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

 1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
 2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2
 3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3
 4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4
 5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5
 6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6
 7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7
 8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8
 9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9
 10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0
 11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1
 12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2
 13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3
 14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4
 15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5
 16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6
 17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7
 18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8
 19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19
 20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용어정의
1) 스트레스(stress)
(1)이론적 정의
(2)조작적 정의
2)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 PMS)
(1)이론적 정의
(2)조작적 정의
3) 월경통
(1)이론적 정의
(2)조작적 정의
Ⅱ. 문헌고찰
1. 스트레스
2. 월경전증후군
3. 월경통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도구
1) 스트레스 척도
2) 월경전 증후군
3) 월경통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5. 분석 방법
6.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스트레스 정도
3.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 정도
4.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과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본문내용
2.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정도는 48문항 4점 척도로 하여 최소48점에 최대 139점, 평균 86.09이였으며, 평점평균은 1.79점이었다.
스트레스 정도는 7개요인(대인관계, 가정관계, 장래문제, 자신감, 학업문제, 학교생활, 교사관련)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장래문제(2.12 ± .56)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학업문제, 학교생활, 자신감, 대인관계, 가정관계, 교사관련 순이었다.

하위요인별 스트레스 정도 (N=222)

요인
문항수
평균 ± 표준편차
평점평균 ± 표준편차
장래문제
6
12.73 ± 3.40
2.12 ± .56
학업문제
7
13.67 ± 3.26
1.95 ± .46
학교생활
4
7.69 ± 2.44
1.92 ± .62
자신감
7
12.37 ± 3.00
1.77 ± .42
대인관계
8
13.94 ± 3.82
1.74 ± .47
가정관계
11
17.88 ± 3.96
1.62 ± .36
교사관련
5
7.80 ± 2.29
1.56 ± .45
스트레스 총점
48
86.09 ± 14.93
1.79 ± .31

3.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 정도

월경전증후군은 47문항 5점 척도로 하여 최소 47점에 최대 197점, 평균 86.82점이였고, 평점평균 1.84점이었다.
월경전증후군은 7개 하위요인(행위변화, 부정적 정서, 통증, 집중력, 수분정체, 자율신경계 반응, 위장계 변화)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통증점수(2.08 ± .84)가 가장 높았으며, 수분정체, 부정적 정서, 행위변화, 집중력, 위장계 변화, 자율신경계반응점수 순이었다. 월경통의 정도는 10cm 수평선상에서 평균 5.75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월경전증후군 정도 (N=222)

요인
문항수
평균 ± 표준편차
평점평균 ± 표준편차
통증
7
14.58 ± 5.93
2.08 ± .84
수분정체
6
11.97 ± 5.00
1.99 ± .83
부정적 정서
9
17.83 ± 7.83
1.98 ± .87
행위변화
9
17.19 ± 6.26
1.91 ± .69
집중력
8
13.36 ± 5.53
1.67 ± .69
위장계 변화
2
3.22 ± 1.62
1.61 ± .81
자율신경계 반응
6
8.65 ± 3.98
1.44 ± .66
월경전증후군 총점
47
86.82 ± 29.92
1.84 ± .63


