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

 1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
 2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2
 3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3
 4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4
 5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5
 6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6
 7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7
 8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8
 9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9
 10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0
 11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1
 12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2
 13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3
 14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4
 15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5
 16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6
 17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7
 18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8
 19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19
 20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시가론] 해외 기행가사 연구-조선시대의 중국행, 일본행 사행가사와 근대의 서양 기행가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행가사

Ⅲ. 중국행 기행가사

1.
1) 작품 구조와 내용
2) 이국에서의 자아 인식

2.
1) 작가
2) 노정 및 구성
3) 세계 인식 태도

Ⅳ. 일본행 기행가사

1.

2.

Ⅴ. 해외 기행가사

1.
1) 전통 대중 시가의 표현형식 차용
2) 견문 내용의 상세한 보여주기
3) 변형된 화이관(華夷觀)

2.
1) 여행의 동기
2) 미국의 사회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

Ⅵ. 결론

본문내용
(2) 숭명사상

연행가 속에는 숭명사상을 드러내는 인용 고사가 많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작가가 품고 있었을 대명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

릉하 다다르니/ 물빗도 젹탁며/ 풍셰 위름여/ 흉흉 물결이라 슬푸다
명젹의 유장군/ 수십만명 일시의 함몰여/ 이물의 져니/ 이리 지날젹의
엇지아니 창감랴

대릉하(大凌河)를 지날 때는 그곳에서 대명(大明)의 유장군을 회상하며 명나라의 병사가 이곳에서 빠져죽은 것을 슬퍼하고 있다.

구혈라 희/ 셕셩셔 쳐다뵌다/ 명장 원슝환이가/ 쳥병을 쳡
라지 도라나라/ 피토던 곳이라데

위의 인용문에서는 구혈대(嘔血臺)에서 명나라 장군 원숭환이 청병을 맞아 싸우던 고사와 함께 누르하치가 피를 토한 곳이라 말하고 있다.

영원셩 드러가니/ 죠가와 두루가/ 의의히 마조잇셔/ 져러듯 쟝도다
드르니 대명의/ 영 죠슈가/ 형뎨셰룍 지선으로/ 변방의 공셰우
나라의셔 졍문샤/ 루둘을 셰우시고/ 튱열을 포시니/ 편리국은 엿시
무도 죠가형뎨/ 그후의 반여/ 쳥나라 투항니/ 붓그럽다 져루여
긔교한 져루/ 의연이 나마잇다

여기서는 영원성(寧遠城)에서 조가(朝家)형제의 두 패루(牌樓)에 관한 고사를 말하고 있다. 대명 때 공을 세운 조가 형제에게 나라에서는 정문(旌門)하여 패루까지 세워주었는데 무도하게도 명나라의 은혜를 저버리고 청나라에 투항하니 두 패루만 의연히 남아있다는 내용이다.
이처럼 청에 끝까지 저항한 인물이나 반대로 청에 투항한 인물들을 내세워 숭명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당시 조선이 명나라와 청나라를 바라보는 관점이 그러하듯 작가도 숭명멸청사상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는데, 명나라를 지칭함에 있어 대명(大明)이라 부르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청을 오랑캐(胡)라고 일컫는 것은 이러한 감정을 잘 드러낸다. 그리고 명나라를 배반하고 청나라에 붙은 인물들을 비판하면서 끝까지 청나라에 부속되기를 거부한 명문거족 송씨를 찬양하는 대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또 굳이 명나라를 직접 언급하며 숭명사상을 드러내지 않더라도 청을 멸시하는 시선 자체가 명나라를 긍정하는 것에 대한 반동현상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청에 대한 멸시는 상대적으로 명을 높이는 동시에 우리 문화에 대한 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