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

 1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
 2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2
 3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3
 4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4
 5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5
 6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6
 7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7
 8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8
 9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9
 10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0
 11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1
 12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2
 13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3
 14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4
 15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5
 16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6
 17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7
 18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8
 19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19
 20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제학] 조직범죄의 경제학 - 계약관계를 통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이론적 고찰
3.1. 범죄행위의 계약
3.1.1. 논의의 줄거리
3.1.2. 2인 범죄행위 모형
3.1.3. 2인 범죄행위 게임의 균형
3.1.4. 보스의 등장과 조직의 형성
3.2. 범죄조직의 구조
3.2.1. 범죄조직의 소유권의 문제
3.2.2. 모니터링 문제
3.3.3. 최고 보스와 지역 보스 간의 상호 견제
4. 실증분석
4.1. 분석자료 및 과정
4.2. 자료특성 파악 및 정상화
4.3. 개입 전 계절형 ARIMA모형 적합
4.3.1. ACF와 PACF를 통한 모형의 식별
4.3.2. 모형의 추정 및 적합
4.3.3. 모형의 진단 및 결정
4.4. 개입 후 계절형 ARIMA 모형 적합
4.4.1. 개입요소 설정
4.4.2. 개입모형 추정 및 적합
4.4.3. 개입모형의 진단 및 최종모형 결정
4.5. 개입효과의 해석
5. 사례분석
5.1. 이탈리아 범죄조직의 사례
5.2. 중국계 국제범죄조직 삼합회
5.2.1. 하부 조직의 소유권
5.2.2. 지역보스 연합의 견제
5.2.3. 계약 관계
6. 결론

# Reference
본문내용
3. 이론적 고찰

3.1. 범죄행위의 계약

3.1.1. 논의의 줄거리

기본이 되는 설정은 두 사람이 함께 어떠한 범죄행위를 행한다는 것이다. 먼저 두 사람이 모여서 같이 범죄행위를 통한 수확을 나누어 갖기로 협상하고(이를 범죄계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각자가 맡은 바에 대한 노력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범죄의 결과물이 어떠한 확률변수로서 나올 것이다. 허나, 이 결과물을 분배하는 데에 있어 처음의 협상은 무의미해진다. 왜냐하면 범죄행위에서의 협상은 다른 계약과는 다르게 사법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사 서로의 노력의 투입이라는 것이 관측가능하고, 협상 가능한 변수라고 하여도 초기의 협상대로 배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재협상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이때 재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일회적 게임이라 한다면 핵심적인 요소는 상대가 돈을 탈취하거나 몰래 가지고 튈 수 있는 ‘힘’의 정도일 것이다. 즉, 협상이 깨지고 서로가 뺏고 뺏기는 약탈분쟁에 들어섰을 때, 상대를 이길 수 있는 힘의 차이가 반영이 될 것이고, 이것에 따라 재협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 재협상조차도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이 협상을 파기하였을 때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게 되므로 범죄 행위 참여자들은 상대를 배신하여 상대가 배분 받은 재화까지도 차지하려는 유인을 가지게 된다. 상대가 배신하리라는 것을 아는 이상, 자신도 배신을 하여 약탈분쟁에 들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고, 이는 전형적인 죄수의 딜레마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가정은 “두 사람의 약탈분쟁을 통해 승자가 결정된다 하더라도 그 승자가 패자의 범죄수확물(이 공동범죄 행위에 의한)만을 모두 가져갈 뿐, 패자에게서 그 이상의 다른 재화를 뺏거나 별도의 손해를 입히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현실에서는 여러 가지 범죄의 유형별로 계약의 유형이나 평판효과, 보복행위 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겠지만, 여기에서는 일회적 게임이고, 살인이나 상해를 통해 자신의 죄를 더 키워 리스크를 굳이 올리기보다는 이 시점에서 빼돌릴 수 있는 유일한 결과물인 범죄행위의 수확만을 전리품으로 취한다는 것이다. 즉, 두 사람 모두가 협상을 위반하여 힘 대결(약탈분쟁)에 들어갔을 경우, 그 대결의 승자는 범죄의 모든 수확을 가져갈 뿐이고, 패자는 범죄의 수확 중 자신의 몫만을 뺏길 뿐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힘 대결의 결과를 가정하고 나면 앞서 명확한 정의 없이 언급된 ‘힘’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정의. 약탈분쟁 시 그 분쟁을 이기는 것에 도움이 되는 모든 능력의 크기의 총합을 ‘힘(power)’이라 한다.
즉, 약탈분쟁 시 어떤 사람이 그 분쟁에서 승리할 확률은 상대방과 자신의 ‘힘’의 크기에 따른다. 이 힘은 약탈분쟁에 도움이 되는 모든 능력들을 포함한 추상적인 변수이다. 물리적인 전투능력 , 상대방이 모르게 속임수를 통해 물건을 빼돌리는 능력, 돈을 가지고 잠적하는 능력, 그 잠적한 상대를 찾아내는 능력, 상대방의 통장이나 금고를 터는 능력 등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아무리 종합적인 능력이 뛰어나도 약탈분쟁을 반드시 승리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힘은 약탈분쟁 시의 승리확률을 높여준다’는 것이 ‘힘이 더 큰 사람이 무조건 이긴다’는 것보다 직관적으로 타당한 설명이다.
결론적으로 두 사람은 얌전히 재협상 결과를 따르고 안정적인 수익을 얻게 되는 상황이 아니라 불확실성이 큰 힘 대결을 통해 불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상황을 맞게 되고, 이는 재협상의 결과가 지켜지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두 사람의 후생손실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힘 대결로 갈 것이라는 것을 아는 두 사람은 범죄 노력의 투입 단계에서부터 최적의 투입보다 적은 노력을 투입하게 될 것이고 이는 이차적인 후생 손실을 낳는다. 이제부터 구체적인 모형을 통하여 위의 내용을 살펴보겠다.

