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

 1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
 2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2
 3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3
 4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4
 5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5
 6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6
 7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7
 8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8
 9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9
 10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0
 11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1
 12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2
 13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3
 14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4
 15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5
 16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6
 17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7
 18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8
 19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19
 20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중세전기문학 -삼국,남북국 시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과서 전문 요약

Ⅲ. 시대적 특징, 문학담당층 분석, 문학사적 의의 조명과 해당 작품별 논의
3.1.1. 시대적 특징
3.1.2. 문학사적 의의
3.1.3. 문학담당층
3.1.4. 주요 작품


Ⅳ. 의문점 논의


Ⅴ.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5.5. 설화에 나타난 상하·남녀 관계
5.5.1. 신화적 상상의 유산
- 삼국·통일 신라 시대의 설화
: 한문학·향가의 한계로 당시의 다른 어느 영역보다 설화가 큰 구실을 함
- 기록문학의 시작. 그러나 향유자의 범위를 들어 말하면 민요나 설화가 주도하는 시대가 계속됨 → 설화의 시대에서 소설시대로 넘어오면서 문학의 저변이 오히려 축소됨
- 설화에 있어서 문학사
: 설화를 문학사 안으로 끌어들여야 당시의 생활상 및 의식의 파악이 가능
: 설화에서 사실을 찾으려는 관점과 상상을 평가하려는 관점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작업을 감당해야 함 → 삼국·통일 신라 시대의 이해를 위해 설화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 설화의 역사적 변천
: 신화시대→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전설·민담)→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소설)
: 전설·민담이 시대정신의 서사적 표현을 맡음→근대소설이 서사문학을 지배하면서 중세의 전설·민담의 독점적 지위가 무너짐
- 신화의 변화
: 신화시대가 끝났다고 해서 기억에서 사라진 것은 아님. 그러나 신화이고자 한 이야기가 전설일 수밖에 없게 된 것이 주목해야 할 변화임
: 선도산성모(仙桃山聖母), 가야산신 정견모주(正見母主), 연오랑과 세오녀, 미추왕의 죽엽군(竹葉軍), 혁거세·탈해·알지 → 신화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전설의 예
: 중세인들이 납득할 수 있는 설명을 해야 했기에 이야기의 변모가 나타나게 됨
: 신화의 시대가 끝났다고 해서 신화가 사라진 것은 아니며, 이어지고 다시 만들어짐. 그러나 신화이면서 전설인 이중의 성격을 지녀야 전승이 가능했기에 신화의 구실은 축소되고 구조가 이지러지게 됨

5.5.2. 고승의 기이한 행적
- 불교신화 : 불교는 재래의 신화를 새로운 사고체계에다 편입시키면서, 본래의 의의는 인 정하지 않고 불교의 정착에는 도움이 되게 함
: 전설의 전개방식 사용+사찰연기담 →세계의 전설적 경이를 더욱 확대시킴
- 불교신화의 한계 : 가섭불(迦葉佛) 연좌석(宴坐石), 의 (臺山五 萬眞身) - 신화의 신성성을 획득하지는 못하고 전설의 영역에 그침→ 불교신화가 등장하는 새로운 사태 때문에 신화시대가 재현된 것은 아님
- 고승담
: 대중을 상대로 해서 재래신앙에 대한 불교의 우위를 입증하고, 깨달음이 무엇인지를 납
득할 수 있게 하고,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알려주려고 하는 이야기
: 특징 1. 밖에서 가져오지 않고 안에서 만들었음
2. 대중이 수용자로 머물지 않고 창작자로도 참여해 합작품을 만들었음

참고문헌
조동일, 『(제4판)한국 문학 통사 1』, 지식산업사,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