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

 1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
 2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2
 3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3
 4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4
 5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5
 6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6
 7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7
 8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8
 9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9
 10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0
 11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1
 12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2
 13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3
 14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4
 15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5
 16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6
 17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

Ⅱ. 본론
1. 내용 측면의 쟁점

1.1 식민지기 이전
1) 봉건제와 농민층 분화(경영형부농의 등장)
2) 광무양전사업의 성격

1.2 식민지기
1) 조선민사령
2) 토지조사사업
3) 산미증식계획
4) 중공업화정책

2. 방법론상 문제점

2.1 내재적발전론
1) 보편적 역사발전 - 농업자본주의와 경영형부농
2) ‘자본주의’와 ‘민족주의’

2.2 식민지근대화론
1) 계량 자료의 오류가능성
2) 역사 인식의 문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산미증식계획

산미증식계획이란 일제가 조선을 일본의 식량공급지로 만들기 위해 1920∼1934년 실시한 농업정책이다. 그리고 민족말살정책 시기(1940~45년)에 시행된 ‘조선증미계획’을 포함하기도 한다.
제1차 세계대전 중 일본은 급속한 자본축적으로 인해 대규모 이농, 도시노동자의 급증이라는 사회적 현상에 부딪혔고, 이로 인해 일시적인 쌀 수급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일제는 조선에서의 식량 증산을 강행하여 식량의 안정된 공급을 확보하려 했으며, 이에 따라 실시된 것이 산미증식계획이었다.
이러한 산미증식계획에 대한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발전론의 상반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 식민지근대화론

식민지근대화론은 산미증식계획의 결과로 농업부문의 실질 국내 총생산이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계량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미곡의 우량품종 보급률이 1918년 48%에서 1926년에는 73%에 도달했다는 사실과, 1920년 1300만석, 1930년대 초반 1900만석, 1930년대 후반 최고 2700만석의 미곡생산량 증가 사실을 강조한다.
또한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 식민지기 산미증식계획을 거치면서, 조선에 미곡단작형 농업구조가 정착되었다고 주장한다. 농가 경영 구성에서 경종(耕種) 경종 : 땅을 갈고 씨를 뿌려 가꾸는 농업. ≒ 갈이농사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910~35년에 남부지방은 66%에서 93%로, 북부지방은 79%에서 93%로 증가했고, 경종(耕種) 부문 중에서 미곡생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38%에서 70%로, 33%에서 79%로 급증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와 같은 사실을 근거로, 식민지근대화론은 산미증식계획으로 인해 조선 내 농업부문이 많은 근대적 성장을 이루었고, 나아가 조선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주장한다.
산미증식계획과 관련하여 조선인의 영양 상태에 관한 논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후에 설명하겠지만, 내재적발전론은 산미증식계획이 조선 내 미곡의 수탈을 위한 계획이었음을 강조한다. 산미증식계획으로 인해 생산이 증가된 미곡 대부분은 일본으로 건너갔고, 이 결과로 식민지가 조선인의 영양상태가 악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재적발전론의 입장에 대해 식민지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주익종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들어 반박하고 있다. 주익종은 ‘한국의 경제성장’의 추계치를 토대로, 1911~1939년 동안 1인당 곡물소비는 감소하였으나 곡물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식품(채소, 과일, 통조림 등) 소비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1인당 칼로리 섭취량은 감소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조선인의 생활수준의 악화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역설한다.
‘한국의 경제성장’의 추계치를 살펴보면, 감자와 고구마의 소비 증가를 합하면 1912~1939년 사이에 1인당 칼로리 섭취량은 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다른 식품의 소비가 급증했다는 사실 또한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1인당 육류 소비량은 1.2배로, 소채과실은 2.6배로, 어패류는 3.3배로, 장류는 1.5배가 증가하였고, 기타 가공식품은 1.6배로 증가했다. 주익종은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곡물 섭취로 인한 칼로리와 다른 식품 섭취로 인한 칼로리를 더하면, 1인당 총 칼로리 섭취량은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 내재적발전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 특집 : 제36회(第36回) 동양학(東洋學) 학술회의(學術會議) ; 일제 강점기의 경제와 사회 : 식민지근대화론의 쟁점 -근대적 경제성장과 관련하여-, 허수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 | [2007년]

