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형성 삼출성 홍반

 1  다형성 삼출성 홍반-1
 2  다형성 삼출성 홍반-2
 3  다형성 삼출성 홍반-3
 4  다형성 삼출성 홍반-4
 5  다형성 삼출성 홍반-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형성 삼출성 홍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緖 論
II. 本 論

1. 정의/원인/병태생리
2. 주관적 증상
3. 임상 양상
4. 평가/감별진단
5. 치료
6. 한의학적 관점의 다형홍반
7. Steven-Johnson syndrome(SJS)
III. 考察 및 結論
參 考 文 獻
본문내용

다형성 홍반의 초기의 조직 소견은 내피세포의 팽창, 진피유두의 부종 및 혈관 주위의 림프구 침윤이 있으며 후기에는 표피의 괴사, 표피-진피 경계부의 변화, 표피하 또는 흔하지 않으나 표피내에서 중간 분리가 일어나고 수포가 형성된다.
병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보체 및 면역 글로불린이 미세혈관 구조물에서 존재한다는 보고도 있으며, 혈청에 순환 면역 복합체가 존재한다. 즉 혈관벽에 면역 복합체의 존재는 이 병인의 1차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단순포진과 관련된 다형홍반은 단순포진 바이러스 항원이 상피내에 존재하여 부경로를 활성화시켜 발생한다. 그 외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가설도 있다.
여기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는 감염, 약제, 내분비 및 교원성 질환, 백혈병 등을 포함한 내재된 악성질환 등이 있다. 이중 단순포진 감염증이 15~79%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큰 원인이며 그 외 기타 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 등도 다형홍반을 일으킬 수 있고 penicilin, barbiturates, sulfonamides 및 자외선이 유발인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약 50%에서는 어떤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까지 논란이 있으나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흔하고 경미한 경과를 보이는 형태와 피부 점막을 침범하는 Stevens-Johnson 증후군, 독성 표피괴사융해증과 같은 심한 경과를 보이며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2. 주관적 증상
전조 증상은 거의 없으며 경미한 권태, 인후통, 상기도 감염이 발진에 앞서 나타난다. 드물게 병변은 바늘로 찌르는 듯하거나 화끈거리고 커다란 수포는 통증을 호소한다. 심한 환자들은 발열, 권태 및 점막의 심한 통증이 2차적인 수명(photophobia)와 함께 나타나고 음식이나 음료수를 삼킬 수 없게 된다.

3. 임상 양상
1) 피부병변은 병명이 의미하듯이 다양하며 많은 변형이 있다. 팽진과 유사한 홍
참고문헌
주용진, 최영자, 성호석. 다형홍반의 병리조직학적 고찰. 인제의학 제11권, 제 3호, pp.339~345, 1990
안성구, 성열오, 정준, 지혜구, 황상민. 개원의를 위한 common skin disesase. 퍼시픽 출판사. p.361~366
C. Leaute-Labreze, T Lamireau, D Chawki, J Maleville, A Taieb.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erythema multiforme and Steven-Johnson syndorme. Arch Dis Child 20000;83;p.347~352
전국 한의과대학 피부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국피부외과학. p.370~371
C. Leaute-Labreze, T Lamireau, D Chawki, J Maleville, A Taieb.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erythema multiforme and Steven-Johnson syndorme. Arch Dis Child 20000;83;p.347~352
Kow-tong Chen 등. Outbreak of Stevens-Johnson Syndrome/Toxic Epidermal Necrolysis Associated With Mebendazole and Metronidazole Use Among Filipino Laborers in Taiwa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March 2003, Vol 93, No.3, p.489~492
Alfred K. Yeung, Ran D. Goldman. Use of steroids for erythema multiforme in children. Pediatrics Pearls. p.1481~1483
김연진.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약제에 의한 다형홍반에서 r δ T 세포 수용체의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8. 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