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

 1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
 2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2
 3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3
 4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4
 5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5
 6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6
 7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7
 8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8
 9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9
 10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0
 11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1
 12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2
 13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3
 14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4
 15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5
 16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6
 17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7
 18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공학계열
  • 2010.11.24
  • 18페이지 / hwp
  • 2,000원
  • 6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사] 염이 W/O에멀젼 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에멀젼
2.1.1 에멀젼의 구성요소
2.2.2 에멀젼의 종류와 형태
2.2 염
2.2.1 Nacl이 O/W 에멀젼입자에 미치는 영향
2.2.2 Nacl이 W/O/W 에멀젼입자에 미치는 영향
2.3 점도

3. 실험방법
3.1 실험재료
3.2 실험 방법
3.2.1 염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W/O에멀젼의제조
3.3 W/O에멀젼의 물성측정

4. 결과 및 고찰
4.1 W/O에멀젼의 점도
4.1.1염의종류와 농도에 따른 점도변화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염의종류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Potass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와 각각의 염에 대한 농도를 0.20, 0.40, 0.60, 0.80, 1.00wt%로 달리하여 제조한 W/O에멀젼의 점도를 측정함으로 염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서 W/O에멀젼 점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하였다. 또, 그 즉시의 점도와 익일점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각각의 염을 첨가한 W/O에멀젼에서의 즉시점도와 익일점도는 모두 첨가한 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점도도 높게 나타났고, 1일 경과 후 측정한 익일점도는 즉시점도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1. 南基大, 界面活性劑 (Ⅰ) - 基礎的 物性, 修書院, 1991.
2. Kao Co. "Surfactant", First Edition 103, Tokyo, Japan, 1986.
3. Edwards E. Linn, Wanaquem, N. J. Thomas O. York, Indeanapolice, Ind. "Skin moisturizing microemulsion" US PAT. No. 4,797,273, 1948.
4. J. H. Schulman & T. S. McRoberts, Trans. Faraday Soc., 42 B, 165, 1946.
5. J. Swarbrick, J. Pharm. Sci., 54, 1239, 1965.
6. M. A. Thevenin, C. Carcuner, J. L. Grossiord and M. C. Poelman, 18th IFSCC, Venezia(poster), 1994.
7. Magda E1-Nokaly and Stig E. Friberg "Microemulsion" Cosmetic & Toiletries vol 97. June, 1982.
8. Schulman, J. H., and Cockbain, E. G., Trans. Faraday Soc. 36, 551, 1940.
9. 이원묘 장판식 신명곤, W/O 형 유화계의 유화안정성 분석에 있어서의 유화안정지수와 HLB 값과의 관계 규명, 분석과학, 1994, 유화학회지, p107~108, 1992
10. 하윤식, 손만식, 백우현, 비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연구, 기초과학연구소, p169~107, 1992
11. 하윤식, 손만식, 백우현, 비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그룹의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p56~57, 1994
12. Y. Moroi, “Micelles”, Plenum Press, New York, 1992
13. Water-in-Oil Emulsion Formation: A Review of Physics and Mathematical ModellingEmergencies Science Division, Environmental Technology Centre, Canada.
14. 계면활성제의 응용. 정밀화학심포지움.p201∼232
16. D.J. Shaw. "Introduction to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4th ed".Butterworth Heinemann Ltd, Oxford. p5∼38. 1992.
17. 김도희, 혼합비이온계면활성제의 조성에 따른 W/O 에멀젼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P23~26, (1993).
18. M. J. Rosen,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2rd. ed, Wiley-Interscience (1989).
13. P. C. Hiemenz, Priniciples of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2nd, ed., Dekker. N.Y., 469 (1986).
19. 안범수, 음이온/양쪽성 계면활성제 혼합미셀의 물리화학적 특성, Vol. 21, No. 3, 유화학회(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