is OLED
2) OLED History
본 론
> OLED 원리 구조 및 특성
1) OLED 원리와 구조
2) OLED 특성
> OLED 제조공정 및 소재
1) 제조 공정 소개
2) 패턴 형성공정
3) 진공 박막증착 공정
4) 봉지 공정
5) 저분자와 고분자의 공정 비교
> OLED 응용 분야
결 론
> 해결해야할 과제 및 향후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광층
발광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 대부분의 경우 host와 dopant를 동시에 증착하며 녹색과 적색의 경우 host로 Alq3을 사용한다. 녹색 형광은 Alq3에 MQD, Coumarine 등을 1% 정도 도핑하여 얻게 된다. Alq3 자체도 녹색 발광을 하지만 도핑을 통하여 2배 이상의 효율 증가를 이룰 수 있다.
DCJTB는 효율이 뛰어난 적색 형광색소들 중 하나로 DCJTB를 Alq3에 도핑하여 적색광을 얻을 수 있다. 도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렌지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므로 색순도가 우수한 적색 발광을 얻기 위해서는 도핑 농도를 높여야 하는데 그러면 소광 현상이 일어나 발광 효율이 감소한다. 또한 소자에 흘리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면 짧은 파장 쪽으로 색변화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되고 효율이 높은 적색 형광색소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전자수송층
RGB 발광층을 모두 형성한 후 전자수송층을 입히게 되는데 Alq3가 우수한 전자전달 특성을 갖고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음극형성
유기물 다층막을 형성한 후 음극을 형성하는데 음극 물질로는 일함수가 낮은 Mg:Ag, Al:Li 또는 LiFAl 등의 복합층을 이용한다.

실링
음극을 형성한 후 소자를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실링 또는 encapsulation 공정을 거친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참고문헌
1) T. Nagasawa, Monthly Display 2000, 6, 42.
2) 淺田幹夫, 有機EL製造裝置, Electronics實裝技術(技術調査會), 2000, 7월호, p42.
3) F. Furakawa, Y. Terasaka, H Ueda and M. Matuura: 29-a-NK-3. 44th Seminar of Applied Physics 1997.
4) A. Berntsen, Y. Croonen, R. Cuijpers, B. Habets, C. Liedenbaum, H. Schoo, R. Visser, J. Vleggaar and P. Vab de Weijer, SPIE (International Society of Optical Engineering) Vol 3148.
5) C. W. Tang, S. A. Vanslyke and C. H. Chen, J. Appl. Phys 1989, 65, 3610.
6) K. Yamashita, T. Mori, and T. Mizutani: 3-a-2Q-12, 58th Academic Lecture of Applied Physics 1997.
7) 차세대디스플레이 , 이재환, 정보통신연구 진흥원, 2003.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