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

 1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1
 2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2
 3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3
 4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4
 5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5
 6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6
 7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7
 8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8
 9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이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유형원,이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정약용,홍대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양촌 권근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저서

Ⅱ.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

Ⅲ.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율곡 이이
1. 율곡의 사상과 저서
2. 교육사상의 현대적 이해

Ⅳ.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반계 유형원

Ⅴ.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성호 이익

Ⅵ.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다산 정약용
1. 생애
2. 교육사상

Ⅶ. 조선시대 실학 교육사상가 담헌 홍대용
1. 사상적 근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제도 개혁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양촌 권근

1. 교육목적

- 明人倫을 통한 인재양성
- 수양덕목으로 공, 근, 관, 신을 내세웠다.

2. 교육방법

심리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소학을 인륜에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3. 저서

- 권학사목
- 향학사목
- 수창궁 재상서
- 입학도설

Ⅱ.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

①주리론적 견해에서 성리학 이론을 체계 발전을 가져오다.(형이상학, 도덕규범, 정신세계 강조)
→ 교육철학에서는 계명(신념을 고취하는 교육)으로서의 교육과 같다.
②향약을 조선의 실정에 알맞게 적절히 편성 조직하다.
③도산서원을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치중하다.
④군주훈계교육을 역설하다.(성학 10도) → cf) 설총의 화왕계: 군주훈계교육을 강조
⑤교육목적을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두었으며, 교육이념은 도덕인의 양성에 두었다.
⑥사학 교육발전에 기여하다.
⑦교육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문을 하는데는 『입지(立志)』가 근본이 되어야 한다.
㉡학문을 하는데는 『궁리(窮理)』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경(敬)』은 학문을 하는 첫걸음이니, 이를 정성껏 대하는 것이다.
㉣글을 읽는 것은 그 뜻을 알기 위해서 읽는 것이니 『열독(熱讀)』해야 한다.
㉤배우는 것은 자기가 알기 위함이요, 실행하기 위함이니 『심득궁행(心得躬行)』하여야 한다.
㉥학문은 독서에만 있는 것이 아니니 사회의 여러 가지 사실에 대한 견문(見聞)을 넓히는 일이다.
㉦배움은 자기의 마음속에서 깊이 생각하여 스스로 얻는 『潛心구得』인 것이다.
⑧교육이론은 이기이원론, 4단 칠정설, 지행병진설 등을 들 수 있다.
⑨경(敬), 궁리(窮理), 입지(立志) 의 사상을 중시하다.
⑩저서 : 성학십도, 퇴계집, 이황통록, 이산원규 등이 있다.
⑪도덕적 인격을 배양키 위한 “행동규범”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⑫ 이퇴계는 과거를 통한 인재양성 반대
㉠학문을 하는자는 기력을 생각하여 방일(放逸)하지 말라는 것이다.
㉡학문을 하려는 자는 자기의 일은 자기의 힘으로 행하라.
㉢학문은 참고 끝까지 한결같은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독서할 때는 허심하여 딴 생각을 하지 말고, 본문에서 그 현제의 뜻을 찾도록 하라는 것이다.
㉤일상적인 생활을 통해서 사물의 참된 뜻을 찾아라.
㉥학문을 하는 자는 자기주장만을 일삼지 말고 남의 것을 존중하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태준, 홍대용 평전, 한길사
․ 금장태(1998),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민족문화추진회(1997), 국역 퇴계집 I
․ 윤천근,김복영(1999), 퇴계 선생과 이황
․ 한국철학사연구회(1997), 한국철학사연구, 한울아카데미
․ 황의동,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서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