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

 1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
 2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2
 3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3
 4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4
 5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5
 6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6
 7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7
 8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8
 9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9
 10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0
 11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1
 12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2
 13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3
 14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4
 15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5
 16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6
 17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7
 18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8
 19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19
 20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해외투자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인도네시아 정책 분석 및 `미원`진출 사례 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인도네시아의 개황
1. 국가개요
2. 경제동향
(1)경제성장률
(2)소비자물가상승률
(3)환율
3. 정치/사회 동향
(1)정치동향
(2)사회동향
4. 외국인 투자현황

Ⅱ우리나라의 투자현황
1. 한-인니 교역관계(주요 수/출입 품목)
2. 교역규모
3. 투자관계
4. 대 인도네시아 업종 별 투자현황
5. 인도네시아 성공적인 TIP

Ⅲ인도네시아의 정책
1. 외국인 투자법 주요내용
2. 인센티브
(1)세제상의 인센티브
(2)지역별 인센티브
(3)산업별 인센티브
3. 진출 형태 별 절차
(1) 외국인 투자진출 형태
1)외국인 투자의 보호
2) 외국인 투자형태
(2) 지사 개설
1)외국인 주재원사무소
(Representative Office)
2)주재원 사무소 개설 수속절차,
필요서류, 기간
(3) 현지 법인
1)투자법인 형태
2)설립수속 및 해당관청
3)외국인 투자 승인 절차
4. 규제 및 장벽
(1)환경관련규제
(2)투자장벽
1)외국인 투자제한 분야
2)외국인 투자규제
3)외국인 고용제한 및
현지인 교육훈련 의무
4)수출의무비율
5)현지부품 사용의무 비율
6)부동상 취득 및 사용제한
7)금융
8)세제

Ⅳ사례
1. 미원의 진출배경
2. 미원의 투자과정
3. 현지전략
4. 성공요인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4. 대한 수입 규제 현황(반덤핑 피소 추이)
인도네시아는 1996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상품에 대한 13건의 반덤핑제소가 있었으며, 2009년 8월까지 제소 중인 건은 없다. 이 중 Tin Plate, Carbon Black, 비코팅 인쇄용지 등 3건은 덤빙 판정이 났으며, 3건은 무혐의 판정, 7건은 기각되었다.


5. 한-인도네시아 관계
1) 외교관계
- 1949년 12월: 아국, 인도네시아 승인
- 1966년 8월:영사관계 수립
- 1966년 12월: 주자카르타 총영사관 개설
- 1973년 9월: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2) 정상간 교류
- 1981년 6월: 전두환 대통령 인도네시아 방문
- 1082년 10월: 수하르토 대통령 방한
- 1988년 11월: 노태우 대통령 인도네시아 방문
- 1992년 9월: “노태우, 수하르토 대통령 정상회담(뉴욕)
- 1994년 11월: 김영삼 대통령 국빈방문 및 제 2차 APEC 정상회의 참석(보고르)
- 1999년 11월: 김대중, 와히드 대통령 정상회담(마닐라, ASEAN+3 정상회담)
- 2000년 2월: 와히드 대통령 국빈방한
- 2000년 11월: 김대중 대통령 인도네시아 방문
- 2002년 3월: 메가와티 대통령 국빈방한(남북한 동시방문)
- 2003년 10월:노무현 대통령 ASEAN+3 정상회의 참석(발리)
-2004년 11월: 노무현, 유도요노 대통령 정상회담(자카르타, 지진, 해일 피해 관련 ASEAN 긴급 정상회의)
- 2005년 11월: 유도요노 대통령 부산 APEC정상회담 참석
- 2006년 3월: 김원기 국회의장 인도네시아 방문
- 2006년 12월: 노무현 대통령 국빈 방문
- 2007년 7월: 유도요노 대통령 국빈 방한
- 2009년 3월: 이명박 대통령 국빈 방문
- 2009년 6월: 유도요노 대통령 제주 한-아세안 정상회담 참석


3) 대 남•북한 입장
■ 정책 기조
- 비동맹, 중립 기조 하에 표면적으로는 남북한 등거리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우리와의 쌍무관계 증진이 인도네시아 국익은 물론 ASEAN 발전에도 도움이 되 는 것으로 인식

■ 대 한국 관계
- 수카르노 초대 대통령의 사회주의 성향으로 북한에 비해 약 10년 늦은 1973 년에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 이후 양국 정상간 교환 방문을 통해 긴밀한 협 력관계를 유지해 옴.

