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

 1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1
 2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2
 3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3
 4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4
 5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5
 6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6
 7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7
 8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8
 9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9
 10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10
 11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11
 12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12
 13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13
 14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의이해] 조선전기 여류문인의 생애와 작품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가. 이매창과 시
나. 이옥봉과 시
다. 허난설헌과 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이옥봉과 시

이옥봉의 이름은 원媛이며, 옥봉은 호이다. 옥천군수를 지낸 이봉의 서녀로 태어나 조원의 소실이 되었고, 임진왜란에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옥봉의 생애와 죽음의 정확한 연도는 기록된 부분이 없다. 하지만 조원이 1544년의 태어났다는『조선왕조실록』의 기록으로 비추어볼 때, 당시의 조혼 풍습에 따라 1554년생 정도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해동역사』에 임진왜란 때 조원의 첩인 이氏가 죽었다는 기록이 있으니 이것으로 옥봉이 활동한 창작연도를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하응백,『이옥봉의 몽혼』, Human & Books, 2009, 서장
이미 당대에 시인으로 널리 이름이 나서 허균의『학산초담』, 이수광의『지봉유설』, 유성룡의『서애집』등에 시와 일화가 있다.
옥봉의 삶과 시는 1704년 조원의 후손 정만이 쓴『가람세고』의 부록「李玉峯行績」에서 전한다. 이에 따라 그녀의 창작환경을 살펴보고, 그것이 시 속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나의 고조 할아버지 운강공께 소실 이씨가 계셨으니…나면서 총명함이 남과 달라 그의 아버지가 기특하게 여겨 그를 아껴 문자를 가르치니 묘하게 깨달아 남보다 뛰어나 공부를 좋아하는 것이 버릇이 되었다. …시문의 미사여구와 생각이 날로 발전하였는데, 특히 시에 뛰어났다. …스스로 자신의 재주를 믿고, 남에게 가볍게 허락하려고 하지 않고, 빛나는 재주로 뛰어나 문망이 일대에 높이 빼어난 사람을 구하여 그를 따르고자 했다. …드디어 길일을 택하도록 하여 거느리고 오게끔 하였다. 용모도 그의 재주와 같이 빼어나 신암공께서도 역시 그를 기특하게 여겼다.…

신흠의『청창연담晴窓軟談』은󰡒근래 규수의 작품 중 승지 조원의 첩 이 씨가 제일이다󰡓고 표현한다. 신흠,『象村稿』卷之五十二 漫稿下「晴窓軟談」中󰡒近來閨秀之作 如趙承旨瑗之妾李氏爲第一󰡓
「李玉峯行績」또한󰡐빙옥과 같은 지조, 비단으로 수놓은 뱃속에 쌓아 입 열어 시 읊으면 찬연히 무늬 이룬다󰡑 정만,『가람세고』부록「李玉峯行績」中󰡒噫 以氷玉之操 蘊錦繡之腸 開口吟詩 爛然成章󰡓
며 높이 평가했다. 옥봉 또한 자신의 재주를 믿으니, 기개가 시에 그대로 묻어난다.
寧越途中

五日長干三日越
哀詞吟斷魯陵雲
妾身亦是王孫女
此地鵑聲不忍聞
-이옥봉
영월 가는 길에

닷새 걸리는 먼 길 사흘에 넘네
슬픈 노래를 읊조리다 그치니 노릉의 구름
이 몸 또한 왕손의 딸이니
이곳의 두견새 울음 차마 듣기 어렵구나
-하응백 해석
영월로 가는 길에서

성문 밖 닷새길 사흘에 넘으니,
슬픈 노래 부르다 끊긴 곳 구름만 둥실.
이 몸 역시 왕손의 딸,
이 곳 두견새 소리 차마 못 듣겠네.
-최각규 해석

이 시는 허균․권응인․조정만 등 조선시대의 여러 평자들로부터 호평을 받는 시다. 특히
참고문헌
『韓國漢文學論文選集36 女流詩文學(2)』, 불함문화사, 2002.
김지용,『역대여류한시문선』, 대양서적, 1982.
두보,「寄李白」
신흠,『象村稿』卷之五十二 漫稿下「晴窓軟談」
이수광,『芝峯類說』卷十四 文章部七「妓妾」
임상원,『郊居瑣編』
최각규,『조선시대 강원여성시문집』, 강원도, 1998.
하응백,『이옥봉의 몽혼』, Human & Books, 2009.
함종임,『난설헌 허초희 채련』, 푸른사상, 2007.
허균,『惺所覆瓿藁』,「漕官紀行」
허균,『惺所覆瓿稿』,「惺叟詩話」
허경진,『韓國의 漢詩14, 梅窓 詩選』, 평민사, 1997.
황충기,『기생 시조와 한시』, 푸른사상,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