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

 1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
 2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2
 3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3
 4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4
 5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5
 6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6
 7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7
 8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8
 9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9
 10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0
 11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1
 12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2
 13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3
 14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4
 15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5
 16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6
 17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7
 18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8
 19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19
 20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광문화론] 관광과 문화, 예술품의 관광상품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관광문화의 정의

2. 관광이 문화에 미치는 영향

가. 긍정적 영향

나. 부정적 영향

Ⅱ. 본론

1. 문화 ․ 예술품의 관광상품화

가. 관광상품의 정의

나. 관광상품이 갖추어야 할 기능

다. 대중예술의 이해

라. 미술공예의 상품화

2. 관광상품화가 전통문화에 미치는 영향

가. 긍정적 영향 : 전통공예기술의 보전 및 발전

나. 부정적 영향 : 전통예술ㆍ공예품의 타락

3. 전통문화의 관광상품화 사례

가. 긍정적 사례

나. 부정적 사례

Ⅲ. 결론

1. 지속가능한 관광상품화

2. 문화의 고유성 보전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시장침투력을 갖는 상품
상품이 위치한 지역 내에서만 통용되는 관광 상품, 국내에서만 통용되는 관광 상품, 국외로부터 오는 관광객들이 일부러 찾아오는 관광 상품에 이르기까지 시장침투력의 차원에서 관광 상품은 여러 가지 등급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리적인 시장뿐만 아니라 연령별로도 다양한 연령층의 방문객에게 관심을 끄는 상품이 있는 반면 특정연령층의 시장에게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상품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시장에 수요를 발생시켜 방문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상품일수록 가치가 높은 상품이다.

5) 다양한 수요발생 시기
관광객들이 관광 상품을 찾는 시간이 하루 중 시간대 주중과 주말, 계절별로 특정 시간대나 요일, 계절에 몰리지 않고 꾸준히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상품이어야 한다. 비수기용 상품과 성수기용 상품이 이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성‧비수기 구분이 없이 수요를 발생시키는 상품이 있을 수도 있다.

6) 체류시간을 연장
가급적이면 해당상품을 통해 관광객들이 해당지역에 머무는 체류시간이 연장되는 기능을 갖도록 상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 상품을 경험하는 흥미를 증폭하고 상품경험에 필요한 소요시간을 연장시키는 해설, 참여, 체험 등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기획하여야 한다.

7) 독특한 매력을 보유
관광 상품은 그 주체나 내용의 종류에 관계없이 독특한 개성을 보유하여야 한다. 이 독특함은 관광 상품의 생명이나 마찬가지다. 상품이 독특할수록 관광 상품이 갖는 유인력은 강해진다.8)

참고문헌
참고문헌

1) 조명환(2010). 관광문화론. 백산출판사, 28-31.

2) 김종은(2007). 관광학원론. 현학사, 421-422.

3) 동남레저산업연구소(2008). 관광학의 이해. 기문사, 115-116.

4) 이장춘(1980). 한국형 특화관광상품 개발과 관광선전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논문집 제8호, 452-453.

5) 윤대순(1992). 관광경영학원론. 백산출판사, 379-381.

6) 정완준(1991). 관광상품과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동아대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9 재인용.

7) 김병호(2005). 여수 지역 문화 자원의 관광상품화에 관한 연구. 여수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15.

8) 이태희(2000), 관광상품 기획론. 백산출판사 17-19.

9) 이광원(2004), 관광학의 이해, 기문사, 161-162.

10) 오상훈(2005), 관광과 문화의 이해, 형설출판사, 210-211.

11) 최태광, 관광경영학, 백산출판사, 76.

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김상태·전효재 외 공동집필(2008), 글로벌 리더로서 관광을 말하라, 대왕사. 198-216.

13) 고원규(2005). 문화의 관광상품화를 통해 본 전통의 재구성-청학동의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6-193.

14) 고선정(2004), 관광의 문화 상품화와 고유성 : 진도에서의 관광 영향과 공존 모색을 중심으로,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7-108.

15) 전명숙(2001),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화 연구, 경기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9.

16) 전명숙(2001),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화 연구, 경기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0.

17) 김남조·조광익(1998),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지역주민 참여, 한국관광연구원, 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