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

 1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
 2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2
 3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3
 4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4
 5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5
 6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6
 7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7
 8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8
 9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9
 10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0
 11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1
 12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2
 13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3
 14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4
 15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5
 16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6
 17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7
 18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8
 19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19
 20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패러디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2.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패러디의 중요성
3. 패러디의 정의

Ⅱ. 본론
1. 김춘수의 ‘꽃’ 과 패러디
⑴김춘수의 ‘꽃’
⑵장정일의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⑶오규원의 ‘꽃의 패러디’

2. 박지원의 『허생전』패러디소설 - 이남희의 『허생의 처』
⑴서사 구조 비교
⑵‘허생’ 인물비교
⑶이남희의 『허생의 처』에서의 패러디요소와 포스트모더니즘

Ⅲ. 결론
∴참고문헌
∴부록
박지원의 『허생전』원문
이남희의 『허생의 처』원문

본문내용

⑴ 서사 구조 비교
①박지원의 『허생전』
박지원(1737-1805)은 조선조 후기 실학파 중의 한 사람이었으며, 한문 작품을 많 이 남긴 문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1780년 그의 삼종형 금성위 박명원을 수행하여 청나라 건륭황제의 칠십 수(壽)를 축하하기 위한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 가했었는데, 거기에서 보고 들은 내용들을 기록한 여행기가 『열하일기』이다.
『허생전』은 『열하일기』25편 중 한편이며 허생전의 서사 구조를 간략하게 소개하 겠다.

허생전의 도입부에서는 비장들의 이야기를 통해 연행에 종사한 역관들이 밀무역으로 축재하여 종종 거부가 되기도 했던 일화들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나온 여섯 이야기들은 모두 짧은 일화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허생전』의 의미를 찾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 하고 있다. 도입부의 이야기들을 통해 박지원은 신(信)과 부(富)의 관계, 즉 상업적 신용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미란, 『한국현대소설과 패러디』, 국학자료원, 1999, pp.42-45참고
특히 제 6화는 역관 출신의 거부(巨富) 변승업에 관한 일화를 매개로 하여 경제적 행위를 개인 문제에서 사회문제로까지 확대시킴으로써 내부 이야기(우리가 알고있는 허생전)의 계기로 삼고 있다. 부자 변씨와 허생과 처음 상면하는 대목은 상업적 신용에 관한 앞서의 모티브를 계승하고 있으며 변씨는 거지꼴을 하고 돈을 빌리러 온 허생이 비범한 인물임을 알아채고 단번에 만 냥을 빌려준다. 그리고 허생은 여러 방법으로 돈을 벌고 그것으로 나라 안 빈민들을 두루 구제한 다음 남은 돈 십만냥을 변씨에게 돌려준다. 변씨는 신(信)으로 허생과 계약을 한 것이고, 허생은 변씨에 대한 신(信)을 지킨 동시에, 경세제민함으로써 백성들에 대한 선비로서의 신(信)을 보였다 할 수 있겠다.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창작과 비평사, 1990, pp.194-195 참조
그리고 허생전의 에필로그인 『허생후지』는 두편으로 되어있는데, 첫 번째 편에서 보면 도입부에 “세속에서 전하는 말이 있어 다음과 같았다”라는 도입액자의 역할을 하는 간단한 진술을 통해 전개되면서 결말액자는 없는 개방식 구조를 취하여 두 번째 이야기를 위해 열려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이야기를 보면 마지막부분에 “세상에서는 물론 이름을 숨기고 깊이 몸을 간직하여 속세를 유희하는 자가 없지 않은즉 어찌 이 허생에게만 의심할까보냐”라고 끝맺음하여 윤영과 신색과 이생원이 허생과 같은 유형의 인물일 것이라는 암시를 하고 있다. 이들은 보통 사람들같지 않은 비범함을 가지고 있으며 독자로 하여금 실존인물로서의 사실 확인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박지원이 내부 스토리에서 조선 경제의 허약성과 사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