2. [학술/식민지근대화론] 일제시대 개발은 개발 없는 개발, 허수열 저, 월간말, 월간말 2005년도 5월호(통권 227호), 2005. 5, pp. 108 ~ 112 (5pages)

3. ‘식민지근대화론’ 논쟁의 비판과 신근대사론의 모색, 정연태(鄭然泰) 저, 창비, 창작과비평 1999년 봄호(통권 103호), 1999. 3, pp. 352 ~ 376 (25pages)

4.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 발전론 재검토, 조석곤 저,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전망 통권 제38호, 1998. 7, pp. 62 ~ 95 (34pages)

5. ‘식민지근대화론’ 재정립 시도에 대한 비판, 신용하(愼鏞廈) 저, 창비, 창작과비평 1997년 겨울호(통권 98호), 1997. 12, pp. 8 ~ 38 (31pages)

6. 일제 조선 토지조사사업에 관한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주종환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9년 여름호(통권 47호), 1999. 5, pp. 198 ~ 225 (28pages)

7. 역사의 주체를 묻는다: 식민지근대화론 논쟁을 둘러싸고, 정병욱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8년 여름호(통권 43호), 1998. 5, pp. 228 ~ 242 (15pages)

8. 주제서평-식민지근대화론의 새로운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연태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2002년 봄호(통권 58호), 2002. 2, pp. 385 ~ 398 (14pages)

9. 특집1 :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한다 1930년대 일제의 조선공업화론 비판, 배성준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5년 봄호(통권 30호), 1995. 2, pp. 133 ~ 145 (13pages)

10. 특집1 :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한다 1930년대 일제의 식민농정에 대한 재검토, 정연태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5년 봄호(통권 30호), 1995. 2, pp. 119 ~ 132 (14pages)

11. 식민지 근대화론 연구성과의 비판적 수용을 위한 제언, 조석곤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2006년 여름호(통권 75호), 2006. 5, pp. 57 ~ 75 (19pages)

12. 식민지시대의 근대적 수탈과 수탈을 통한 근대화, 김동노(金東魯) 저, 창비, 창작과비평 1998년 봄호(통권 99호), 1998. 3, pp. 112 ~ 132 (21pages)

13. [부록] 제 27 회 동양학 학술회의록 ( 1997 . 10 . 18 ) : 강연회초 ( 공동주제 : 한국근세문화의 특성 ; 개항기 (1) - 한국근대사의 역사적 성격 - ) ; 개항기 자본주의의 내재적 발전론 재검토 - 광업을 중심으로 -, 김양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 | [1998년]

14. 쟁점 내재적 발전론 비판에 대한 반비판, 이홍락 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7년 겨울호(통권 41호), 1997. 11, pp. 229 ~ 242 (14pages)

15. [사실, 이렇게 본다 2] 문제는 자본주의다 - 내재적 발전론 비판의 역사인식, 이정철 저,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제22호, 2005. 12, pp. 192 ~ 208 (17pages)

16. [사실, 이렇게 본다 1]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근대로의 이행 -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 최윤오 저,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제22호, 2005. 12, pp. 176 ~ 191 (16pages)

17. 캐치-업 과정으로서의 한국 경제성장사, 안병직, 뉴라이트재단, 2006

18. 한국의 경제성장 : 1910-1945, 김낙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9. ‘해방전후사의 재인식’강의 : 대한민국이야기, 이영훈, 도서출판 기파랑, 2007

20. 맛질의 농민들 : 한국근세촌락생활사, 안병직, 이영훈, 서울 : 일조각,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