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

 1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1
 2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2
 3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3
 4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4
 5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5
 6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6
 7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7
 8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8
 9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9
 10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론] `이다`의 구성의 문제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1. 머리말
2. ‘이다’ 론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제
2.1 서술격 조사설
2.2. 접미사설
3. 용언설
3.1 형용사 ‘이다’
4. 맺음말
본문내용
김승곤(2006)은 ‘이다’의 특성인 ‘굴곡과 때매김’에 대해 이름씨로 하여금 풀이말이 되게 하고자 하기 때문에 부득이 일어나는 점이라 하였다. 김승곤(2006), 「풀이자리토씨 “이다”에 대한 한 고찰」,『국어토씨연구』, 서광학술자료사. pp180

김승곤(2006)은 위와 같은 논리를 토씨가 풀이씨 기능을 하기 때문에 부득이 한 점으로 보는데, 풀이하는 기능은 단순한 기능으로 볼 수 없는 매우 큰 특징이다.

‘이름씨로 하여금 풀이말이 되게 하고자’ 이 말도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여기서 격(case)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서술격 조사’의 정당성 여부가 갈린다. 격조사는 체언에 붙어 문장 안에서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라고 알려져 있는데 서술격 조사는 그렇지 않게 때문이다.

수업자료에 나온 예문을 보면,

(2) 가. 철수가 학생이다.

이 문장처럼, ‘철수가’ 격이 무엇이냐의 물음에 ‘주격이다’라고 말할 수는 있지만, ‘학생이다’가 무슨 격이냐는 물음에 ‘서술격이다’와 같이 답할 수는 없다.
이 물음에서 답할 수 있는 대답은 ‘학생이다’ 전체가 서술어라 말하는 것뿐이다.
또한, ‘이다’에 시제와 존대가 가능하며, 몇몇의 경우 제약을 받지만, 이것은 ‘이다’ 이외의 조사와 매우 구별되는 특징이다.

조사의 서술격은 이미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서술어의 기능이다.
국어에서는 중요한 말은 마지막에 나오는바, 다른 품사는 그 부분을 고려하여 정한 반면, ‘이다’는 서술어가 되게 한다는 특징이 가장 중요하므로 단순하게, 조사라는 것에 부수적인 의미로 서술격이라는 용어를 첨가하여 ‘서술격 조사’라고 부른다면, 가장 큰 특징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2.2. 접사설

접사설은 여타 이론과 달리 ‘이다’를 단어로 보지 않는 입장이다. 이는 단어를 ‘최소자립 형식’이라는 엄격한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기준에 후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참고문헌



김승곤, (2006), 「풀이자리토씨 “이다”에 대한 한 고찰」,『국어토씨연구』, 서광학술자료사.
남길임, (2006), 「지정사 ‘이다’」,『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송창선, (2007), 「현대국어 '이다'의 문법적 처리 :'아니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어문학』98, 형설출판사
시정곤, (1993), 「‘이다’의 ‘-이’가 접사인 몇 가지 이유」, 『주시경 학보』 11집, 탑출판사.
시정곤, (2005), 「‘이다’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시 논의함」, 『한국어학』 28,
한국어학회.
양정석(1986), 「‘이다’의 의미와 통사」, 『연세어문학』19, 연세대학교.
양정석(1996), 「‘이다’ 구문과 재구조화」, 『한글』232, 한글학회.
엄정호 (1993), 「‘이다’의 범주 규정」, 『국어국문학』110, 국어국문학회.
이광정 (2003), 「‘-이다’연구의 사적 고찰」,『국어문법연구Ⅰ-품사』, 역락.
이윤하 (2004), 「효과적인 文法 敎育을 위하여,1 :문장 개념 鼎立에 대하여 」,
『국어교육』113, 한국어교육학회
임홍빈(2006), 「정체 밝힘의 형용사 ‘이다’문제와 연어」, 『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이』,
역락.
이준희(1996), 「‘-이다’의 형용사적 특징」, 『한국학논집』 29,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최현배(1955), 『우리말본』, 정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