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

 1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
 2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2
 3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3
 4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4
 5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5
 6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6
 7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7
 8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8
 9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9
 10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0
 11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1
 12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2
 13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3
 14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4
 15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5
 16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6
 17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7
 18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8
 19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19
 20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교육론] `어부사시사`의 교육적 효과와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작품 선정 이유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Ⅱ. 작가 및 작품 소개
1. 윤선도와
2. 의 형식적 특징
3. 의 내용적 특징
4. 의 표현적 특징
Ⅲ. 의 교육적 효과
1. 언어 교육적 측면
2. 문화 교육적 측면
3. 생태 교육적 측면
Ⅳ. 의 교수-학습 방법
1. 시적 화자의 삶에 대하여 토론하기
2. 텍스트 변용
Ⅴ. 결론

본문내용
2) 윤선도의 문학관
고산은 감정이 발달했던 사람으로 순 학자적, 또는 시인적 기질을 타고 난 사람이다. 솔직하고 담백한 면은 있으나 청탁을 병탄하는 도량은 갖지 못했다. 어디까지나 진실하고 근엄한 선비로 일거일동에 주의하여 유가구도에 맞도록 한 사람이었다. 고산의 이러한 인품과 성격을 볼 때 그의 문학관 역시 어떠한 전개를 보여줄 지 충분히 짐작된다.
퇴계는 일찍이 제자들에게 학문은 도를 궁리하여 그것을 실천함에 있는 것이어서 몸이 행하지 못하고 기교나 부리고 말이나 다듬는 수사에만 전념하는 것을 경계하며, 또 문예는 성정의 근본을 흐리게 하고 세상의 번거로움만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했었다.
고산의 시문관도 퇴계의 입장에서 크게 벗어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고산은 충직이란 도덕적 주관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일평생 관통할 수 있는 강고한 의지의 인물이었다. 고산은 어떠한 경우에 처하더라도 부자, 군신의 윤리에서는 벗어날 수 없었고 언제 어디에서나 선현과 선왕들의 유풍을 가영한 인물이었다. 가영한다는 것은 시를 읊거나 노래를 불렀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니 유교 도덕적 윤리관은 그의 자연관인 동시에 시가관의 핵심사상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고산은 시란 그것으로써 사람의 성정을 읊조리고 정신을 유통시키는 것이니 그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런데 백성의 떳떳한 본성과 사물의 법칙에 관계되는 것을 읽으면 이로움이 있게 되고 그런 것을 행하면 그 능함을 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인정과 물태에 관하여 말한 것을 보면 박학다식의 바탕이 된다고 했다. 고산은 이와 같은 문학을 교시적 기능에 의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결정된 윤리관이나 도덕적인 생각에 의해 우리를 교도하고자 하는 글은 도의 진흥을 위한 논문이나 수신 교과서는 될 수 있어도 문학작품일 수는 없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고산의 이론은 악을 족히 징계할 수도 없고 선을 족히 본받을 수도 없는 그런 따위의 시는 대수롭지 않은 말들이니 볼만한 것이 못된다고 했다. 고산은 이와 같이 문학을 권선징악의 수단으로 보거나 어떤 특정 목적을 위한 방편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는 그 당시 사대부 중에서 한문에 중독되지 않은 사람이 없었으며 한문으로 글을 쓰지 않으면 자신의 품위가 크게 손상된다고 생각하던 시절에 우리말, 우리글을 사용하여 를 지었다. 이는 그의 국어의식, 자아의식, 주체의식 등이 누구보다도 투철했었다는 것을 실증해 주는 좋은 예이다. 그래서 김사회(金思㦊) 같은 이는 고산으로 말미암아 조선어의 미가 발견되었고 조선어를 예술적으로 승화양양 시켰다고 찬사를 보냈던 것이다.
이러한 고산의 문학은 크게 3기로 구분된다. 함경도 경원 유배지에서 지은 ‘견회요’, ‘우후요’로 대표되는 초기와 해남의 금쇄동과 완도의 보길도 등지에 머물며 지은 ‘산중신곡’, ‘산중속신곡’, ‘어부사시사’로 대표되는 중기, 그리고 경기도 양주의 고산에서 지은 ‘몽천요’로 대표되는 후기가 그 구분점이다.
초기의 작품이 현실참여가 박탈된 유배지에서 지은 것이라면, 중기의 작품은 은거지에서 이상적인 절대공간을 노래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경향은 후기에 갈수록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그의 작품들은 그가 처한 공간에 따라 현실참여에 대한 동경과 갈망, 그리고 탈속적 자연에서의 안주와 몰입 등의 상반된 욕구가 팽팽한 긴장관계를 이루고 있다.
현산면 금쇄동에서 지었던 ‘오우가’에 등장하는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존재가 아니다. 물은 흘러가는 물이 아니며 달은 세상 만물
참고문헌
이용숙(1986),「고산 윤선도의 시가 연구」원광대학교 박사논문.
정운채(1995),「윤선도-연군지정과 이념의 세계」, 건국대학교 출판부.
김사엽(1956),「도학자의 가곡관」,『경북대논문집 제 1집』.
김대행(1995),『국어교과학의 지평』,서울대학교출판부.
조동일(2005),『한국문학통사』,지식산업사.
김수업(1994), 「윤선도론」,『배달말 제19호』, 배달말학회.
조윤제(1937), 『조선시가사상』, 박문출판사.
박춘우(2003), 「의 교육방안 연구」,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강미영(1990),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 연구」, 『배달말15』, 배달말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