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

 1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1
 2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2
 3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3
 4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4
 5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5
 6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6
 7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7
 8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8
 9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9
 10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10
 11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평가,수준별교육과정,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지도시유의사항, 공통수학 학습모형,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목표
1. 인지적 목표
2. 정의적 목표
1) 감수
2) 반응
3) 가치화
4) 조직화
5) 가치 또는 가치 복합에 의한 인격화

Ⅲ.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지도원칙
1.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력(창의적이고 능동적 사고력) 신장
2. 종합적이고 고차적인 사고력, 문제 해결력 신장
3. 수학적 성향(자신감, 융통성, 의지, 호기심, 반성, 가치 등) 신장
4. 개인의 학력수준을 고려한 개별화 지도 지향
5. 교육과정의 융통성 있는 운영

Ⅳ.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평가
1. 평가 방침
2. 평가 계획
1) 지필고사
2) 수행평가

Ⅴ.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과 수준별교육과정
1. 단계의 수
2. 단계 내 하위 과정
3. 최종단계의 수준
4. 첫 단계의 수준
5. 이수 자격 기준
6. 최저 이수 수준
7. 이수 자격의 평가 관리
8. 진급 시 학생의 선택권
9. 특별 보충과정(Ready course)의 운영
10. 특별반(Special class)의 운영

Ⅵ.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지도시 유의사항
1. 수준별 교육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2. 다양한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3.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하여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4.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 기자재의 활용은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Ⅶ.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학습모형
1. 교수-학습 과정 일반 모형(한국 교육개발원)
2. 발견학습 모형
3. 문제해결 학습 모형
4. 개념학습 모형
5. 열린학습 모형
6. CAI 활용 개별 학습

Ⅷ. 결론 및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수학과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논리에 대한 심도 깊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즉, 교과 내부의 논리에 근거할 것인가 아니면 현재 살아가고 있는 학생의 수준에 근거하여 개발할 것인가를 다시 한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학생의 수준에 근거하여 개발할 경우에는 국가수준에서는 방향만 제시하고 각론이라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들은 각 시․도교육청이나 지역교육청의 실정에 맞도록 자체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교과서를 개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현장에서 ‘가르치고 평가할 때’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하기 어렵다. 오히려 교사의 임의적인 기준에 의해 가르치고 평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국가 교육과정이 이렇게 활용될 바에는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할 때,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할 것이 아니라 차라리 현행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전국에서 중간정도의 학생들에게 적합하리라 예상되는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극단적으로 말하여 아무도 사용하지 않거나 일부만 사용하도록 개발하기보다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학교 간의 학력격차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절대평가를 시행하게 될 경우 학교 간 학력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날 가능성이 많은 만큼, 제대로 된 절대평가를 전국적으로 시행하기에 앞서 있는 그대로의 학교 간 학력 격차를 인정할 것인지, 아니면 고교 평준화 정책과 관련하여 여전히 학교 간 학력격차를 무시할 것인지에 대한 국가차원에서의 정책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고교 평준화 정책을 고수하여 학교 간 학력 격차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절대평가를 시행하는 것 자체가 상호 모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문봉(1993), Lakatos의 수리철학의 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연식·박영배(1994), 수학교실에서의 구성주의의 실제,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김재춘(1999), 수준별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 교육과학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2000), 학교 수학 제2권 제1호
스티븐 크란츠 저, 좌준수 역(2002), 문제 해결의 수학적 전략, 경문사
임재훈(1998), 플라톤의 수학교육철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인기(1999), 작도 문제 해결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서울 : 한국수학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