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

 1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
 2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2
 3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3
 4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4
 5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5
 6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6
 7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7
 8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8
 9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9
 10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0
 11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1
 12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2
 13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3
 14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4
 15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5
 16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6
 17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7
 18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8
 19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19
 20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공정책] 의료보험 민영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 의료보험 정의 및 배경
Ⅱ. 본론
1. 의료 보험 민영화
2. 우리나라 의료보험 실태 및 현황
3. 다른나라 의료개혁의 예
4. 민영화 찬성 측면 및 민영화 반대 측면
- 사람들 인식
- 민영화 찬성 측면 및 근거
- 민영화 반대 측면 및 근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3. 다른 나라 의료 개혁의 예

가. 독일

독일은 1970년대 초반부터 보건의료비 지출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1975년에 공급자와 보험자간 보건의료 지출을 억제하려는 자발적 합의가 있었다. 이후 1976년 보험의협회와 의료보험연합회는 1부문의 지출증가를 보험료 수입 이하로 억제한다는 합의서에 서명하였고, 각 ü 각실제예산은 주별로 보험의협회와 의료보험연합회간의 계약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러한 ‘수입에 근거한 지출정책’원리는 1977년 최초의 의료비용 억제법인 의료 보험비용 억제법을 통해 국가의 공식적인 정책이 되었다. 이 법에 의해 보건의료협력회의가 시작되었고, 공급자와 보험자간 자유로운 계약의 시대는 종결되었으며, 대신 통합가치척도를 도입하여 고정예산 하에서 진료비 지불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건의료협력회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모인 사회적 합의체 형태를 띄었으나, 구성원들간 이해관계의 대립과 완화기전의 부재로 보건의료 모든 부문의 가격과 양의 성장을 미리 결정하겠다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다.
결국 외래를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보건의료 비용억제법이 의료비 지출을 억제하는데 실패하였고, 이후 1989년부터 몇 차례에 걸친 개혁들이 시도되었으며, 지금도 역시 다양한 개혁들이 시도 중이다.

1) 1989년 보건의료개혁법
-질병금고의 자율선택권이 일정수준 이상의 임금소득자에게 확대됨
-장기요양에 대한 급여
-보험급여범위에 건강증진과 예방서비스 도입
-치과정기검진에 본인일부부담 차별화
-현금급여삭감
약제비와 의료보조기구에 참조가격제 실시
-의약품에 보험급여제외목록 실시
-의료 질관리 지표 도입
-질병금고가 선택적으로 병원과 계약체결
1989년 법개정 효과는 극적이었으나 효과는 단기로 끝났다.

2) 1993년 보건의료구조법
1989년 보건의료개혁법이 의료비 억제에 실패하자, 급진적인 제도개혁과 아울러 예산제와 같은 엄격한 비용절감 조치들이 시행되었다.
-병원부문에서 질병금고간 경쟁을 촉진하여 효과성 향상
-모든 가입자들이 질병금고를 자유롭게 선택
-질병금고간 재정을 재분배하기 위해 위험구조조정 도입
-병원에 대해 1972년 병원재정법의 일부로 적용되었던 전액보상원칙을 폐지
-병원에 선지불제도의 부분 도입
-의약품에 보험급여목록을 실시
-외래부문 예산의 법적 결정 및 엄격화, 외래 예산에 예방서비스 및 신기술 포함
-주요부문에 있어 법적으로 고정예산제 혹은 목표예산제 실시
-본인일부부담제 증가
-의사서비스와 병원서비스의 엄격한 분리로 병원에서의 외래진료 제한 및 외래의사수 증가를 강력히 억제함
-불규칙적으로 외래진료의사의 지불청구심사 도입
93년의 개혁은 비록 질병금고 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으나, 시장 중심적 개혁이라기보다는 단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일요신문 2008.05.16 건강보험 민영화 논란 현주소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참조 http://www.nhic.or.kr/
산재보험 민영화의 한계:미국 산재보험 사례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제53권, 2003. 5,
미국의 의료보험 개혁법안의 주요 내용 류황건 저 한국보건복지학회, 보건과복지 제1집, 1998. 12,
미국의 민영화정책과 사회서비스전달체계의 변화 김승현 저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4호, 1998. 12,
국민건강보험과 민간건강보험의 보완적 발전모형 오영수 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사회연구 2003년 제2호, 2003. 10,
미국과 영국의 보건의료개혁 동향 비교분석 정영호 · 고숙자 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02호, 2005. 4,
국민건강보험 출범의 의미와 정책과제 이상용 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45호, 2000. 6,
국민건강보험의 소득계층별 부담과 혜택의 형평성 최병호·신현웅 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04호, 2005. 6,
민간 의료보험제도 도입의 이슈 - 민간 의료보험활성화 주장에 대한 사회보장 관점에서 비판적 검토 -, 이용갑∙허순임∙전창배∙서남규∙이상이, 한국사회복지학회,
민간의료보험제도의 활성화 방안, 대한병원협회지, 제30권 5호, 2001.
한국의료보험의 새로운 운영방식 모색, 이준영,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의료보험 재정에서의 국가 책임, 이준영, 한국사회복지학 Vol. 57, No. 4, 2005. 11,
한국 의료보험체계의 확립방안: 민간의료보험의 도입을 둘러싼 쟁점을 중심으로 김연희 ․이희선,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6권, 제1호, 2006,
국민건강보험발전위원회 공청회자료(2004.8.2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