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

 1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
 2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2
 3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3
 4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4
 5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5
 6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6
 7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7
 8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8
 9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9
 10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0
 11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1
 12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2
 13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3
 14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4
 15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5
 16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6
 17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7
 18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8
 19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19
 20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문제]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서울시의 에코폴리스로의 가능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는 말

2.에코폴리스란?
2.1 에코폴리스의 정의
2.2 독일의 에코폴리스-프라이부르크(사례)

3. 왜 에코폴리스인가?
3.1 브라질의 에코폴리스-쿠리티바(사례)

3.2 에코폴리스의 효과

4. 우리나라의 시작,『지방 의제 21』
4.1 『지방 의제 21』란?
4.2 『지방 의제 21』현황

5. 서울의 현황은?
5.1 서울시의 환경친화성 평가
5.2 『서울의제 21』수립과 추진 현황
5.3 강남구의 『서울의제 21』-『강남의제 21』(사례)

6. 맺는 말-서울의 가능성
6.1 신도시부터 에코폴리스로!
6.2 서울, 좀더 고밀도의 개발을!
6.3 맺음말-지속적인 에코폴리스 정책을!!

7. 첨부자료 - 환경모범도시 조성원칙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서울은 과연 생태도시가 될 수 있을 것인가?

20세기는 도시화의 시대라고도 하는 것처럼 세계 각국에서는 도시화가 급진전 되고 있다. 1920년에는 세계 인구의 19.4%가 도시에 살았지만, 2000년에는 51.3%가 도시에 살게 되었다 정철모, 21세기를 향한 도시 개발, 전주대학교 출판부, 2000
. 특히 개발 도상국의 도시화는 산업화와 맞물려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 공간은 인간 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자원의 최대 소비지인 동시에 오염과 폐기물의 최대 생산지가 되고있다. 따라서 오늘날 환경문제는 도시문제와 따로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30년에는 5.6%, 1940년에는 11.6%의 도시인구 증가률을 보였다. 1960년대에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됨에 따라 근대화 정책이 추진되어 1960년에는 35.8%의 도시인구 증가률을 보였다. 이후 계속해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면서 도시화 역시 가속화되었다. 우리나라의 도시화 특성을 분석하면 1960년대는 절대빈곤을 넘어서려는 농촌지역의 압출요인에 의해 이촌향도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1970년대는 공업이 발전됨에 따라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한 대도시의 유인요인에 의해 저렴한 노동력을 중심으로한 인구이동이 일어났다. 1980년대는 수도권과 5대 도시의 확산과 함께 지역간 (인구이동 + 자연적 인구)의 절대적 성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는 수도권 등 대도시 중심의 사회적인 인구 이동은 약화된 반면에 대도시 자체의 자연적인 인구 증가가 일어났다. 정철모, 21세기를 향한 도시 개발
제 3차 국토종합개발 계획에서는 도시화율이 2010년에 89.7%, 2020년에는 90.0%로 전망한바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화 현상은 표 1과 표 2에 잘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지재성외, 1996, 환경모범도시 건설을 위한 기반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귀곤, 1993, 생태도시계획론 : 에코폴리스 계획의 그 이론과 실제, 대한교과서
이상문 외, 2000, 친환경적 도시계획수립 방안 연구, 환경부
정철모, 2000, 21세기를 향한 도시개발, 전주대학교출판부
김상호, 2000, Green Town 개발 사업,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소희. 1999, 지구생태이야기 생명시대, 학고재

참고 사이트
http://www.ksdn.or.kr/-서울시 생태도시계획 대안의 수립, 박종화
http://www.unep.or.kr
http://www.nso.go.kr/-통계청
http://www.stat.go.kr/ -STAT-KOREA
http://webseoul.metro.seoul.kr/-서울시 통계 연보
http://www.isocenter.ne/
http://www.la21.or.kr/-지방의제 21 전국협의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