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

 1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1
 2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2
 3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3
 4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4
 5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5
 6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6
 7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7
 8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8
 9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9
 10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10
 11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11
 12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12
 13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13
 14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보어][국어][중국어]국어 문장성분 보어 구성, 국어 문장성분 보어 기준, 국어 문장성분 보어 어순, 국어 문장성분 보어 확인, 중국어와 보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문장성분 보어의 구성

Ⅱ. 국어 문장성분 보어의 기준
1. 형태론적 기준
2. 통사론적 기준

Ⅲ. 국어 문장성분 보어의 어순

Ⅳ. 국어 문장성분 보어의 확인

Ⅴ. 중국어와 보어
1. 보어의 명칭과 정의
2. 정도보어에 관한 소견
3. 정도보어문의 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 문장성분 보어의 구성

학교 문법에서 보어는 ꡐ되다, 아니다ꡑ앞에 나타나는 성분이다.

(1) 가. 철수는 학생이 되었다.
나. 철수는 바보가 아니다.

그러나 ꡐ되다, 아니다ꡑ앞의 명사구를 주어로 보는 시각이 있다. 이는 ꡐ되다, 아니다ꡑ 앞의 명사구가 주격조사를 동반하는 것과 관련이 된다. 하나의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이것은 보어의 지위가 다른 성분에 비해 불안정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일반적으로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것을 보어라고 한다. 학교문법에서 부사격조사가 결합한 명사구를 부사어로 분석한다. 그런데 이 중에서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것을 필수적 부사어라고 한다. 부사어가 수의적인 성분이라는 점에서는 문제가 된다.
아래 문장은 ꡐ에ꡑ, ꡐ에게ꡑ, ꡐ로ꡑ가 결합한 보어들이다.

(2) 가. 철수는 집에 갔다.
나. 철수는 영희에게 선물을 주었다.
다. 철수는 감옥에서 탈출했다.
라. 이 옷은 흰색에서 검은 색으로 변했다.
마. 철수는 학교로 갔다.
바. 철수는 영희를 바보로 생각한다.
사. 철수는 나무를 책상으로 만들었다.
아. 철수는 나무로 책상을 만들었다.
자. 철수가 학교에서 집까지 걸어왔다.
참고문헌
구연미(1994), 임의 성분의 유형과 일치 현상, 한글 223호, 한글 학회
․ 민현식(1993), 성분론의 문제점에 대하여, 선청어문 21, 서울대 국어교육과
․ 선우용(1974), 국어 보어 설정에 대한 재고, 국어국문학 64, 국어국문학회
․ 윤평현(1994), 국어의 보어에 대하여(1) 학교문법체계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 이홍식(1996),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 조항범 역(1990), 의미분석론-성분분석의 이론과 실제, 탑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