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

 1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1
 2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2
 3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3
 4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4
 5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5
 6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6
 7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7
 8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8
 9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9
 10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10
 11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11
 12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12
 13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강호시조의 유형과 그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본론
1. 육가
1) 육가의 유래
2) 도산육곡
3) 도산육곡이 후대에 미치는 영향
2. 구곡가
1) 구곡가의 유래
2) 고산구곡가
3) 고산구곡가가 후대에 미치는 영향
3. 전원시조
1) 전원시조의 유래와 개념
2) 농가
3) 전원시가 후대에 미치는 영향
4. 어부가
1) 어부가의 유래
2) 어부단가
3) 어부사시가
4) 어부단가와 어부사시가가 후대에 미치는 영향

Ⅲ.맺음말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3) 고산구곡가가 후대에 미치는 영향

구곡관련 문화의 향유 즉 주자의 무이구곡을 동경하는 가운데 무이구곡도를 감상하거나, 차운시를 창작하고, 개별적인 구곡을 경영하는 일은 19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행보와 발맞추어 율곡의 고산구곡 역시 구곡관련 문화의 일부를 차지하며 독자적인 전통을 수립할 수 있었다.

가 후대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는 단언하기 쉬운 일이 아니다. 조선후기까지 한시 구곡시 혹은 에 대한 차운시가 지속되었고, 게다가 구곡가사까지 등장했던 상황을 감안할 때, 시조라는 개별 장르로서의 독자적 전통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곡가계 시조로 언급할 수 있는 작품은 권섭의 를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에는 우리말 구곡시가도 한시 구곡가도 모두 전작을 답습하는 등 새로운 창작의 길을 모색하지 못하였다. 당시 구곡시를 살펴보면 이상향을 향촌의 구곡으로 옮겨놓기는 했지만 실제로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채 그저 모방하는 것에 그치는 경향이 있었다. 19세기에는 새로운 창작의 길을 모색하지 못했던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율곡의 와 주자의 는 권위적인 전형을 구축한 가운데 사상과 문학과 회화 방면에서 지속적으로 관련 작품을 산출하며 공존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3. 전원시

1) 전원시의 유래와 개념

일반적으로 전원문학이란 서양에서는 그 기원을 B.C 300년경 그리스의 시인 테오크리투스(Theocritus)로 소급할 수 있으며, 대표작가로는 B.C 70년경 베르길리우스(Publius Vergilius)를 꼽을 수 있는데, 그의 문학은 낭만적인 자연풍경을 배경으로 하는 목가적 생활상을 담고 있는 문학이었다. 하지만 그 내용은 농사를 짓는 민중의 삶이 아닌, 행복한 순간을 즐기는 목부를 표상하고 있으며, 독백 또는 대화를 사용한 짧은 서정양식을 지향했다. 따라서 전원시라고 하기보다는 목가시라고 하기도 한다. 동양의 경우는 중국 도연명의 와 같은 작품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작품에서도 도연명의 세사를 벗어나 즐기는 생활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권정은, 『자연시조: 자연미의 실현 양상』, 도서출판 보고사, 2009, 31쪽 참조.

전원시의 사전적 의미는 ‘전원의 생활이나 정경을 읊은 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전원시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의 현실과 맞고, 더불어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병국, 「의 한적」, 『성균관어문연구』31, 1991.
김병국,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출판부, 1995.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대 출판부, 1986.
권정은, 『자연시조 : 자연미의 실현 양상』, 보고사, 2009.
박완식, 『한국 한시 어부가 연구』, 이회, 2000.
신연우, 「조선조 사대부 시조의 정치-흥취 구현 양상과 의미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4.
신영명, 「17세기 강호시조에 나타난 전원과 전가의 형상」, 『한국시가연구』6집, 한국시 가학회, 2000.
임형택, 「17세기 전후 육가형식의 발전과 시조문학」,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 작과평사, 2002.
이건청, 『한국 전원시 이론』, 문학세계사, 198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사업사, 2004.
조동일, 『한국시가의 역사의식』, 문예출판사, 1993.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을유문화사, 1954.
조윤제, 『국문학 개설』, 동국문화사, 1955.
최진원, 『한국고전시가의 형상성』, 성대출판부,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