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

 1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1
 2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2
 3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3
 4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4
 5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5
 6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6
 7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7
 8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8
 9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9
 10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의결집기구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격과 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1. 新幹會 설립과정과 支會의 설립과정
1) 신간회 설립과 본부 활동의 한계
2) 지회설립과정에서 드러난 民意結集機關의 필요성
2. 민의결집기관으로서의 신간회 지회의 성장과 활동
1) 신간회 조직형태의 문제와 지회의 개선요구 및 참여
2) 지회의 民意 결집 기능-幹事會, 定期大會
맺는말
본문내용
2) 지회설립과정에서 드러난 민의결집기관의 필요성
중앙에서의 신간회 설립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듯이 민족주의좌파와 사회(공산)주의 계열의 민족통일전선으로서의 신간회 설립은 자치론자와 극좌파 등을 배제한, 항일운동의 결집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신간회 본부의 활동이 지지부진하였던 것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1기 집행부의 부진으로 등장한 2기 집행부(위원장 허헌)은 합법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쳐 나갔다. 조직확대운동, 민족교육운동지원, 강연운동, 수재민구호운동부터 언론 집회의 자유 확보운동 등 합법적인 운동과 노농운동, 어민, 산림조합운동 지원 등 자세한 내용은, 신용하, 󰡔신간회의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7 에 자세히 수록됨.

1기 집행부는 모호한 강령을 내세울 만큼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하였고, 제대로 된 운동의 방향도 잡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7년에만 104개의 지회가 결성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민중들의 요구가 컸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일제는 1910년대의 무단통치에 이어서 1920년대 소위 ‘문화통치’를 내세웠지만 실제로 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의 활동공간만을 용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토지조사사업에 이은 산미증식계획, 동척의 활동, 日人 농장의 확대 등으로 對朝鮮 수탈정책은 점점 더 강화되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수탈의 대상이 되었던 노동자, 농민, 어민 등의 괴로움은 그만큼 더 커지고 있었고, 개별적인 저항, 소극적인 저항에 그칠 뿐이었다. 따라서 신간회는 물론 민족주의 운동이나 사회주의 운동이 발생하기 이전에 이미 각 지역에서는 자생적으로 농민운동이나 노동운동 단체들이 생겨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자생적으로 발생한 지역별, 직능별 조직은 일제와의 투쟁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전국적인 조직에 대한 요구는 잠재해 있었을 것이며, 이러한 요구는 수탈의 정도가 심한 곳일수록 더 절박했을 것이다.
1920년대 경북지방의 민족 ․ 계급운동이 처한 현실을 살펴보자. 이윤갑, 「일제하 경상북도 지역의 신간회 지회운동」, 󰡔동방학지󰡕Vol.123, 2004. 250~258쪽 참조
3 ․ 1운동 이후 폭발적으로 분출한 청년 ․ 농민 ․ 노동 ․ 형평운동 등 여러 운동 중에서 청년운동과 농민운동이 크게 성장하였다. 특히 1924년 이후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영향으로 독자적인 사상단체나 청년단체를 조직하였고 이와 함께 농민운동도 전개되어 소작조합이 출현하여 소작쟁의를 활발히 벌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작쟁의에 장애가 되는 식민지경찰의 개입과 탄압으로 농민운동은 소작문제의 해결과 그에 결합된 식민지 지배체제의 극복을 통일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 및 활동체계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가장 대중적이었던 이러한 농민운동조차소작인조합 체계의 한계로 인해 경제투쟁의 성격을 넘어서기가 곤란하였다. 청년
참고문헌
1차史料
󰡔조선일보󰡕, 󰡔동아일보󰡕, 『조선사상통신』

단행본
스칼라피노 외, 『신간회 연구』, 동녘, 1983
이균영, 『신간회 연구』, 역사비평사, 1993
신주백, 『1930년대 국내민족운동사』, 선인, 2005
신용하, 『신간회의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7

연구논문
이현희, 「신간회(新幹會)의 조직과 항쟁」, 사총, 15/1, 1971
정대철, 「新幹會와 朝鮮ㆍ東亞日報의 情形」, 크로노스, 8/-, 1977
강성원, 「新幹會에 關한 一考察」, 梨花女子大學校, 1980
차기벽, 「인간과 정치 : ‘민족협동전선’ 으로서의 신간회운동의 실태」 󰡔한국정치학회 제4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1981
이균영, 「신간회의 창립에 대하여」 󰡔한국사연구󰡕37, 1982
이문원, 「新幹會의 敎育活動과 光州學生運動」, 韓國敎育問題硏究所論文集, -/2, 1985
이균영, 「新幹會의 結成에 따른 ‘兩黨論’과‘淸算論’ 檢討」, 󰡔韓國學論集󰡕7, 1985
이균영, 「支會設立에 따른 新幹會의 「組織形態」檢討」, 󰡔韓國學論集󰡕11권, 1987
김영근, 「1920년대의 민족 해방운동」, 원우론집, 15/2, 1988
金勝, 「新幹會 위상을 둘러싼 '兩黨論'·'淸算論' 논쟁 연구」, 釜大史學 17, 1993
박찬승, 「1920년대 중반 1930년대초 민족주의 좌파의 신간회운동론」 󰡔한국사연구󰡕80, 1993
이은우, 「신간회운동에 관하여」, 󰡔성신사학󰡕12,13합본호, 1995
강재순, 「신간회 부산지회와 지역사회운동」, 󰡔지역과 역사󰡕, 1996
최규진, 「1920년대말 30년대초 조선공산주의자들의 신간회 정책」 󰡔대동문화연구󰡕32, 1997
조규태, 「신간회 경성지회의 조직과 활동」 󰡔國史館論叢󰡕第89輯, 2000
조성운, 「일제하 수원지역의 신간회운동」 󰡔실학사상연구󰡕 Vol.15,16, 2000
이현정, 「신간회 안동지회의 성립과 활동」, 󰡔안동사학󰡕Vol7, 2002
이윤갑, 「일제하 경상북도 지역의 신간회 지회운동」, 󰡔동방학지󰡕Vol.123, 2004
성주현, 「1920년대 천도교의 협동전선론과 신간회 참여와 활동」, 동학학보, 9/2, 2005
최동일, 「신간회 괴산지회의 조직과 활동」 󰡔충북사학󰡕Vol.15, 2005
김용달, 「논단 : 일제하 홍성지역의 사회운동」 󰡔한국사학보󰡕Vol.19, 2005
남정원, 「1920년대 후반 신간회 대구지회의 설립과 활동」, 󰡔계명사학󰡕17권, 2006

학위논문
정해영, 「新幹會 運動을 頂点으로 한 1920年代 韓國民族主義 運動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3
강정숙, 「日帝下 安東地方의 農民運動에 관한 一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이균영, 「新幹會硏究」 漢陽大學校 박사학위논문, 1990
신용희, 「新幹會 支會 活動에 關한 硏究 : 朝鮮日報 記事 分析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윤종일, 「1920年代 民族協同戰線硏究 : 社會主義者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慶熙大學校 박사학위논문, 1991
한상구, 「1926∼28년 新幹會의 民族協同戰線論」, 서울大學校 박사학위논문, 1993
목준균, 「신간회 운동에 대한 사회구조적 분석 : 1920년대 계급형성과 민족주의 운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