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

 1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
 2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2
 3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3
 4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4
 5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5
 6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6
 7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7
 8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8
 9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9
 10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0
 11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1
 12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2
 13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3
 14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4
 15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세사]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허목,윤휴,유형원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기남인 학자 연구의 의의

2. 학문적 연원

1) 허목

2) 윤휴

3)유형원

3. 지역적 기반과 교유관계

1)지역적 기반

2)교유관계

4. 학문적 특징

1)허목

2)윤휴

3)유형원

5.현실인식과 처세

6.실학의 내재적 발전 가능성을 보이다

【참고자료】


본문내용
2. 학문적 연원

허목, 윤휴, 유형원이 17세기 중후반 근기남인을 대표하는 학자임은 널리 알려져 왔으나, 이들의 학문적 연원에는 서경덕과 조식의 학맥을 기반으로 하는 북인北人들의 학문적 영향력이 컸다는 공통점에 주목해 보았다.

1) 허목
허목의 학문적 연원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이황에게 사사한 정구의 학문에 영향을 받아 영남남인의 학문적 전통에서 성장했다는 것으로서 영남남인과 근기남인의 접목을 보여주는 중요 요소로 작용해 왔으나 이수건,『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410~421쪽
,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정구의 학문이 이황과 조식의 학풍을 함께 계승한 점을 중시하고 허목의 학풍도 조식의 영향을 받은 면이 많다는 지적도 있다. 권인호,『조선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1995, 274~276쪽

허목의 학풍은 육경六經 고학古學 중심의 학문 경향, 가풍의 영향으로 도가적인 취향이었다. 정옥자,「미수 허목연구」,『韓國史論』5, 1979
한영우,「허목의 고학과 역사인식」,『韓國學報』3의 11, 1985
허목의 아버지 허교는 서경덕의 문인인 박지화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허목은 부친의 임지를 따라 여러 지역을 답사하면서 현실을 보는 눈을 넓혀갔다. 허목이『기언』의「세변」등의 글에서 기축옥사로 희생된 최영경과 정개청의 사적에 대해 자세한 기록을 하고 있는 것은 허목의 사상에 조식과 서경덕 학파의 입장이 깊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기축옥사를 계기로 동인 내부에서 북인과 남인으로 분립이 이루어 졌고, 서경덕과 조식의 문인들은 정치적 피화자라는 공동의식을 가졌으며, 후대에 양학파가 결집될 수 있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기축옥사의 피화자에 대한 우호적인 인식은 허목이 조식과 서경덕의 학풍을 접하는 데에도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허목의 학풍 형성에 영향을 준 주요한 인물로 정구(鄭逑, 1543~1620)는 이황의 성리설과 서경덕과 조식학파가 추구한 박학의 학문을 절충하였으면서도, 정치적 입장에 의해 퇴계문화로 이탈해 갔다고 평가된다. 김항주,「한강 정구의 학문과 『歷代紀年』」,『韓國學報』45, 1986, 37~40쪽

허목의 외조가 되는 임제(林悌, 1549~1587)는 북인 학파의 원류가 되는 남명 조식과는 가장 가까운 지기였고 그와 학문적 의견을 나눈 성운(成運, 1497~1579)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성운은 노장적 학풍의 소유자로 임제뿐만 아니라 윤휴의 학문 형성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허목의 학문적 연원에 성운에서 임제로 이어지는 흐름이 있다는 점과 윤휴의 학문세계에 성운의 영향력 등을 고려하면 결국 허목과 윤휴의 학문적 연원에는 성운, 조식의
참고문헌

· 眉叟 許穆,『記言』
· 白湖 尹鑴,『白湖集』
· 磻溪柳馨遠,『磻溪隨錄』
· 권인호,『조선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1995
· 신병주,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책과함께, 2007.
, 『조선 중 ․ 후기 지성사 연구』, 새문사, 2007.
· 양보경,「반계 유형원의『東國輿地志』」,『토지연구』3, 1992
· 윤남한,『조선시대양명학연구』, 집문당, 1982
· 이수건,『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 정옥자,「미수 허목연구」,『韓國史論』5, 1979
,『조선후기 지성사』, 일지사, 1991
· 정호훈,『조선후기 정치사상 연구 -17세기 북인계 남인을 중심으로-』, 혜안, 2004
· 천관우,「반계유형원 연구 의보」,『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82
· 한영우,「허목의 고학과 역사인식」,『韓國學報』3의 11, 1985
· 유형희, 「새로운 경전해석의 등장」, 『조선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6

【사진출처】
한국고전종합 DB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