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

 1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1
 2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2
 3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3
 4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4
 5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5
 6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6
 7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7
 8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8
 9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20대 남성들의 키높이 깔창 사용에 대한균형수행능력의 비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도구

3. 실험방법

4. 분석방법

Ⅲ. 결과

1. 앞뒤로 이동(Forward and Backward)

2. 90° 돌아서 나가기(Quater turn)

3. 안정한계(Limits of Stability)

4. 한발서기(Unilateral Stance)

Ⅳ. 고찰

Ⅴ. 결론


본문내용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학생을 대상으로 높이 0㎝, 2㎝, 5㎝ 키 높이 깔창을 착용 후 총 38명의 실험군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대상의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자를 선정하여 연구의 방법을 사전에 설명하고 실험 참가의 동의를 받은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표1).
구분
연령
(yrs)
체중
(kg)
신장
(㎝)
n=30
24.94±1.73
71.30±10.10
174.74±4.62
표 . 실험자의 신체적 특성 (M±SD)

M±SD : Mean±Standard deviation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시각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고,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자.
2) 뇌 질환과 전정기관 장애나 신경학적 장애가 없는 자.
3) 신체 어느 부위에 특이사항이 없는 자
4) 지난 6개월 동안 현기증이나 낙상의 경험이 없는 자.
5) 정신적인 장애가 없는 자.
6) 우측 하지가 우성인 자.

2. 실험도구

1) 신발
신발 선정은 실험대상자가 각자 평소 신던 굽이 없는 스니커즈로 실험하였다.

2) 키 높이 깔창
김경(2008)의 선행논문을 통해 20대 남성이 선호하는 깔창의 높이를 감안하여 키 높이 깔창의 높이를 각각 2㎝와 5㎝짜리로 실리콘 재질로써 발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 깔창을 사용하였다.

3) 실험장비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장비는 Biorescue 장비(RM INGENIERIE, France)으로 환자 및 일반인,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균형능력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장비이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 중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각각의 값을 측정하였다.
(1)앞뒤로 이동(Forward and Backward)
(2)90° 돌아서 나가기(Quater turn)
(3)안정한계(Limits of Stability)
(4)한발서기(Unilateral Stance)

3. 실험방법

대상자 모두 Bio Rescue를 이용하여 무작위로 0㎝, 2㎝, 5㎝ 키 높이 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자세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기본자세로는 힘판 위에 그려진 30˚표시의 지시선에 발의 중심선을 맞추고 선 자세이다. 측정 시 휴식기는 3분으로 하였다.

(1)앞뒤로 이동(Forward and Backward)
실험자를 기본자세로 세운 후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좌측 발을 먼저 내민 후 우측 발을 따라 내딛어 힘판 밖으로 체중심을 이동시킨다. 그 후 먼저 이동 시켰던 다리를 다시 힘판 안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반대측 하지에도 실시한다. 이때의 체중심의 앞뒤 이동거리를 ㎝로 나타내었다(그림1).