참고문헌
참고문헌

권혜연, 이인선 (2000). 설문조사에 의한 고 1 여학생의 월경에 관한 조사분석. 동의한의학 연구, 4, 149-160.
김민자 (2004). 자가발반사요법이 여고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생 리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동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김소야자 (1990). 청소년의 성장발 달과 간호. 서울: 수문사.
김양숙 (2004). 여고생의 스트레스 와 학교생활그림(KSD)반응 특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대구.
김진 (2005). 일부 고등학교 여학생 의 월경전증후군 유병률과 관련 요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 원 보건학과 석사학위논문, 광 주.
김진숙 (1998). 월경전기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신경증적 성격특성 및 스트레스의 관 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서울.
김지웅, 이정현, 김덕만, 이만홍 (2002). 인지적 양식 및 스트 레스 지각과 월경전기증상과 의 관계. 연세대학교 의과대 학정신과학교실,41(6), 1099-1108.
김형옥, 임세원, 우희연, 김계현 (2008). 임상연구 : 한국 청 소년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 경통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 인과학회지, 51(11),
1322-1329.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산부인과 학, 350-352.
문창경 (2003). 수지침 요법이 생리 통 자각증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창원.
박경은, 이성은 (2001).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과 월경에 대 한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 건강간호학회지, 7(3), 359-372.
박금례 (1998). 일부 여고생의 스트 레스와 월경증상호소에 관한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 학원 보건학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서병희, 이재현 (1990). 여성생리와 생리통. 서울 : 도서출판 칼빈 서적.
소기윤, 조숙행, 김정웅, 이현수, 고 승덕 (2002). 월경전기증후군 을 보이는 젊은 여성에서의 Minor Stress에 대한 취약 성. 신경정신의학,
41(6), 1109-1119.
송정희 (2002). 밸런스테이핑이 월 경통에 미치는 효과. 중앙간 호논문집, 6(1), 13-21.
이숙희, 김금재 (1989). 월경양상과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조 사연구.전북의대논문집, 13(2), 181-191.
이영숙 (1997). 신세대를 위한 성 건강 가이던스. 서울 : 학문 사.
전은숙, 하영숙, 김기태, 김현찬 (1989). 여고생의 월경전증후 군의 양상. 대한산부인과학 회지, 32(3), 297-308.
정향미, 김이순 (2004). 청소년의 월경곤란증의 영향요인. 아동 간호학회지, 10(2), 196-204.
정현숙 (1995). 사춘기 여성들의 월 경 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서울.
조수현 (1988). 심포지움 : 청년기 여학생의 월경장애. 대한산부 인과과학회, 62, 27-28.
조영진 (2006). 여고생의 월경양상 과 병기산출빈도에 관한 조사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한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부산.
최교훈 (2007). 걱정, 스트레스 및 우울이 월경전기 변화에 미치 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최성희, 김현옥 (2001). 구조화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여중생 의 월경곤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한국학교보건학회지, 14(1), 145-160.
최유덕 (1993). 새임상 부인과학. 서울 : 서문사.
하영수 (1991). 모성 및 부인과 간 호학. 서울 : 신광출판사.
한상철 (1998). 청소년학 개론, 서 울: 중앙 적성 출판부.
최연순, 장춘자, 최양자, 조희숙 (1999).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수문사.
현태영, 고경봉 (1996). 한국 여자 고등학생들의 월경전기 증상.
대한신경학회지,35(5), 1065-1073.
홍선심 (2004). 중, 고등학교 여학 생의 월경 특성과 월경곤란증 에 관한 연구. 한국 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서울.
Bonnie, L. B. (1999). Calcium for PMS, Nutrition Action Health Letter, 26, 10-21.
Cintio, E. D. (1990).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dysmenorrhea:A randomized crossover comparison with placebo TENS and Ibuprofen. Obstet & Gynecol, 75, 656-660.
Chihal (1990). Premenstrual syndrome: an update for the clinician. Obstet Gynecol Clin North Am, 17(2), 457-479.
DeLongis (1983). Psychological stress and coping in aging. Am Psychol, 38(3), 245-254.
Deuster PA, Adera T, South-Paul (1999). Bi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Arch Fam Med, 8(2), 122-128.
Friedman, Jaff (1985). Influence of life-style on the premenstrual syndrom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J reprod Med, 30(10), 715-9.
Gannon, Luchetta, Pardie, Rhodes (1989). Perimenstrual symptoms: relationships with chronic stress and selected lifestyle variables. Behavioral Medicine, 15(4), 149-159.
Goldstein, D. S. (1995). Stress, Catecholamin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Gould, D. (1994). Facing the pain of dysmenorrhea Nursing stand, 8(2), 25-28.
Hamilton, J. A., Parry, B. L. Alangna, S., Blumenthal, S., Herz, E. (1984). A guide to evaluation and treatment, Psychiat annals.
14, 426-435.
Ismail, K. M. K., O' Brein, P. M. S. (2001). Premenstrual syndrome. Current Obstetrics & Gynaecology, 2, 251-255.
John, M. S., Kenna, C. R., Marian, P. T. (1997). Menstrual and premenstrual experiences of women in a developing country.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