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1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
 2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2
 3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3
 4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4
 5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5
 6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6
 7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7
 8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8
 9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9
 10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0
 11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1
 12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2
 13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3
 14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4
 15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5
 16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6
 17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7
 18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8
 19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19
 20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유완소의 생애

2. 학술사상의 배경 및 의학관

2-1. 시대적 배경
2-1-1. 전쟁으로 인한 역병의 창궐
2-1-2. 『화제국방』의 폐단
2-1-3. 지역적인 특성
2-1-4. 운기학설의 성행

2-2. 의학관
2-2-1. 이론 연구를 중시
2-2-2. 因時, 因地制宜에 따라 이론과 실제를 결합
2-2-3. 哲學的 素養
2-2-4. 取物此象法

3.유완소의 학술사상

3-1. 오운육기학설
3-1-1. 오운육기학설과 자연관
3-1-2.운기학설의 운용
3-1-3. 亢害承制論

3-2.화열론
3-2-1. 화열론은 하간의 중심 이론이다.
3-2-2. 「素問」 ‘病機19條의 확충
3-2-3. 燥病病機의 증보
3-2-4. 六氣는 모두 火化를 따른다.
3-2-5. 五志가 지나치면 모두 化火한다.
3-2-6. 寒冷 위주의 治則

3-3. 상한학설에 대한 발전
3-3-1. 傷寒病의 機理
3-3-2. 傷寒六經에 대한 의의
3-3-3. 상한 열병의 치료
3-3-4. 후세에 대한 영향

4.유완소의 저작

4-1.『素問玄機原病式』
4-2.『黃帝素問宜明論方』
4-3.『素問病機氣宜保命集』
4-4.『傷寒直格』
4-5.『傷寒標本心法類萃』

5 .유완소 학술사상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5-1. 사주 명리학
5-2. 내상화열론
5-3. 중풍내인론
5-4. 運氣의 예측과 진료에의 응용

6. 참고자료


본문내용

3-1-2.운기학설의 운용

유완소는 太極元氣는 하나이고, 兩儀陰陽은 둘이며, 오운음양은 다섯이고, 삼음삼양은 여섯으로 이것이 자연변화의 기본적인 순서이다. 이를 도구로 삼아 자연과 인체가 변화하는 과정을 해석석하고, 아울러 질병의 발전과 변화를 추산하는 이론에 응용하였다. 이로써 그가 지적한 운기는 실제로 오운음양이나 육기음양과 같이 천지가 변화하는 기본규칙 혹은 기본적인 숫자의 배열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素問七篇大論에서 말한 60년간지년을 주기로 삼는 운기학설도 포함되어 잇다. 이러한 주기는 천지변화의 규칙이다. 그 속에 반영되는 기본 원리는 특히 질병치료의 법칙으로 제시되어 동양의학의 정수로 인정되고 있다. 그는 비록 운기학설을 추종하였지만 이론적인 중점은 운기에 따른 조화의 이치를 유추하는데 있었다. 그가 언급한 오운과 육기는 운기학설에서 지적한 大運과 客氣는 단순이 客運, 主氣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즉 자연이 변화하는 과정의 기본 규율은 客運이 변화하는 과정임을 강조하였고,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걸을 나아가 병기를 설명하는데 활용하였다. 먼저 병기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소문현기원병식」에서 「五運主病」과 「六氣主病」으로 나누었지만, 유완소는 客運으로 질병을 설명하고 있다. 도 임상적인 측면에서 운기학설을 기계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天時, 地理, 人事에 따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유완소는 『내경』의 ‘人與天地相應’의 이론을 종합하여 정상적인 정황과 병리적인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목주춘, 재육기위풍(온), 재인체위간
화주하, 재육기위열, 재인체위심
토주장하, 재육기위습, 재인체위비
금주추, 재육기위조(청), 재인체위폐
수주동, 재육기위한, 재인체위신

병리변화 발생시
▼▼▼▼▼▼
폐본청, 허즉온
심본열, 허즉한
간본온, 허즉청
비본습, 허즉조
신본한, 허즉열


이렇듯 유완소는 오운육기와 인체의 장부를 연결시키고 아울러 溫淸寒熱에 따라 각 장기(臟氣)의 허실을 관찰하면 熱屬實, 寒屬虛, 熱屬心, 寒屬腎과 같이 일방적으로 인식하지는 않게 된다고 하였다.


