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

 1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
 2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2
 3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3
 4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4
 5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5
 6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6
 7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7
 8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8
 9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9
 10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0
 11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1
 12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2
 13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3
 14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4
 15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5
 16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6
 17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7
 18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8
 19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19
 20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최서해-홍염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해의 전기적 고찰
1) 1920년대의 시대적 상황, 문단상황
2) 서해의 생애
3) 서해에 대한 평

2. 작품 분석
1) 『홍염』의 전반적 이해
① 줄거리
② 등장인물
③ 시점
④ 문체

2)『홍염』에 나타난 ‘간도’ 체험의 형상화
① 배경묘사
② 이방인으로서의 생활
③ 딸을 보지 못하고 죽는 어머니
④ 토혈(吐血)

3) 서해의 다른 작품들과의 관계성
① 배경이 간도인 작품들
② 식민지하 우리민족의 빈궁상황
③ 결말처리방식


Ⅲ. 결론
1.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2. 연구 방법 한계 - 역사 전기 비평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작품 분석

1)『홍염』의 전반적 이해

① 줄거리

백두산 서북편 서간도 한귀퉁이에 있는 가난한 촌락 '빼허(白河)'에 겨울이 찾아들며, 남부여대하고 찾아들어 사는 조선인들의 귀틀집 다섯 채가 흩어져 있다. 몹시 추운 날 아침 문서방이 집을 나서려 하자 한 관청이 찾아와서 그들은 되놈이기 때문에 일절 욕을 하지 말라고 하며, 문서방은 분개하면서 출발한다. 언덕길을 올라 강가에 이르자 중국 파리꾼들이 문서방을 보고 욕을 하지만, 문서방은 허둥지둥 빙판을 건너서 사위 인가가 사는 달리소라는 땅에 올라선다. 죽어가는 아내가 용례를 데려다 달라고 애원하던 것을 생각한다.

문서방은 경기도에서 소작인 생활 10년에 겨죽만 먹다가 이곳에 와서도 흉년으로 소작료를 갚지 못해서 매까지 맞은 일을 생각하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 가을볕이 쨍쨍한 마당에서 깨를 떨던 아내는 인가가 오는 것을 보고 근심하며, 인가는 올해는 빚을 갚으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른다. 인가가 억센 손으로 문서방을 때리자 아내는 인가의 팔에 매달리며 살려달라고 애원하며, 인가는 그녀가 오늘부터 자기 아내라고 데려가겠다고 끌고 간다. 방안에서 바느질을 하고 있던 용례가 달려가서 어머니의 팔을 잡은 인가의 손을 물어뜯는다. 용례를 본 인가는 문서방의 아내 대신 용례를 붙들고 데려간다.

용례가 인가의 손에 들어가고 며칠 후 문서방은 땅날갈이나 받고 지금의 빼허로 이주하며, 이후 이가는 절대로 용례를 문서방 내외에게도 보여주지 않는다. 문서방이 인가의 집 대문에 들어서가 개 무리가 덤벼들어 그를 에워싸며, 일꾼이 나타나 개들을 쫓아 버리고 그를 수수깡이 지저분하게 널린 방으로 안내를 한다. 인가는 웬일인지 서투른 대로 곧 잘하던 조선말을 하지 않고, 알아듣지도 못하는 중국말을 하면서 담뱃대를 문서방 앞에 내밀며, 문서방은 다시 딸아이를 보게 해 달라고 사정을 하게 된다. 인가는 끝내 백조짜리 석장을 주고 그냥 가라고 한다. 집에 돌아오니, 부뚜막에는 문서방의 아내가 누덕이불에 싸여 누웠고, 그 옆에는 이웃사람들이 모여 있으며, 지금 막 달리소의 인가네서 돌아온 문서방은 아내의 손을 잡는다. 아내는 용례를 부르다가 오장육부가 쏟아지게 소리를 지른 뒤, 검붉은 핏덩이를 왈칵 쏟으면서 쓰러지며, 한 관청이 귀신을 쫓는 경문을 서투르게 읽어 내려간다. 손발이 식어가고 낯빛이 파랗게 질려가던 아내는 무엇을 노려보면서 죽으며, 문서방의 울음소리는 고요한 방안의 불빛 속에 바람소리와 함께 처량하게 흐른다.

문서방의 아내가 죽은 이튿날 밤에도 바람이 몹시 불며 우렁찬 바람에 휘날리는 눈발 속에 달리소 언덕으로 올라가는 그림자는 인가네집 울타리 뒤로 돌아간다. 개 짖는 소리에 인가의 집에서는 마적이나 들어오는가 해서 헛총질을 하며, 그림자가 휙 돌아서서 고기를 던지자 개들은 서로 물어뜯고 빼앗기에 정신이 없다. 보리 짚더미에 불을 붙이자 불은 울타리를 타고 집으로 옮겨 붙으며 인가가 도망치는 것을 발견한 문서방은 인가를 도끼로 찍어 죽
참고문헌
* 참고 문헌

1) 곽 근. 「서해 최학송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1976.
2) 곽 근. 『최서해 작품,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3) 김동인. 「춘원연구」. 춘조사. 1959. 11.
4)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김춘매. 「최서해 문학에서의 체험의 형상화」. 성균어문연구 40.
6) 백 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68. 12.
7) 백 철. 「한 발 앞선 고독의 의미」. 문학사상 26. 1974. 11.
8) 서순석. 「최서해 단편소설에 나타난 현실인식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9.
9) 신춘호. 『최서해』( 문학의 이해와 감상3),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10)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2007.
11) 이남훈. 「소설에 나타난 간도의 의미 - 최서해, 강경애, 안수길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세대. 1985.
12) 이호석. 「일제강점기 만주 한국문학 연구 - 만주배경소설에 나타난 이주민의 현실 대 응 양상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3.
13) 임 화. 「조선신문학사론서설」. 「조선중앙일보」. 1935.11.12
14) 전명희. 「최서해 소설연구-작품세계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영남대 석사논문. 1983.
15) 최선희.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불의 상징적 의미 - 192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논문. 1998.
16) 허판호. 「최학송 소설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