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

 1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
 2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2
 3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3
 4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4
 5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5
 6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6
 7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7
 8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8
 9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9
 10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0
 11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1
 12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2
 13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3
 14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4
 15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5
 16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6
 17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7
 18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8
 19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19
 20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의 대외경제관련 조직체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시기별 무역기구 동향과 무역정책 결정 구조
1. 1980년대 이전
2. 2000년 이전
3. 무역정책 결정 구조
Ⅲ. 2000년대 이후 대외경제 관련조직
1. 내각의 무역조직
2. 노동당의 무역조직
3. 국방위원회의 무역조직
4. 기관별 무역상사 현황
(1) 내각 산하 무역상사 현황
(2) 노동당 산하 무역상사 현황
(3) 국방위원회 산하 무역상사 현황
Ⅳ. 결론
본문내용
3. 무역정책 결정구조

북한의 경제는 당, 정(내각, 인민경제), 군(제2경제)로 3원화 되어 있다. 당은 김정일의 통치자금 조성을 위한 당 39호실의 외화벌이 사업이 해당되며, 당 부서들이 김정일 지침에 다라 수행하는 정책사업, 당부서 스스로 일부 소요자금 마련을 위한 이권사업도 포함된다. 내각이 관할하고 있는 인민경제는 당의 지도아래 내각의 국가계획위원회와 각 부문․기능별 부처가 관장하는 민수경제를 말하며, 군 경제는 국방위원회의 총괄 지도아래 당 군수공업부의 감독을 받는 제2경제위원회의 군수물자 생산 활동과 인민무력부의 무기 등 유관물자 수출입 업무가 해당된다.
당이 경제정책을 수립하면 내각이 구체적으로 경제 사업을 진행하고 관리하며, 그 과정에서 당의 지도․감독이 이루어지는 것은 일반적인 사회주의 국가의 원칙이다. 그러나 경제사업의 분화와 전문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내각에 대한 당적 지도는 행정 대행의 폐해 당의 행정 대행에 따른 폐해는 첫째, 당이 행정 경제 실무 사업에 매달려 본연의 사업인 당 정치 사업을 제대로 할 수 없게 하며 둘째, 행정 경제 사업에서 행정 경제 기관의 책임성, 적극성, 창발성, 능동성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강정윤, 「당 일군들은 행정 경제 사업을 당적 방법으로 밀어주어야 한다」,『근로자』1990년 제7호, p. 46.

를 우려하여 전반적인 정책노선의 설정과 사후 정책 집행에 대한 검열에 주안을 두게 되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북한의 당 경제부서는 경제 분야별로 세밀하게 편재된 형태에서, 정책검열 또는 경제계획 지도에 국한되는 단순구조로 변모하게 되었다. 한기범,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2000~09)』,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71.

북한은 1998년 헌법 개정을 통해 내각 책임제, 내각 중심제 내각 책임제, 내각 중심제란 “내각이 나라의 경제 사업에 대하여 책임진 주인으로서 당의 경제 정책과 방침에 따라 경제 사업 전반을 통일적으로 조직 진행하며 경제사업에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를 내각에 집중시키고 내각의 주관 하에 풀어나가는 제도와 질서”를 말한다. 다시 말해 내각 책임제, 내각 중심제란 경제 관리 운영에서 내각의 중앙집권적인 사업 체계로서, 모든 경제 사업이 내각의 통일적인 지도와 통제 밑에 진행되도록 하는 엄격한 중앙집권적 규율과 질서를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곽범기, 「내각 책임제, 내각 중심제를 강화하는 것은 강성대국 건설의 필수적 요구」, 『근로자』2000년 제2호, pp. 52~54.
를 제도화 하며, 경제관련 주요 권한을 내각으로 집중시켜, 종래의 정무원에 비해 내각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한기범은 내각이 당의 지도아래 ‘경제작전’을 수행해야 하는 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이는 당․정․군의 분절경제라는 특이한 경제구조, 제한된 자원, 정치논리의 경제논리 압도, 지도자의 선군 편향성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지도자가 내각의 일원적 경제관리 및 내각의 전문성을 인정함에도 상응하는 구조적 개선이 뒷받침 되지 않는 것은, 내각의 역할 또는 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지도자의 낮은 인식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평가한다.

참고문헌

고일동, “북한 무역의 분권화 과정과 제도적 실태 및 평가.”『북한의 무역구조 분석과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 KDI 연구보고서, 2008년 5월호.
권경복, “북한의 무역 조직 개편과 시사점.” 『통일경제』, 1999년 7월호.
김정민, “북한무역구조를 해부한다.”『한국논단』, 1993년 10월호.
김영윤, “북한의 대외교역 형태와 절차.”『월간북한』, 1995년 4월호.
. “북한의 대외교역 담당기관과 무역정책 변화.”『월간북한』, 1995년 3월호.
동용승. “대외무역”, 『북한의 경제』, 성남: 세종연구소, 2002.
박형중, 『북한체제의 분야별 실태평가와 변화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2005년 12월
이태섭. 『북한의 경제위기와 체제변화』, 2009.
이무철. “북한의 국가경제기관.”『북한의 당·국가기구·군대』, 성남: 세종연구소, 2002.
이찬도, “북한 무역의 구조적 특징.”『통일경제』, 1997년 4월호.
임강택. 『북한의 대외무역기구의 특성과 무역정책 변화 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1998.
. “북한의 대외경제협력 현황 및 미래.”『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협력』북한경제포럼, 2008.
. 『북한의 군수산업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서울: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2000년 11월.
임을출, “혹독한 구조조정 겪고 있는 북한의 경제무역조직.” 『통일한국』, 1999년 4월호.
정형곤. “북한의 무역구조와 대외개방.” 『KDI 북한경제리뷰』2001년 9월호.
중소기업진흥공단, 『북한 진출 이렇게 하자』, 1995.
통일연구원, 『김정일 현지지도 동향: 1994~2008』, 2009.
통일부, 『북한개요』, 1992, 1995, 2000, 2004, 2008, 2009.
. 『북한 기관·단체별 인명집』, 1999,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9,
. 『북한무역상사 등 관련기관 일람』, 1994.
. 『북한의 대외 경제무역 기업』, 1999.
허웅, “북한의 대외경제정책에 관한 연구.”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리신효, “새로운 무역체계의 본질적 특징과 그 우월성.” 『경제연구』, 1992년.
김철, “국제시장에 대한 연구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경제연구』, 2001년 제2호
최영옥, “대외무역에서 실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도.”『경제연구』, 2003년 제2호
. “사회주의 대외무역에서 수입구조의 개선『경제연구.”』, 2004년 제2호
리성규, “발전도상나라들의 경제건설에서 나서는 중요한 요구.”『경제연구』, 2003년 제1호
김승철, “대외상품시장체계와 그 구조.”『경제연구』, 2004년 제4호
. “대외상품시장체계의 안정성과 그 보장방도.”『경제연구』, 2005년 제4호
김철준, “우리식으로 대외무역을 확대발전시킬데 대한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경제사상.”『경제연구』, 2008년 제1호




nk조선, http://nk.chosun.com/
데일리nk, http://www.dailynk.com/
조인스 북한네트, http://nk.joins.com/
조선중앙통신, http://www.kcna.co.jp
조선신보, http://www.korea-np.co.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