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

 1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1
 2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2
 3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3
 4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4
 5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5
 6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6
 7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7
 8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8
 9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9
 10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10
 11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공간에 드러나는 공간 모티프 -`집`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공간 개념의 출현과 연구
1.2. 분석방향과 목적

2. 본 론
2.1. 분석
2.2. 『아가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2.3. 「흰 바람벽이 있어」/ 백석

3. 결론
본문내용
이때 박씨가 계화를 시켜 후원 협실 사방에다 나무를 심되, 동방에는 청토요 남방에는 적토요, 서방에는 백토요, 북방에는 흑토요, 중앙에는 황토요, 나무 나무 북돋아 때때로 물을 주어 무슨 형용같이 기르더니, 그 나무 무성하였는지라. 승상이 구경코지 계화를 다라 후원 협실에 들어가니, 과연 나무를 심어 무성하였는데, 그 나무가 사면에 뻗어 용과 범이 수미를 응하였고, 가지와 잎은 뱀과 각색 짐승이 되어 서로 응하여 보기 엄숙하고 운무 자욱한 듯하여, 오래 서서 이윽히 보니 그 가운데 풍운조화가 있어 변화무궁한지라. 또한 협방을 보니 문 위에 현판을 붙였으되, 호왈 “피화당”이라 하였거늘, 우상이 박씨를 보고
“저 나무가 무엇이며, 피화당이란 말은 어찌한 말이냐?”
박씨가
“길흉화복은 세상에 떳떳한 일이요, 이후 불행한 때를 만나면 저 나무로 화를 면하올 터이옵기로 당호를 피화당이라 하였나이다.” 김기현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15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p.167.

피화당의 주위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아, 이는 박씨의 위치에 변화를 가져오는 반전의 토대가 됨을 암시하고 있다. 피화당은 소설에서 신비감을 더해주는 공간이기도 하다.
군사를 몰아 피화당에 다다르니, 과연 율대의 머리를 문 밖에 달았더라. 용골대가 분기를 이기지 못하여, 칼을 높이 들고 말을 채쳐 달려들고자 하거늘....
“그 나무를 다 베어 버려라.”
하니, 문득 미친바람이 일어나며 운무가 자욱하더라. 나무마다 무성하여 무수한 장졸이 되고, 금고함성은 천지진동하며...... 기치, 창검이 별 같으며, 난데없는 신장이 갑주를 입고삼척검 들어 호병을 엄살하니....호진의 장졸들이 천지를 분별치 못하고, 주검이 구산같더라...문득 나무속으로부터 한 여인이 나와 크게 꾸짖거늘...
“무지한 용골대야, 네 아우가 내 손에 죽었거늘, 너조차 죽기를 재촉하느냐?” 김기현 역주, 위의 책, p.209~211.


피화당에서 박씨가 초월적 능력을 발휘함으로서 점차 자신의 위치를 격상시켜간다. 피화당에서 박씨는 남성 중심의 세계를 뛰어넘어 여성 영웅으로서 거듭나게 되는데 여기에서 박씨 자신을 감추어 거처케 하는 고립되고 닫힌 공간이었던 피화당은 반전의 배경이 되는 곳으로 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초반의 피화당은 추한 외모의 박씨가 택한 피난처의 역할을 했다. 억압되고 고립된 외로운 공간을 통해 전통적으로 억압되어졌던 여성의 타자성을 대표하는 곳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남성 중심적 사고를 극복하고자 했던 전환적인 욕구가 표출된 곳 또한 “피화당”이라고 할 수 있다. 박씨 부인이 초월적 능력을 계속적으로 발휘하는 곳이고, 이를 통해 여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 영웅화함으로서 당시 여성의 심리를 대변한 것이다. 현실에서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박씨 부인의 환상은 현실에서 억압된 능력 있는 여성상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박씨 부인에게 피화당은 남편의 천대를 피하는 공간이었고 남성 중심의 세계를 벗어난 공간인 동시에 이 세계관을 극복하고자 했던 곳이다. 이에 박씨 부인은 피화당을 극복해 냈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김기현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15 』, 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소, 1993.
백석 시선, 백시나 엮음,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흰 바람벽이 있어」, 다산초당, 2005.
이문열, 『아가』, 민음사, 2000.
이어령, 『공간의 기호학』, 민음사, 2000.
이재선, 『한국문학 주제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9.
이진경. 『근대적 시ㆍ공간의 탄생』, 푸른숲, 1997.
한글소설학회편, 『공간의 시학』, 예림기획, 2002.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곽광수 역,『空間공간의 詩學시학』, 민음사, 1989.

김광기, 「소설 속의 전통과 현대: 이문열의 『아가(雅歌)』에 묘사된 근대성에 대한 사회학적 소고」, 한국사회이론학회, 2004.
심민호, 「에 나타난 환상성과 그 의의」, 우리말글학회, 2004,
황숙영,「집의 공간적 의미에 관한 一 考察」, 중앙어문학회 어문론집,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