3.1.2. 2인 범죄행위 모형

P_1과 P_2의 두 플레이어가 있다고 하자. 이들은 각각 보수π_1, π_2에 대한 위험기피적 효용함수인 U_i^'>0,〖 U〗_i^''
참고문헌
Alchian, A., and H. Demsetz, "Production, Information Costs, and Economic Organiz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1972.
Anderson, R., "From Mafia to Cosa Nostra,"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71, No. 3, 1965.
Atkins, R. and P. Rubin, "Effects of Criminal Procedure on Crime Rates: Mapping out the Consequences of the Exclusionary Rule,"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Vol. 46, No. 1, 2003.
Becker, G., "Crime and Punishment: An economic approac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968.
Chiu, H. and P. Madden, "Crime, punishment, and background risk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Vol. 62, 2007.
Fiorentini, G. and Peltzman, S., Economics of Organised Cr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Firestone, Thomas A., "Mafia Memoirs: What They Tell Us About Organized Crime", Journal of Contemporary Justice, 1993
Ianni, F., Black Mafia, Pocket, 1975
Levitt, S. and Venekates, S. A., "An Economic Analysis of a Drug-Selling Gang's Finance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2000.
Mesquita, E. B. and Hafer, C. "Contracting without Commitment: Economic Transactions in the Political Economy of States and Mafias," Kellog Seminar Series, 2000.
Milgrom, P., and J. Roberts, Economic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1992.
Serao, E., "The Truth about the Cmorra", Outlook 98, 28 July 1911
Schelling, T., The Strategy of Conflict,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Walklate, S., "Crime and Community: Fear or Trust?,"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 49, No. 4, 1998.
Varese, F., "How Mafias Migrate: The Case of the 'Ndrangheta in Northern Italy," Law & Society Review, Vol. 40, No. 2, 2006.
김대용, “초국가적 범죄조직인 삼합회에 대한 연구 :홍콩 삼합회를 중심으로”, 한성대 국제대학원, 2006
조신섭. “SAS/ETS를 이용한 시계열분석 third edition”, 율곡출판사, 서울.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