3-1-3. 亢害承制論

亢害承制論은 六氣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만일 하나의 氣가 너무 항성하면 폐해를 일으키고 항성한 기를 제약해야 정상으로 해복되야 한다는 뜻이다. 육기와 장부의 사이에는 모두 상호제약,상호의존의 관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임상에서 오행의 생극관계로 병리의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유완소는 오행의 이치는 갈마들어 서로를 기르는데 이를 和平이라고 이르고, 서로 교류하거나 克하고 伐하는 것을 興衰라고 이르니 變亂이 있어서 항상됨을 잃으면 재해가 생긴다고 하였다. 이는 『내경』에서 ‘運氣過亢則害物, 相互承制則生物(亢害承制論)’의 이론을 운용하여 병리현상의 본질과 표상의 내재적 연계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유완소는 오운육기가 서로 乘制하여 사물이 비평형 중에서 상대적 평형을 구하여 그 정상적 생리운용의 필요조건을 유지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관계의 존재로 말미암아 기후가 태과나 불급에 이르지 않으며 만물이 生化不息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봄에는 風木이 왕하여 풍이 많으니 風이 大하면 도리어 서늘해지는데 이는 金이 化하여 木을 制한 것이다. 매
참고문헌
1. 김지권. 2000년. 難經 第七十五難을 中心으로 한 金元四大家의 火熱論에 대한 文獻的 硏究. 대한동의병리학회지. 제14권 1호. 29~44p

2.정성채, 장희욱, 박현국, 이병욱, 김기욱. 2005년. 유완소(劉完素)의 방제학설(方劑學說) 및 임상경험(臨床經驗)에 관한 연구(硏究) -"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을 중심(中心)으로-關於劉完素的方劑學說及臨床經驗的硏究-"黃帝素問宣明論方"爲核心- .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제18권 4호. 101-119p

3. 이동호, 박찬국. 2000년 12월 23일. 劉河間의 運氣論과 그 運用에 관한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제13권2호. 107-145p

4. 김기욱, 박현국. 소문현기원병식의 병기이론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한의학대학 원전의사학교실.

5. 黃帝內徑素問

6. 張中景 . 傷寒論

7. 劉完素. 素問玄機元病式. 中國中醫學出版社. 1995

8. 劉完素. 素問玄機宜保明集. 中國中醫學出版社. 1995

9. 劉完素. 黃帝素問宜明論方. 中國中醫學出版社. 1995

10. 엄기동. 2009년 8월 17일.한방(韓方)으로 신종플루 공포 넘는다. 의학신문

11. 장기성(지음), 정창현(경희대 한의대 교수)・백유상・장우창・정우진 공동 옮김. 한의학의 원류를 찾다 :易學과 韓醫學

12. 장희욱. 2006.02. 유완소의 의학사상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3. 김봉현, 신영일, 이해복. 金元代까지의 傷寒論治法에 대한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8권, 4호, 155-166p. 2005

14. 윤창렬, 홍원식. 1984.12.05. 金元時代 醫學의 學術的 特徵. 경희한의대논문집 제7권1호 435-454

15. 김민석,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1997. 유완소(劉完素)의 중풍론(中風論)에 관(關)한 고찰(考察).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18(1) 270-278

16. 韓國의 鍼灸社 編輯部 編. 2001. 漢醫學史2. 韓國의鍼灸 132(2001.3) pp.121-128

17. 민진하 . 2005.02. 하간의 『내경』 이론 활용에 대한 연구.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8(2) 102-123

18. 宋哲鎬 . 1982.08.30. 하간의 생애와 의학사상.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