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

 1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
 2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2
 3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3
 4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4
 5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5
 6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6
 7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7
 8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8
 9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9
 10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0
 11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1
 12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2
 13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3
 14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4
 15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5
 16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6
 17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기준,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기준
1. 형태론적 기준
2. 통사론적 기준

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어순

Ⅲ.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구성

Ⅳ.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설정

Ⅴ.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1. 무표지 피동문
2. 어류피동문

Ⅵ. 영어와 목적어전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기준

1. 형태론적 기준

목적어를 구성하는 것은 체언과 조사라고 할 수 있다. 즉 체언과 조사가 결합하여 목적어로 기능하게 된다. 체언에는 명사와 대명사, 수사가 포함된다. 이러한 명사적 특징을 갖춘 단어들은 목적어로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명사절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1) 철수가 도둑질을 했음을 시인했다.

(1)에서 볼 수 있듯이 명사절은 목적어로 기능할 수 있다. 이처럼 목적어는 명사 상당 표현을 구성 요소로 한다. 여기에 조사 ‘을/를’이 결합하면 목적어로 성립한다. 목적어이면서 조사 ‘을/를’과 결합할 수 없는 명사구는 없다. 따라서 ‘을/를’을 목적어 표지로 간주하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진다.

(2) 철수는 밥을 먹는다.

그러나 조사 ‘을/를’은 목적어가 아닌 곳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목적어인 경우에도 늘 ‘을/를’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3) 가. 철수는 세 시간을 걸었다.
나. 철수는 밥도 먹었다.
다. 철수는 밥만 먹었다.

(3가)에서 ‘세 시간을’은 목적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을/를’이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다. (3나, 다)에서는 목적어에 조사 ‘도’와 ‘만’이 각각 나타나고 있다. 조사 ‘을/를’은 ‘밥’이 목적어임에도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3나, 다)에는 ‘을/를’을 상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에 따라 ‘을/를’은 목적어 표지로 분석된다. 조사 ‘을/를’이 생략되거나 다른 조사로 대치될 수는 있지만, 목적어이면서 조사 ‘을/를’을 취할 수 없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조사 ‘을/를’을 목적어 표지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을/를’이 보조사와 교체될 수 있는 특징은 주어 표지 ‘이/가’와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격조사들은 보조사와 교체되지 않고 보조사를 뒤에 결합하게 된다. 이 점 또한 주어와 목적어가 공통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암시한다.
참고문헌
◉ 김상대(1995), 문장성분론과 관련한 몇 문제에 대하여, 태릉어문연구 5·6, 서울여대 인문과학대학
◉ 김태엽(1997), 국어의 문장종결소, 대구어문론총15, 대구어문학회
◉ 고영근(1990), 문장과 이야기의 관련성, 관악어문 15
◉ 류구상 외(2001), 한국어의 목적어, 서울 : 월인
◉ 박갑수(1985), 현대 국어 문장의 실태분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이홍식(2000),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서울 : 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