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

 1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1
 2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2
 3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3
 4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4
 5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5
 6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6
 7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7
 8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8
 9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9
 10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1. 영천 청제비란 무엇인가
1) 청제비의 발견과정 및 건립 배경
2) 청제비의 형태와 특징

본론
2. 영천 청제비의 병진명과 정원명
1) 병진명과 정원명의 의미 (사전적 의미)
2) 병진명 분석
3) 정원명 분석
4) 병진명과 정원명이 나뉘어진 이유 및 차이점
- 나뉘어진 이유
- 외적인 차이 (서체, 시대, 상태)
- 내적인 차이 (통계수치, 목적)
- 종합적인 가치의 평가
5) 청제 중립비
- 건립 과정 및 내용

맺음말
4. 영천 청제비의 현대적 의미
1) 청제비의 고고학적 가치
2) 청제비의 현재 관리 상태와 문제점

5. 생각과 느낀 점


본문내용
3) 정원명 분석

청제비 병진명 비문의 반대편에는 정원명의 비문이 있는데 병진명의 비문과는 달리 상태가 아주 양호하여 글자를 거의 다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한 두 글자의 판독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내용에서도 재검토의 여지가 남아있다. 이 비문은 12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행은 4∼12글자이고 글자간의 간격은 4∼6cm이며 130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1행부터 2행의 3번째 글자까지는 비의 서문에 해당하는 것이다. 먼저 판독된 정원십사년명의 명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貞元十四年戊寅四月十三日菁堤
治記之 ②謂洑堤傷故所內使
以見令賜所矣 ③玖長卅五步岸
立弘至深六步三尺 上排堀里
十二步 ④此始爲二月十二日元四月十三
日此間中了治內之 ⑤都合斧尺
百卅六法契一万四千百卅人
此中典大ホ角助役切火押梁二
郡各□人 ホ起使內之
⑥節所內使上干年朶
史湏大舍
架□湏架玉純朶

정원명의 내용은 위에서 번호를 표시한 바와 같이 크게 6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①은 본 비명의 표제라고도 할 부분으로, 刻銘(각명)의 年月日(년월일)을 적은 것이다. 貞元十四年戊寅(정원14년무인)은 곧 元聖王(원성왕) 14년인데 絶對年代(절대연대)를 안다는 것은 이 碑銘(비명)의 사료적 가치를 크게 높여주는 것이다. 4월 13일은 수치가 완료된 일자이다.
②는 청제를 수치하게 된 배경을 적은 것이다. “洑提(보제)가 傷(상)했다고 하는謂(위) 故로 所內使(소내사)로 하여금(以) 보게(見) 하셨다.”로 해석된다.
③은 수치공사의 규모이다.
④는 수치기간이 2월 12일에서 4월 13일까지였음을 기록한 부분이다.
⑤는 이 공사에 투입된 인원과 인원구성 내역을 밝히고 있다. 斧尺(부척) 136인 또는 法功夫(법공부) 14,140인 중에는 切火․押梁(절화․압량)의 2郡(군)에서 동원된 각□인의 조역이 포함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⑥은 공사 관련 책임자를 기록한 부분이다.

4) 병진명과 정원명이 나눠진 이유 및 차이점
참고문헌
※ 참고문헌
한국문화유산답사회,『팔공산자락』. 돌베개, 1997.
하일식, 청제비 정원명의 力役운영 사례 분석:東方學志』,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1997
이우태,『영천청제비를 통해 본 청제의 축조와 수치:사학논총』, 변태섭박사 화갑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1985.
매일신문 2004-11-25

인터넷자료 : 문화유산답사회 우리얼
http://www.tourkorea.or.kr
http://blog.empas.com/noshok/14213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