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

 1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1
 2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2
 3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3
 4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4
 5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5
 6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6
 7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7
 8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8
 9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9
 10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10
 11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11
 12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12
 13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13
 14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전통회화][한국화]한국전통회화(한국화)분류, 한국전통회화(한국화)특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추상화경향, 한국전통회화(한국화)조형요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분류
1. 그리는 방법에 따른 분류
1) 수묵화
2) 수묵담채화
3) 진채(농채)화
2. 소재에 따른 분류
1) 산수화
2) 인물화
3) 화조화(花鳥畵)
4) 어해화
5) 초충화(草蟲畵)
6) 기명절지화
7) 민화(民畵)

Ⅲ.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특성
1. 그림에 대한 시각
2. 재료와 매체
3. 표현 방법
1) 일필휘지(一筆揮之)가 강조된다
2) 선을 주로 사용한다
3) 여백의 아름다움을 살린다
4)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4. 공간과 원근의 표현

Ⅳ.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추상화 경향
1. 수묵의 조형적 특성 탐구
2. 재료와 소재의 실험

Ⅴ. 한국전통회화(한국화)의 조형요소
1. 선(線)
2. 중심점(中心點)
3. 여백(餘白)
4. 단순화(單純化)와 변형(變形)
5. 구도(構圖)
6. 주제(主題)와 부제(副題)
7. 화제(畵題)
8. 낙관(落款)
9. 사혁의 육법 화론
1) 기운생동
2) 골법용필
3) 응물상형
4) 수류부채
5) 경영위치
6) 전이모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전통회화에서 필선(筆線)은 기운생동의 중추적 형식이 되며 작가의 내면세계와 창의력을 나타내는 주된 표현 요소이다. 그리하여 선적 표현기법은 고도로 심화 발전된 전통적 표현 양식으로 발전하였으며, 대상의 묘사뿐만 작가의 감정상태를 표현하는 조형요소로 자리를 굳혀 왔다. 또한 먹은 정신적 깊이를 지닌 전통적 재료로 모필과 화선지를 통하여 비로소 먹으로서의 특성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는 것으로, 먹의 스미고 번지는 우연적인 효과에 의하여 풍부한 느낌과 감동을 얻을 수 있다.
우리 전통회화는 단순히 사물의 형만 재현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오랫동안 관찰하여 그 물심(物心)을 알고 성질에 적합한 선으로 그려 나갔다. 따라서 선의 미세한 특징들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모필에 대한 통제와 붓을 운용하는 태도를 중히 여겼다. 그러므로 옛 선인들은 붓을 운용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마음이 중요하다 하여 붓을 운용하는 태도로 “마음을 집중하여 몸을 맡기면 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거기에 생기가 있고 생동을 한다.”고 하여 심의를 중시하였다.
한국화에서 묵법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먹이 화선지 위에서 펼치는 오묘함은 우리들에게 여러 가지 표현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의외의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먹이 번지어 퍼지게 하는 발묵법은 작가의 심정과 감동을 화면에 쏟아 놓은 듯한 자유분방한 표현양식으로 골법용필(骨法用筆)을 일탈한 조방한 화풍이다. 이는 농묵이 담묵이나 물기를 따라 삼투압 현상을 일으켜 번져가는 변화를 이용한 것으로 이 기법은 묵의 기운을 왕성하게 한 후 부여된 공간 상호간을 서로 상통하게 하는 것이다.
전통회화에서 표현 양식은 단순히 사물의 외형만을 그린다는 의미를 떠나 단순화되어진 선의 형태로 대상의 요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화선지 위에 먹이라는 재료를 사용하여 먹의 번짐과 우연의 효과를 통해 마음속 깊이 감동을 받고 감상자로 하여금 공감을 유도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민병산, 동양의 마음과 그림, 서울:새문사, 1985
송수남, 한국화의 길, 서울:미진사, 1995
서성록, 전통의 회복과 현대회화-전통의 수용과 재창조, 서울:예술과 비평, 1990
오광수, 한국화란 가능한가, 공간, 1974
안동숙, 정통동양화기법, 서울:미조사, 1981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서울:문예출판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