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

 1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1
 2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2
 3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3
 4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4
 5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5
 6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6
 7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7
 8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8
 9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야기][이야기 개념][이야기 어원][이야기 제의적특성][이야기 이론적내용]이야기 제개념, 이야기 어원, 이야기 제의적특성, 이야기 이론적내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야기의 제 개념

Ⅱ. 이야기의 어원

Ⅲ. 이야기의 제의적 특성

Ⅳ. 이야기의 이론적 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이야기의 제 개념

서사(narrative), 담론(discourse), 스토리(story)라는 용어의 각각 다른 개념을 분명히 하는 일이 우선이다. 이들 세 용어는 모두 ‘이야기’로 불릴 수 있지만, 각각 다른 개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야기를 의미하는 서사와 담론과 스토리의 개념이나 의미 사용 영역을 분명히 해야 한다.
먼저 서사는 이야기를 가장 넓게 보는 용어이다. 신화, 전설, 민담도 서사이고, 소설도 서사이며, 전기나 영화나 드라마도 서사이다. 또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감동적인 이웃의 일화도 서사이다. 서사의 개념 영역은 이렇듯 허구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을 포함한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의 『서사교육론』에서는 ‘이야기’라는 용어가 환기하는 옛날이야기와 이야기의 현대적 전개 양상의 하나인 소설이 주는 제한을 벗어나, 서사론적 관점에서 인간 세상 어디라도 흩어져 있는 이야기로서 ‘서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서사가 인쇄 매체뿐만 아니라 비인쇄 매체에 담긴 이야기까지 포함하는 아주 넓은 의미 영역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담화, 담론, 언술이라 불리는 디스코스(discourse)는 서사의 표현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을 구분하여, 표현(expression)적인 면을 다룬 의미로 사용된다. 우한용은 소설의 실체에 해당하는 언어체를 담론으로 규정하였고, 김상욱은 쉬프린(D. Schiffrin)과 그레마스(Greimas)를 인용하여, 사용된 언어로서의 담론이라는 의미와 함께 언어 사용의 과정에서 담론 생산자의 활동이 각인된 언어체를 포괄하여 담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 담론이라는 용어는 김상욱도 언급하였듯이 이야기의 언어가 어떤 기능을 하는가에 초점을 둔 용어로 이해된다. 담론이 소설교육론의 중요한 용어로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끝으로 서사의 내용(content)면인 이야기 그 자체를 스토리(story)라 한다. 토도로프(T. Todorov)는 이야기를 작중 인물의 세계로, 리몬 케넌은 스토리를 일련의 사건으로 설명한다. 한편 아쉽게도 에이브람스(M.H. Abrams)의 문학용어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이 스토리(story)가 서사론 사전에서는 5가지의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는데, 등장 인물과 관계를 갖는 여러 사건의 인과적인 연쇄를 스토리로 정의하는 프린스(Gerald Prince)의 관점이 이야기 개념을 정의하는 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관점은 나병철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다. 나병철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주체(인물)-객체(환경) 관계로 된 하나의 세계로 본
참고문헌
◉ 강내희(1992), 담론의 안팎: 몇 가지 담론이론에 관한 소고, 인문학 연구 17집, 중앙대 인문과학 연구소
◉ 다이안 맥도넬, 임상훈 역(1992),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 덕화 역(1999), 서사란 무엇인가, 서울: 문예출판사
◉ 베델하임, 김옥순·주옥 역(1998), 옛이야기의 매력1·2, 시공주니어
◉ 우한용 외(2001),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 임경순(2003), 서사교육론, 한국문화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