- 유도요노 대통령 취임(2004)이후 APEC, ASENA+3 등을 계기로 우리와 잇 달아 정상회담을 갖고 정치•경제 등 제분야 협력 확대를 적극 모색

- 2006년 12월 노무현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계기로 한-인도네시아간 미래의 발전 적 관계를 위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키로 합의

- 2009년 3월 이명박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방문 시 양 국간 에너지, 자원, 산립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발전시켜 나가리로 합의

- 2009년 6월 한-아세안 정상회담시 양국 정상은 양 국간 실질협력이 정보,통 신, 청정에너지 개발 등 신성장 동력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양 국간 긴밀한 경제협력을 통해 공동 번영을 이루어 나아가기로 합의

■ 대 북한 관계
- 수교(1964) 이래 수카르노 초대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 간 교환 방문을 통한 개인적 친분과 비동맹회원국으로서의 연대감을 토대로 우호관계를 유지

- 수하르토 대통령이 공산당 주도의 쿠데타(1965)를 무력 진압, 집권한 이후 철 저한 반공 정책을 표방함으로서 관계가 소원화

- 그 후 메가와티 대통령이 부친(수카르노 전대통령)과 북한의 친분을 감안, 북한 을 공식 방문하고(2002), 퇴임 후에도 방북(2004)함으로써 양국 협력 관계가 정상화됨.

- 유도요노 정부 들어서는 경제, 무역, 문화 등 전 반 분야에서 북한과의 관계강 화를 희망하고 대북 특사(2006), 파견 등 실질 협력을 모색

4) 이민 역사
- 1940년대 초: 일본징용 및 종군위안부
- 1960~1970년대: 상사주재원 및 기업인
- 1980~1990년대: 노동 집약 산업을 비롯한 현지 생산기지 진출
- 2000년대: 자본 및 기술 집약적인 산업, 금융기관, 자원개발 등 진출 분야 다 양화

5) 한류 현황
-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 축구를 좋아하는 인도네시아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급상승하였으며, SCTV의 `겨울연가`방영을 계기로 한류스타 패션과 드라마 주제곡이 유행

- 2005년 인도네시아 채널을 통해 방영된 `대장금`이 대히트를 기록하여 우리 문화와 음식에 대한 인식이 업그레이드 됨.

-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을 좋아하는 인도네시아인들의 결성한 팬클럽이 2005 년에 발족한데 이어, `반둥 한사모(2006)`, `인-한 친선협회(2007)도 발족하 는 등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

6) 주요 협정체결
- 1971년: 경제 및 기술협력과 통상증진에 관한 협정
- 1981년: 건설협력 양해각서
- 1987년: 임업협정
- 1989년 9월: 항공협정
- 1989년 11월: 이중과세방지협정
- 1991년 2월: 토자보장협정
- 1996년 12월: 법무자료교환협정
참고문헌
Ⅴ참고문헌

1. 서적
한국기업과 신흥해외시장(이장로,신만수 [공저] 2000 무역경영사)
국제경영 사례(고려대학교, 1995)
다국적 기업론(김권수 지음,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9)
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영사례(장세진, 박영사. [공저] 1999)
국내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사례(서종대, 여수대학교, 논문 2002)
大象(주)의 인도네시아 진출사례(미원 공개 자료)
미원 인도네시아 직접투자 사례(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1996)

2. 사이트
한국 무역협회 - http://www.kita.net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http://www.kotra.or.kr
대한상공회의소 - http://www.korcham.net
무역위원회 - http://www.kcab.or.kr
관세청 - http://www.customs.go.kr
한국수출보험공사 - http://www.keic.or.kr
한국무역정보통신 - http://www.ktnet.co.kr
삼성경제연구소 - http://www.seri.org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http://www.kiep.go.kr
인도네시아대사관 - http://www.mofat.go.kr
대상 – http://www.daesang.co.kr
네이버 – www.naver.com
구글 – www.goog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