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

 1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
 2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2
 3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3
 4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4
 5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5
 6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6
 7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7
 8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8
 9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9
 10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0
 11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1
 12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2
 13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3
 14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4
 15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5
 16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6
 17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7
 18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8
 19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19
 20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축산환경과 항생제 내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항생제의 등장과 사용

Ⅱ. 내성균 피해 사례

Ⅲ. 동물 항생제 사용의 원인


1. 성장 촉진 및 사료효율 개선 효과

2.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

3. 생산 비용 절감

4. 항생제 사용 기준에 대한 인식 부재

Ⅳ. 우리나라의 동물 항생제 사용 실태


1. 항생제 사용 국제 비교

2. 주요 사용 항생제

3. 항생제 사용 실태

(1) 자가 치료용 항생제 사용실태

(2) 배합사료제조용 항생제 사용현황 및 위법실태

4. 현재 관련 규제


(1) 관련 법규 및 제도

1)식육중잔류물질검사요령

①잔류물질검사방법

②잔류물질검사 체계에 대한 조사

③잔류물질검사요령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수의사법

3)약사법

(2)관련규제

Ⅴ. 동물 항생제 남용의 문제점


1. 항생제 남용의 문제점


(1) 내성획득


①박테리아가 쉽게 항생제 내성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②항생제 내성의 기전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③박테리아간의 내성유전자는 어떻게 전달될 수 있나?

④내성은 같은 종류의 박테리아 사이에만 전달되는가, 아니면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간에도 전달되는가.?

⑤이런 내성균들이 어떻게 우리 몸에 병리적인 기전을 일으키는 것인가?

⑥실제로 세균중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내성균은 무엇이 있는가?

(2)항생제 내성률 실태

2. 항생제에 내성균에 의한 환경오염

(1)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식품의 오염 실태

(2)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축사 주변 환경의 오염 실태

(3)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하천수의 오염 실태

3.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피해 사례

(1) DT 104에 의한 덴마크의 피해 사례

(2) 우리나라의 피해사례

Ⅶ. 동물항생제 문제 해결방안             

1. 제도적 장치 마련        

      
(1) 수의사법 개정을 통한 치료에 의한 항생제 사용 규제 방안

(2) 배합사료의 항생제 첨가 금지 규제방안

(3) 제도적 지원

1) 정책시행에 따른 비용문제

가. 축산농가/동물약품생산업체 등 감시비용 및 행정비용

ㄱ. 수의사 처방전 발급 비용과 이에 대한 감시 비용

나. 수의사 처방제도에 따른 축산농가의 생산비용의 증가

ㄱ. 항생제 처방을 받을 때 마다 수의사에게 지불해야하는 비용

ㄴ. 수의사 처방의 시간지연에 따른 가축 사망 및 질환 악화로 농가에게 부담되는 비용

다. 항생제 구입의 비용증가 가능성

라. 축산업자에 대한 교육, 홍보비용의 증가

마. 이익단체간 갈등비용

바. 총 예상되는 비용

2) 새로운 수익 돌파구 모색

가. 새로운 패러다임 마련

ㄱ. 수요와 공급 모두 고려한 정책

ㄴ.중장기적이고 연차적이고 단계적인 추진일정 제시 및 맞춤형 농정의 제시

나. 축산물의 브랜드화 정책 마련


2.농가의 실천방안


(1)생균제로의 대체


1)생균제란?

2)사료 사용에 따른 생균제의 효과


(가) 육성 비육돈에 대한 사료 첨가제 첨가 급여 시험

(나) 젖산균 생균제

(다) 사료 내 생균제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혈액성상 및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2)친환경농법의 예



















(3)축산 환경의 변화

3. 인식의 변화와 해결점

(1) 농⋅축산민, 국가, 업자, 소비자의 인식변화


1) 농⋅축산민의 의식 변화


① 항생제 대체 물질의 사용에 대한 제고

② 친환경, 유기축산에 대한 관심 제고

2) 정부의 인식변화와 제도 개선

3) 업체들의 자구적인 노력과 제도 개선 요구

4) 소비자의 인식 변화

(2) 농가의 경쟁력 강화

(3) 국민건강증진 측면


1) 국민건강증진의 내용

2) 국민건강증진의 효과

Ⅷ. 결 론

Ⅷ. 고찰


본문내용

(2)항생제 내성률 실태


2002년에 발표된 항생제 내성률에 관한 PROTEKT 연구는, 폐렴구균에 대한 페니실린군 내성률 및 매크로라이드군 내성률에 있어서 한국이 세계 최고율을 갖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국민의 항생제 내성률은 인근의 일본이나 홍콩보다도 더 높으며, 그리고 아시아, 북남미, 유럽을 포함한 조사 대상 20개국 어디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내성률이 낮은 호주와 비교하면 한국민은 페니실린군에서 약 16배(한국 4.4% 대 호주 69.9%),그리고 매크로라이드군에서 약 6.3배(13.6% 대 86.2%)의 내성률을 기록하고 있다. 위의 수치대로라면 페니실린 투여의 약 70%와 86%의 매크로라이드군 항생제 투여는 우리에게 건강상의 혜택을 전혀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결론이다.

정부에서는 2000년 7월 이래 의약분업 및 약제사용 적정성평가 등을 도입함으로써 항생제 사용을 적정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여건을 조성해왔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 전후로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률 변동양상을 분석한 결과,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률 변동양상을 분석한 결과 항생제 사용량은 1999년 30.8(DDD/1000명/일)에서 2002년에는 17.0(DDD/1000명/일)으로 감소하였다. 황색포도구균과 대장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도 일부 항생제에 대하여 감소하였다. 즉, 지역사회 일반인에 대한 황색포도구균의 페니실린 내성률은 2001년 93.7%에서 2002년에는 84.7%로 erythromycin은 32.7%에서 23.6%로 tetracyclin은 16.7%에서 12.2%로 감소하였다. 한편 제주지역의 비병원감염에 의한 요로감염증 환자의 E.coli 내성률은 ampicilin에 대하여 2000년 85.54%에서 2002년 65.71%로, 1세대 cephalosporin은 21.54%에서 10.68%로, sulfamethoxazole / trimethaoprim은 47.76%에서 35.24%로 감소하였다.


2. 항생제에 내성균에 의한 환경오염


항생제 성분 자체는 동물의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하 직전 휴약기간을 지키면 잔류하는 항생제의 양은 허용 기준치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항생제를 사용하면서 이미 생겨난 내성균은 문제가 된다.

식품에서 분리된 내성균의 내성률이 높은 항생제와 환자의 분변 등에서 분리한 것을 비교해 본 결과 내성률이 높은 항생제의 종류가 대부분 일치하며, 항생제에 노출 기회가 거의 없는 야채류에서 분리된 균도 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환자, 일반인, 가축, 환경 등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내성균이 전달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항생제 내성 문제는 병원에서 일어나서 사람에서 사람에게 가는 것만이 아니고 동물에서 사람으로, 사람에서 동물로 갈 수도 있다. 또한 항생제 사용 식용동물의 분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