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

 1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
 2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2
 3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3
 4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4
 5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5
 6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6
 7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7
 8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8
 9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9
 10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0
 11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1
 12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2
 13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3
 14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4
 15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5
 16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6
 17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7
 18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8
 19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19
 20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작품] 이상곡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관련 기록을 통해 본
2. 제명
3. 어구해석
(1) 원문
(2) 표기상의 차이
(3) 어구해석
4. 내용
(1) 임 그리는 노래
(2) 연군지사의 노래
(3) 불교적 성격의 노래
5. 구조
6. 작자
(1) 작자 미상 창작가요
(2) 특정 개인 창작가요
7. 창작시기
(1) 장효현의 견해
(2) 박노준의 견해
Ⅲ. 결론
Ⅳ. 지도안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어구해석
《악장가사》에 실려 있는 다른 고려속요의 노랫말과 달리 의 경우에는 “○” 표시가 없어서 행을 구분 하는데 학자들 간의 견해가 다르다. 여기에서는 박병채의 견해에 따라 행을 나누어 보았다.
비 오다가 개야 아 눈 하 디신 나래
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
잠간 내니믈 너겨
깃 열명길헤 자라오리잇가
죵죵 霹靂 生陷墮無間
고대셔 싀여질 내 모미
죵 霹靂 아 生陷墮無間
고대셔 싀여질 내 모미
내님 두고 년뫼 거로리
이러쳐 더러쳐
이러쳐 더러쳐 期約이잇가
아소 님하  녀졋 期約이이다

『악장가사』






1> 비 오다가 개야 아 눈 하 디신 나래

• 비 오다가 개야 - 비가 오다가 개어
• 아 - ㉠ 악률 맞추기 위한 삽입음(양주동)
㉡ 감탄사(박병채)
㉢ -서 (지헌영, 강헌규)

• 눈 하 디신 나래 - 아 눈이 많이 내리신 날에

2> 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 서린 - ㉠ 서리어 있는 (양주동,박병채,박노준)
㉡ 서리(霜)는 (남광우,장효현,최철)
㉢ 많은 (강헌규 강헌규는 이상곡의 난해 어구들을 범어로 해석하였다.
)
• 석석사리 - ㉠ 나무 숲 경주 방언에서 관목이 얼크러진 숲을 석석사리라고 함
(양주동, 박병채, 지헌영)
㉡ 의성어 (발자국소리, 서리밟는 소리)(남광우, 최철, 장효현)
㉢ 불타는 육신 (강헌규)
• 조 곱도신 길헤 - 좁은 굽어 돌아 있는 길에

3>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

• 다롱디우셔 - ㉠ 음악에 의한 사설 (양주동)
㉡ 장고의 장단을 흉내낸 조율음(박병채)
㉢ 어우러지게 하시어(장효현)
㉣ 젊은(강헌규)
• 마득사리 - ㉠ 集, 聚, 皆의 의미를 가진 부사형 +부사화 접미어 ‘사리’(장효현) 集, 聚, 皆의 의미를 가진 어근 먿, 묻, 맏 을 중심으로 해석함

㉡ 석석서리와 같은 관목 총수(지헌영)
참고문헌
Ⅴ. 참고문헌
강명혜, 「 연구」『한양어문연구』13권, 한양대학교 한양어문연구회, 1995
강헌규, 「고려가요 「이상곡」 신고」, 『인문과학』 36권,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2005
권순형,「고려시대 수절의식과 열녀」,『여성:역사와 현재』, 박용옥 역음, 국학자료원, 2001
김동욱 「이조 기녀사 서설-사대부와 기녀」 『아세아여성연구』 5집, 숙명여대, 1966
김명준, 『고려속요집성』, 다운샘, 2002
김상철, 『고려시대 시가의 탐색』, 경인문화사, 2004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김학성, 「속요의 장르상의 제문제」, 『천봉이능우박사칠순기념논총』,1990
박노준, 「이상곡과 윤리성의 문제」『한국학논집』14권, 1988
이성주, 『증보 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
이임수, 「에 대한 문학적 접근」『어문학』제41호, 한국어문학회, 1981
장효현, 「‘이상곡’의 생성에 관한 고찰」,『국어국문학』92, 1984
장효현, 「이상곡 어석의 재고」, 『어문논집』 22권, 한민족어문학회, 1988
최용수, 「이상곡 고」, 『한민족 어문학』 15권, 한민족어문학회, 1998
최철, 「고려시가의 불교적 고찰」, 『동방학지』96, 정세대학교국학연구원, 1997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 20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