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

 1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
 2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2
 3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3
 4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4
 5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5
 6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6
 7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7
 8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8
 9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9
 10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0
 11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1
 12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2
 13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3
 14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4
 15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5
 16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6
 17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7
 18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8
 19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19
 20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리론] PSM에 관한 연구-5급 이상의 공무원과 6급 이하의 공무원이 공직 동기 차이점 조사(영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Introduction

2.Theory

3.Interview analysis

4.Solutions


본문내용
The context of Moti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 Sharp constraints on public workers that limit their motivation and ability to develop their organization.
 Vague goals, both for individual jobs and for the organization; a weak sense of personal significance within the organization on the part of employees (Employees feel like they are no more than components in the organization) ; changeable expectations; and incohesive collegiate and work groups, all the result of the preceding factors. Many experts argue that people at the lower and middle levels of public organizations often become lost in the complicated bureaucratic and public policy system. They work under elaborate rules and constraints that, paradoxically, fail to hold them highly responsible.
 Distinctions in the types of people who choose to work in public sector, in light of the restrictions on pay and performance in public service. These differences often include higher levels of PSM.

PSM effects on public official by several points. PSM is part of motivation, and some points may be showed character of simple motivation. But, public officials have worked in public field, therefore the viewpoints on their organization or work perhaps be effected by PSM.
First, it influences degree of satisfaction on public official position itself. If a person haves high degree on PSM, it means that he or she have interest on services on people or public good. To take fob in public field give them opportunity to engage in a meaningful public service; change the construct of social, or help miserable people. Hence, those who have high degree of PSM gratify with public position itself.
Second, this factor we previously mentioned effect on work devotion and result. If they satisfy and have good attitude on their organization or work, they like to achieve more outcome. In our interview, the interviewee point those who have high PSM make better result than those who have low PSM
Work motivation is a person’s desire to work hard and work well, and to the arousal, direction, and persistence of effort in work settings (Rainey, 2009).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공직동기) is commanding attention nowadays, because it is a theory concept that could be used to discover the cause wh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employees’ motives that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공직동기의 선행요인: 사회화 요인의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p. 148, 2010).
The service ethic or desire to serve the public could be mentioned as a PSM. Although PSM rings out again and again in research on public management, until recently it has not been the subject of nearly as much systematic research as one might expect. Findings suggest the common features of persons motivated by public service: they place a high value on work that helps others and benefits society as a whole, involves self-sacrifice, and provides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honesty.
Houston demonstrated that workers in the private sector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good income, short working hours, and promotion. On the contrary, public workers put less importance on those factors and concentrate more on the work itself.
Rainey (1982) asked middle-level managers in state agencies and business companies to rate the value of various rewards of their work, including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a worthwhile public service. The public managers rated this item much more highly than did business managers. The findings show that public workers are having work ethics that intrinsic rewards such as work interest, serving for the community, sense of accomplishment take priority over extrinsic rewards such as pay or job security. (현대인사행정론, p.6)
James Perry and Lois Wise(1990) defined PSM as “an individual’s predisposit
참고문헌

조경호, 공직몰입을 위한 공무원 인력관리 방안, 한국행정학보, 31권, 1997

김태원, 박철민, 조직수준별 직무특성이 공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요인 분석-부산시 본청과 자치구(구청과 동 조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 vol.12 No3, 2003

원숙연, 전소연, 동기의 다차원적 구조와 조직몰입:성차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 2007

김서용, 조성수, 박병주, 공직동기의 선행요인: 사회화 요인의, 한국행정학보 44권 1호(2010)

김하현, 공직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김포시청과 양주시청을 중심으로, 2008

공사부문 종사자간의 동기요인의 차이 분석 : PSM을 활용하여 ,2004, 한국거버넌스 학회

박천오, 현대인사행정론, 법문사, 2007

Rainey, Hal G,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Fourth edition, Jossey-bass, 200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722009017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seoul&id=20100420008023
< 직장인 48% “마지못해 다닌다”>

http://www.mopas.go.kr
http://city.andong.go.kr/city/open_content/ko/?city_id=6DFB7C5F-5A56-4CDB-8C32-EBD8B6047428

http://dong.junggu.seoul.kr/index.php?f_depcode=1001
http://dong.junggu.seoul.kr/index.php?f_depcode=1007
http://www.iansan.net/dongoffice/11_dong/index.j