참고문헌
김세주, 김동휘, 나진경 : 여성의 구두 굽 높이에 따른 족저압과 피로도의 분석.대한재활의학회지. 1997;21(5):1010-6.
김승범, “남자들도 맵시좀 내면 안되겠니”, 조선일보, 2006.
김원호, 박은영. 높은 굽 신발에 감각계의 변화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 전문 물리 치료학회지, 1997, 4. 10-17.
김준성,“발의 Arch높이에 따른 불편도와 족압분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진호, 오경환, 정진우, 보조기학과 의지학, 대학서림, 3판, 60~61, 2001.
김해진, 구두 굽 높이에 따른 여자 대학생의 보행변인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체육교육석사학위논문, 2009.
문성욱, 이종환, 조영신, 최원혁, 허홍석 : 키높이 깔창이 인체의 균형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학사논문, 2008.
박은영 외, 신발 굽의 높이와 신발착용기간이 대퇴근육 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6(2), 32-42, 1999.
박정랑. 여성의 신체 부위 및 신장에 관한 성별 선호도 비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2.
안창신, 여대생의 구두 굽높이에 따른 보행시 하지운동 변인의 비교 분석,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2008.
윤정규 외, 보행 시 체중과 굽 높이 변화에 따른 하지의 근활성도 분석, 운동학 학술지 12(1), 65-72, 2010.
이건철, 정혜미, 김상범, 곽현: 구두 굽 높이의 차이가 균형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6(3), 2004.
이승원. 바닥 지지면의 불안정 상태에 따른 신체자세동요의 변화.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2008. 08.
이한숙, 최홍식, 권오윤: 균형조절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3(2), 82-91, 1996.
정은희, 구두(하이힐) 굽 형태의 생체역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학박사 학위논문, 2005.
정은희 : 구두(하이힐) 굽 형태의 생체역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4.
정주현, 김지은, 문연이, 김형중, 심제명,“키높이 깔창이 신체전반의 기능변화에 미치는영향”,한국체육과학회지, 18(2),1403-1418, 2009.
최명애, 김진호, 이은용 “젊은 여성의 구두굽의 높이와 하퇴근, 대퇴근 및 요추주위근 근전도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18(1), pp34-43, 1998.
Adrian, M.J, Darpovich, P.V. Foot instability during walking in shoes with high heels. Res O Exerc Sport, 37, 168-175, 1966.
Bendix,T.,Sorensen,S.S.and Klausen,K.,“
Lumbarcurve, Trunk muscles and line of gravity with different heel height”, Spine, 9, 1984.
Berrne, N, Cappozzo, A., "Biomecha- nics of human movement; application in rehavilitaion, sports, and ergonomics". pp. 387-395, Bertec Co., 1990.
Brocklehurst, J.C, Robertson D, James- Groom P. Clinical correlates of sway in older age-sensory modalities, Age Ageing, 11, 1-10, 1982.
Cohen H, Blatchly C.A. Gombash, L.L. A study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Phys Ther, 73, 346-354, 1993); Schlmann 등, 1987.
Duncan, P.T. balance proceedings of the APTA forum, 1989.
E.M., Gutierrez, A., Bartonek, Y., Haglu ndAkerlind. H, Saraste, Sahracte ristic gait kinematics in person with lumbos acralmyelomeningo
cele, gait posture, pp.-8, 2003.
Edilstein, J.E. “If the shoe fit ; foot wear considerations for the elderly”,PhysOccup TherGeriatr,5,1-16, 1986.
Horak F, Nashner L, Central programming of postural movements,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 surface configurations, J Neur ophysiol, 55, 1369-1381, 1986.
Horak, F.B.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 Phys Ther, 67(12) 1881-1885, 1987.
KapandjiIA,“Thephysiology of theJoints”, Churchill LivingStomern(2), Newy ork, 1974.
KL, Newcomer, T.D, Timothy, D.A., Gabriel, D.R, Larson, R.H., Brey, K.H., AN, Muscle activation patterns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Arch Physical Med Rehabillitant 83, pp. 816-821, 2002.
Loy DJ,Voloshin AS,“Biomechanicala spectsofhigh heelgait”, Am Soc Biomech, 135-136, 1987.
Maki, ,B.E. "Selection of perturbation parameters for indetification of the posture-control system", Med. Biol. Eng. Comput, Vol. 24, pp. 561-568, 1986.
Nashner, L. Evaluation of postural stability, movement, and control, In ; Hasson SM, editor,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Mosby, 199-234, 1994.
Opila KA, Wagner SS, Schiowitz S,etal : Postural alignment in barefoot and high heeled stance, Spine, 13, 542-547, 1988.
Opila-Correia,K.A. “Kinematics of high heeled gait with consideration for age and experience of weare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71,905-909, 1990.
Pamela, K. L., Cynthia, C. A.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F. A. Davis 3, 16, 2004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SLACK inc. 1992.
Snow, R.E, Williams, K.R. High Heeled shoes ; Their effect on center of mass position, posture, three dimensional kinematics, rearfoot mortion, and ground reaction forces, Arch Phys Med Rehabil, 75, 568-576, 1994.
Tinetti, M.E, Speechley M, Ginter, S,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 Eng Voloshin A, Wona J, “An in vivo study of low back pain and shock absorption in the human locomot or system”,J. Biomech,15,21-27,
1982.
Woollacott, M.H, Shumway-Cook, A, Nashner, L.M. Aging and posture control: Change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
nation, Int J Aging Hum Develop, 23, 97-114, 1986.
Lord, S.r, Bashford, G.M. shoe sharact eristics and balance in older women, T an Geriater Soc, 44, 429-433,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